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흥군, 지역 항일구국운동 사료 발굴·보존 2017-02-15 16:23:32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역의 동학농민혁명, 항일독립운동, 미서훈(未敍勳) 독립유공자와 관련 사료를 발굴하고, 지역 근현대사의 연표 재정립을 위해 실시했다. 지역에서 활동했거나 지역 출신인 한말의병 서훈자(5명), 3·1운동가(5명), 국내외 항일운동가(12명) 등을 연구용역을 통해 독립운동계열에 따라 재정리했다...
한말 호남의병사 집대성한 역사서 출간 2017-01-31 13:56:23
전체 398쪽으로 구성돼 있으며 의병장들의 사진과 대한민국 항일독립운동 주요연표도 수록돼 있다. 대표 저자인 김갑제 지부장은 "한말 호남의병은 1909년 전국 의병 전쟁의 62%를 차지했으나 아직 그 행적을 전체적으로 기록한 책 한 권 없어 뜻을 모아 책을 출간하게 됐다"고 말했다. areum@yna.co.kr (끝) <저작권자(c)...
당진 소난지도서 6월 1일 '의병의 날 기념행사' 열린다 2017-01-31 11:42:06
항일의병 항쟁을 벌였으나 1908년 3월 일본군의 대대적인 기습공격으로 100여명에 이르는 의병이 순국했다. 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소난지도에는 2008년 의병항쟁 추모탑이 건립됐으며, 이듬해 9월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등록됐다. 이곳에서는 소난지도의병항쟁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의병을 기리는 기념식이...
[신간] 민란의 시대·법은 얼마나 정의로운가·미처 하지 못한 말 2017-01-25 16:30:46
뒤 민중의 저항은 항일 의병의 형태로 나타난다. 한겨레출판. 284쪽. 1만5천원. ▲ 법은 얼마나 정의로운가 = 독일 저술가 폴커 키츠가 독일에서 논란이 됐던 19가지 사건과 판결을 예로 들며 '법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종교의 자유는 언제나 불가침인가, 어떤 의견이든 자유롭게 표현해도 되는가,...
"홍주성 평화의 소녀상 건립 안돼"…문화재청 '불허' 2017-01-23 10:24:16
을사조약에 반발한 의병대장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격전을 벌인 곳인 만큼 소녀상 건립을 위한 최적지라는 주장이다. 추진위 관계자는 "항일운동의 중심지에서 소녀상을 보는 것만큼 우리 역사를 제대로 돌이켜 볼 수 있는 교육이 어디에 있느냐"며 "평화의 소녀상과 홍주성의 역사성이 부족하다는 결정을...
비운의 '헤이그밀사' 이상설 순국 100주년 기념사업 '순항' 2017-01-19 10:21:41
세우고 항일 민족교육을 펼치던 보재 이상설(1870∼1917) 선생은 이듬해인 1907년 광무황제의 밀명을 받았다.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참석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라는 것이었다. 그는 이준·이위종 선생과 함께 비밀리에 네덜란드에 도착했지만, 일본의 방해로 회의에참석하지 못했다....
[나눔의 리더십] 국난에 '붓 대신 칼', 의암 류인석 2017-01-17 07:07:00
창립된 의암학회는 류인석의 학문과 사상, 항일 투쟁사를 연구해 학술회를 개최하고 책을 펴내는 등 선양사업을 벌이고 있다. 원영환 의암학회이사장은 "의병 해산 뒤에도 평생 일관되게 끝까지 싸웠던 분은 류인석 선생이 유일하다"며 "그의 족적, 정신, 항일투쟁은 독립운동으로까지 흘러들어 갔고, 우리는 지금도 그의 ...
[나눔의 리더십] '의병 참여·백성 구휼' 만취당 김사원 2017-01-12 07:07:01
의병 참여·백성 구휼' 만취당 김사원 "나라 어려울 때 일어나고 나누는 삶 가르침 이어지도록 후손들 교육" (의성=연합뉴스) 이강일 기자 = '의(義)로운 고장' 경북 의성군은 조선 말 항일 의병이 활약한 곳으로 유명하다. 이 중 점곡면 사촌리는 의성 의병 운동의 구심 역할을 했다. 임진왜란, 정묘호란 등...
[한국 근현대사 공부] 나라를 빼앗긴 뒤 '되찾자 운동' 시작…신문발행·국채보상 계몽운동 '역부족' 2016-04-01 16:52:15
그치지 않고 의병의 가족까지 무참히 살해하는 등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한일합방이 되면서 더 이상 국내에서 활동할 수 없었던 의병들은 중국 만주로 건너가 무장 독립군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뒤늦은 신교육 계몽운동애국 계몽 운동과 실력 양성 운동은 국권을 되찾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의 실력을 길러야 한다는...
따뜻한 남쪽 섬…여권 없는 해외여행 떠나요 2016-01-11 07:01:41
독립운동가 89명이 배출됐다.소안도에 항일의 씨앗을 뿌린 것은 동학농민혁명이다. 혁명 당시 동학의 접주 나성대 장군이 소안도로 들어와 동학군의 군사훈련을 시켰다. 소안도 출신 이준화 이순보 이강락 등도 동학군에 합류했고 소안도 주민들은 식량을 조달했다. 동학혁명 실패 후 김옥균을 살해한 홍종우의 밀고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