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업 4곳 중 3곳 "내년 최저임금 동결 또는 내려야" 2021-05-20 10:17:15
161곳 중 74.5%인 120곳이 최저임금이 동결되거나 내려가야 한다고 응답했고, 41곳(25.5%)이 인상돼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 166곳 중 48.8%인 81곳은 작년과 올해 최저임금 수준이 매우 높거나 높다고 답했고, 73곳(44%)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매우 낮거나 낮다는 응답은 11곳(7.2%)이었다. 한국산업연합포럼은 "매년...
한경연 "자영업자 10명 중 3명, 최저임금 동결돼도 폐업 고려" 2021-05-16 11:00:08
신중하게 최저 임금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사에 응한 자영업자의 23.6%는 지금 이미 판매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으며, 최저임금이 1∼5% 미만으로만 인상돼도 가격 인상을 고민하겠다는 응답이 27.2%를 차지했다. 아울러 최저임금 인상에 앞서 해결돼야 할 문제를 묻는 질문에는 경기회복(33.4%)이라는 답변이...
마리엔탈 마을의 교훈…개인과 사회를 와해시키는 실업 2021-05-10 09:01:12
경제학자들은 최저임금제가 실업을 늘린다고 보고 있습니다. 몇 년 전 최저임금이 크게 인상됐을 때 실업률이 올랐던 것 혹시 기억하세요? 정부가 임금 소득을 늘려주기 위해 최저임금을 올린 결과, 그 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사업자가 직원을 내보냈습니다. 영세 업종에서 이 같은 현상은 두드러졌습니다. 경제학자들은...
文 대통령,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임명…내일부터 임기 시작 2021-05-06 19:10:05
전문성을 갖춘 관료로 탄력근로제 확대, 최저임금제 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고용위기 대응 등을 주도하는 다양한 경력을 쌓아온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도덕성 및 준법성에 관해서는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고용노동 현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당면...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피셔효과 2021-04-26 09:02:55
실업이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나 최저임금제 실시 등으로 산업 간 인력 수급의 불균형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구조적 실업은 여러 실업의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 형태다.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새 회사로 직장을 옮기기 전 잠시 쉬는 (B)는 마찰적 실업이다. 마찰적 실업은 근로자가 스스...
[단독] 문재인 정부서 급등한 최저임금…미지급 분쟁도 사상 최다 2021-04-23 17:26:41
타격으로 영세업체들이 급등한 최저임금을 감당하기 힘들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 규모와 산업별 특수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최저임금 인상도 미지급 분쟁이 급증한 요인으로 꼽힌다. 윤 의원은 “최저임금 ‘벼락 인상’의 후유증으로 사회적 약자 간 갈등이 깊어지는 모습”이라며 “경제지표와의 연계성을...
최저임금 과속이 부른 '乙의 분쟁'…영세업체·근로자 모두 불만 2021-04-23 17:23:48
정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에도 최저임금제 개선 방안이 포함된 법안이 다수 발의돼 있다. 하지만 상임위에 계류된 채 논의조차 못하고 있다. 추경호·권성동·최승재·정희용 국민의힘 의원 등은 최저임금을 사업 규모별, 업종별, 지역별로 구분해 정하는 내용의 최저임금법 개정안을 각각 발의했다. 객관성을 높이...
'월 37만원' 겨우 벌었다…최저임금제 밖 방치된 장애인 2021-04-20 14:52:29
비판이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저임금제의 일률적용은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설명이다. 보통의 노동자와 똑같이 적용하는 경우 고용시장에서 오히려 완전히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같은 임금이면 고용주 누구도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제도 밖으로 밀려난 장애인들은 위한 별도의 최저임금제도가...
IT·게임업계 '노조 불모지'는 옛말…3년 만에 9개 기업에 결성 2021-04-07 07:00:03
기업이 포괄임금제를 유지하고 있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IT위원회가 지난해 10∼11월 판교 지역에서 IT 노동자 노동환경 실태를 조사해보니 응답자 809명 중 약 46%가 "포괄임금제가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2%는 주 52시간을 초과해 근무하고 있다고 답했고, 47%의 응답자가 성희롱을 포함한 직장...
[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피셔효과 2021-04-06 17:14:10
실업이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나 최저임금제 실시 등으로 산업 간 인력 수급의 불균형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구조적 실업은 여러 실업의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 형태다.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새 회사로 직장을 옮기기 전 잠시 쉬는 (B)의 경우는 마찰적 실업이다. 마찰적 실업은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