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H, 주계약자형 공동도급 대폭 확대 2014-01-15 17:00:46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원도급계약자로 함께 참여하는 계약 방식으로, 하도급자가 계약 당사자인 원도급자의 지위를 가지고 공사에 참여하게 된다. 또, 발주기관이 기존 하도급자인 전문건설업체에게 공사대금을 직접 현금으로 지급함으로써, 인건비·장비임차료 등의 체불과 대금지급 지연,...
<작년 고용률 64%…3년후 70% 가능할까> 2014-01-15 11:14:10
많은 수준인 7만9천명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설경기 개선에도 불구하고 1만9천명 감소했고, 전문과학기술(-6천명), 도소매(-2만9천명) 등 분야도 부진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2012년 이례적으로 12만4천명이나 증가한 자영업자는 지난해 6만7천명 감소했다. 은퇴한 베이비부머 세대가 자영업으로 대거...
"美 고용지표 부진에도 정책스탠스 유지 전망" 2014-01-13 11:04:19
생산직을 보면 자동차, 내구재는 늘었지만 건설업종이 1만 6천 건 감소했다. 고용지표의 이러한 원인을 날씨 탓으로 보면 건설이 줄어든 것은 맞지만 놀이동산, 레저의 증가는 의문이다. 현지 시장의 의견을 들어 보자. 힐센라스는 이번 고용 지표가 이변이 있었지만 연준의 스탠스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난해 건설사 612곳 폐업 2014-01-09 13:50:27
집계됐다.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는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 설비건설업과 시설물유지관리업 등 소규모 공사업체들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건설업체는 가장 많았던 2005년보다 17.3%(2,281개)사가 줄었고, 매년 전체업체 대비 2∼3%의 감소율을 보여 타건설업종에 비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자진반납 등...
규제풀린 부동산시장, 부활하나 2014-01-08 17:04:21
2개 층까지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해집니다. 건설업계가 그동안 줄기차게 요구했던 양도세 중과제도 폐지됐습니다. 양도세 중과 제도는 집을 2채 이상 가진 사람에게 무거운 세금을 매기는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2주택자는 양도차익의 50%, 3주택자 이상은 60%를 물게 했는데요, 이번에 바뀐 세법은 중과 제도를 폐지하...
갑오년 주택 시장…힘차게 해가 뜬다 2014-01-08 07:08:00
주택건설업계가 그동안 요구한 ‘핵심 규제’가 사실상 모두 풀려 실수요뿐 아니라 투자 수요도 활기를 띨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전문가 “상반기 집값 바닥 찍는다” 상당수 부동산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에 부동산시장이 바닥을 찍고 집값이 상승세로 돌아서는 ‘변곡점’을 맞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함영진...
<법정관리 쌍용건설 김석준 회장 거취는> 2013-12-31 11:32:25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법원은 이르면 내주 초 쌍용건설의 법정관리 인가 여부를 결정하면서 법정관리인을 함께 선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김석준 회장의 운명은 이제 법원의 판단에 맡겨지게 됐다. 당초 쌍용건설 채권단은 두 번째 워크아웃과 해외수주 부진, 경영...
건설업계, 공정경쟁 TF 가동‥종합심사낙찰제 `환영` 2013-12-26 18:05:03
착수했습니다. 대한건설협회는 연구기관과 건설업계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무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26일 밝혔습니다. 태스크포스에서는 향후 건설산업 윤리경영과 담합예방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해 운영하고, 공정경쟁 가이드라인 등을 추진합니다. 또, 입찰담합 등 불공정행위를 근...
M&A시장에 기업 매물 수십조…'소화불량' 우려 2013-12-24 04:00:07
사모펀드시장을 키워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 팔려나가는 신세…시장에 넘쳐나는 기업 매물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동부그룹은 오는 2015년까지 3조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부하이텍과 동부메탈을 매각할 계획이다. 반도체 전문회사인 동부하이텍의 매각 대상...
올해 3분기 노동생산성 전년동기 대비 2.9%↑ 2013-12-22 12:27:42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 전문·과학기술 등이 산업생산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근로자 수는 작년과 별 차이가 없었지만 근로시간이 줄어 전체 노동투입량은 감소했습니다. 건설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79.9로 4.5% 상승했습니다. 특히 산업생산이 11.1%나 증가해 전 산업 가운데 생산 기여도가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