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수렵시대 공동체 생활이 집단주의 성향의 뿌리…자유·시장·책임정신은 후천적 학습의 결과물 2015-08-28 18:29:11
이런 적대감에서 거래를 제한하는 무역규제가 생겨났다. 그러나 보호무역은 국제적 분업의 축소와 번영의 훼손을 초래한다. 이민 제한은 값싼 노동력을 이용할 기회를, 이민자는 삶을 개선할 기회를 박탈당한다.인간의 본능과 심리가 형성된 석기시대의 특수한 경제·자연환경 탓에 생겨난 게 반자본주의 정서라고 할...
[천자칼럼] 쿠바 아바나 2015-08-13 18:01:04
이 도시는 카리브해 최고의 무역항이었다. 남미의 식민 도시에서 모은 보물을 스페인으로 옮기는 함대의 집결지였으니 돈과 사람이 넘쳐났다. 18세기 후반부터는 노예무역과 설탕 산업이 도시의 부를 이끌었다.1837년 아바나에 라틴아메리카 최초의 철도가 들어선 것도 이 덕분이었다. 20세기 초 미국과 사이가 좋던 시절,...
`썰전` 이철희, 오바마 `어메이징 그레이스` 언급...무슨 일? 2015-07-10 10:40:05
뉴턴 신부가 흑인 노예무역에 관여했던 자신의 과거를 후회하고 이 죄를 사해준 신의 은총에 감사한다는 내용의 찬송가로, 지난달 말 흑인교회 총기난사 희생자의 장례식에 참석한 오바마가 이 찬송가를 부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특히 오바마가 이 노래를 부르기 직전 잠시 멈칫 하는 모습을 보여...
[천자칼럼] 튀니지언 블루 2015-06-28 22:58:06
무역으로 패권을 잡은 뒤 명장 한니발로 로마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하지만 세 번의 포에니전쟁에서 로마에 완패했다. 기원전 146년 당시 카르타고 인구 25만명 중 20만명이 죽었고, 살아남은 5만명도 노예로 팔렸다. 가공할 제노사이드(genocide·대량학살)의 현장이었다.이후 로마 속주에 이어 반달족(5세기)과...
[세계 경제사] 인기 얻기 위한 빵값 통제가 시장간섭 불러…로마제국 '도농분업체계' 붕괴돼 생산성 추락 2015-06-26 18:51:03
로마의 노예는 오늘날 장기계약의 피고용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 즉 노동시장은 노예노동과 자유노동을 구분할 수 없을 만큼 매우 자유로웠다. 노예제가 창조성을 떨어뜨렸다거나 로마의 경제제도가 다른 길로 가는 것을 막아 궁극적으로 로마제국의 경제를 정체로 이끌었다는 주장은 틀린 것이다.이렇듯 제국 초기 무역,...
인기 얻기 위한 빵값 통제가 시장간섭 불러…로마제국 '도농분업체계' 붕괴돼 생산성 추락 2015-05-15 21:14:12
로마의 노예는 오늘날 장기계약의 피고용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 즉 노동시장은 노예노동과 자유노동을 구분할 수 없을 만큼 매우 자유로웠다. 노예제가 창조성을 떨어뜨렸다거나 로마의 경제제도가 다른 길로 가는 것을 막아 궁극적으로 로마제국의 경제를 정체로 이끌었다는 주장은 틀린 것이다.이렇듯 제국 초기 무역,...
[biz칼럼] 기회의 땅 중남미, 정서 통하는 황금시장 2015-04-30 20:38:09
무역보험공사 사장 > 돼지의 내장과 꼬리, 귀와 발까지. 얼핏 들으면 혐오식품 목록 같지만 검은콩과 함께 푸짐하게 끓여내면 브라질의 국민음식 ‘페이조아다(feijoada)’가 되는 재료들이다. 식민지 시절, 중남미를 정복한 백인 농장주들은 살코기만 먹고 부산물과 내장은 흑인 노예들에게 던져주곤 했는데,...
[생글기자 코너] 설문조사: 학생들 유통·소비기한 모른다 등 2015-03-20 17:20:12
노예제도가 폐지됐지만, 흑인에 대한 백인의 차별적 인식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흑인을 더 이상 노예로 부리지 못한다는 점에 대한 백인의 분노와 억울함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백인의 분노와 억울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흑인에 대한 우호적 인식으로 바뀌어 갔지만 흑인에 대한 차별적 시각은 여전히...
[생글기자 코너] 설문조사: 학생들 유통·소비기한 모른다 등 2015-03-20 17:20:12
노예로 부리기 시작했다. 남북전쟁 이후 노예제도가 폐지됐지만, 흑인에 대한 백인의 차별적 인식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흑인을 더 이상 노예로 부리지 못한다는 점에 대한 백인의 분노와 억울함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이러한 백인의 분노와 억울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흑인에 대한 우호적 인식으로 바뀌어 갔...
[세계 경제사] 아프리카 빈곤은 신자유주의 탓?…허술한 정치·경제제도가 원인 2015-03-06 18:51:31
노예무역으로부터 시작된 제도적 기반은 재산권 보호에 매우 취약했고 정치적 불안정과 부패의 만연, 독립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강력한 영향으로 재산권의 불안정은 더욱 심화됐다. 재산권 보호가 경제성장의 유일한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재산권이 불안정할 경우 거래의 제약으로 투자와 생산 역시 제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