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세계 경제사] 자본주의에 맞섰던 소련의 몰락…시장의 위대함을 증명하다 2014-02-14 17:25:48
자유주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가 1920년에 제기한 ‘경제계산 문제’를 상기시킨다. 사회주의 경제체제란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가 철폐된 경제를 지칭한다. 미제스에 따르면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선 이 때문에 생산수단의 거래가 이뤄질 수 없고 따라서 그 가격도 형성될 수 없다. 화폐가격이 없기에 경제계획...
FKI미디어, `10인의 경제학자가 남긴 위대한 유산` 출간 2014-02-12 13:42:25
자유주의 경제학, 루트비히 폰 미제스 여섯 번째 유산 : 자생적 질서의 경제학,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일곱 번째 유산 : 통화주의 경제학, 밀턴 프리드먼 여덟 번째 유산 : 질서자유주의 경제학, 발터 오이켄 아홉 번째 유산 : 공공선택론 경제학, 제임스 뷰캐넌 열 번째 유산 : 거래비용과 외부효과의 경제학, 로널드 코스...
[Cover Story] 달러 '테이퍼링' 이 뭐길래?…몸살앓는 세계금융시장 2014-02-07 16:44:31
그는 강조했다. 그의 먼 스승격인 루트비히 폰 미제스라는 경제학자도 ‘화폐의 증가는 어떤 사회적 이익도 낳지 않는다’고 지적한 적이 있다. 토지나 노동, 자본 같은 생산요소의 증가는 더 많은 생산과 생활 수준의 향상을 불러오지만 화폐 증가는 화폐의 구매력을 약화시킬 뿐이라는 설명이다. 엄격한 통화론자들은...
손연재, 러시아로 전지훈련…"아시안게임서 모든 것 보여드릴게요" 2014-01-10 20:44:49
맞춰 출 음악으로 루트비히 민쿠스(오스트리아)의 발레 ‘돈키호테’의 곡을 골랐다. 볼과 곤봉 종목 음악으로는 러시아 작곡가 마르크 민코프의 ‘사랑을 포기하지 마세요’와 파트리지오 부안느(이탈리아)의 ‘루나 메조 마레’를 각각 선택했다. 리본 종목의 새 음악은 아라비아풍의 ‘바레인’을 선정했다.서기열 기자...
[Cover Story] 한국은 왜 북한보다 잘 사나…자본축적의 차이 2013-11-29 16:41:57
막대기를 만들기보다 살 수도 있을 것이다. 루트비히 폰 미제스,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 머레이 라스바드 등 수많은 경제학자들은 “이래서 미국과 한국이 잘 산다”고 답한다. 같은 시간 동안 같은 노동량을 투입하고도 북한은 1시간당 신발 10켤레를, 한국은 100켤레를 만든다면 승부는 끝난다. 북한은 신발을 만드는...
가장 뛰어나야지만 우위 생기는것 아냐…약자도 이익 얻어 2013-11-01 21:04:33
자유무역과 관련, 자유주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스위스에서 가장 저렴하게 밀을 생산하는 방법은 시계를 제조하는 것이라고 설파했다. 캐나다에 시계를 수출해 번 돈으로 캐나다의 밀을 수입하는 게 가장 경제적이라는 것이다. 또 그는 리카도의 비교우위 원리를 시장경제에서는 모든 면에서 약자인 사람들까지...
[오피니언] 미제스가 그리워지는 이유 2013-10-25 19:20:52
루트비히 폰 미제스(1881~1973)의 사상이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지금까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그래서 영국, 미국, 유럽 등 각국에서 그의 업적이 재평가되고 있음은 환영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미제스의 사상은 경기변동이론에서 빛이 난다. 미제스는 호황과 불황의 사이클은 순전히 화폐현상이라고 말한다. 통화,...
[피플 & 뉴스] "사회주의는 망한다" 예언 적중…자유시장이 번영의 원천 2013-10-25 17:00:19
자유주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 타계 40주년 “사유재산, 자유, 평화를 가장 잘 실현하는 것은 자유시장이다. 자유시장은 곧 번영의 원천이다.” 사회주의 몰락을 일찍이 예언했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1881~1973)가 타계한 지 10월로 40주년을 맞으면서 그의 자유주의 사상이 재조명받고 있다....
[다산 칼럼] 미제스가 그리워지는 이유 2013-10-20 20:58:36
여기에 큰 힘이 되는 게 올 10월 서거 40주년을 맞은 루트비히 폰 미제스(1881~1973)의 사상이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지금까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그래서 영국, 미국, 유럽 등 각국에서 그의 업적이 재평가되고 있음은 환영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미제스의 사상은 경기변동이론에서 빛이 난다. 미제스는 호황과...
카를 멩거 자생적 생성이론 "쉽게 팔릴수록 교환도 쉽게 된다" 2013-10-18 21:21:03
어떻게 사전에 존재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 바로 루트비히 폰 미제스의 ‘회귀정리(regression theorem)’다. 오늘 화폐를 보유하는 것은 미래에 예상되는 화폐구매력 때문이다. 따라서 화폐의 예상 미래 구매력은 화폐의 현재 구매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구매력은 어제의 구매력 기억 때문에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