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장보고기지, 남북극 오존농도 동시 관측 2021-09-24 12:03:47
추적하고 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인근 바다에서 발생하는 고수온 현상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북극해로 진입하는 베링해에 해양·대기 통합관측 시스템도 설치했다. 이 시스템에서 나온 정보는 위성을 통해 매시간 국내로 전송된다. 이 밖에도 연구팀은 '바닷속 검은 황금'이라 불리는 망간단괴가 매장된 지역을...
中 화성탐사로봇 임무 완료…얼음층 가능성 등 조사 2021-08-18 10:49:24
과거 화성의 바다였던 곳으로 생물체 흔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이 나오며, 특히 탐사지점은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해안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는 중량 240㎏의 주룽은 내장된 카메라로 지형 정보를 파악한 뒤 이동 경로와 탐사목표를 설정했고, 지하 얼음층의 존재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기후변화 계속되면 황제펭귄도 2100년 멸종 문턱 2021-08-04 11:25:42
멸종 문턱 "번식지 바다얼음 줄어 새끼 펭귄 생존 차질" 영하 40도 한파·140㎞/h 강풍 견뎌도 온난화엔 답없어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기후변화가 심해져 북극곰에 이어 남극 황제펭귄마저 멸종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어류·야생동물국은 번식지 파괴를 이유로 황제펭귄을...
그린란드 덮친 이상 고온…하루 사이 85억t 얼음 녹아 2021-07-30 15:23:48
고온으로 북극의 얼음이 녹아내려 해수면이 올라가면 바다와 인접한 도시들이 홍수와 해일 등 자연재해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21세기 말에는 해수면이 최소 2~10㎝가량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역대 최대를 기록한 2019년 그린란드에서는 5천320억t의 얼음이 바다로...
[사이테크 플러스] "목성의 달 '가니메데'에서 표면 얼음 승화된 수증기 포착" 2021-07-27 14:59:25
달 '가니메데'에서 꽁꽁 얼어붙은 표면의 얼음이 승화해 만들어진 수증기가 처음으로 포착됐다. 승화란 고체가 액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스웨덴 왕립공대(KTH) 로렌츠 로스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27일 과학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20여 년간의...
스페이스X,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발사 계약 체결 2021-07-26 05:11:45
헤비'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다. 두꺼운 얼음층 아래 거대한 바다를 가진 유로파는 태양계에서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는 주요 후보군 중 하나다. NASA는 유로파 탐사를 통해 유로파 표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작하고 표면 무성 물질을 확인할 것이라며 지질 활동 흔적 찾기와 얼음층 두께 측정,...
[사이테크 플러스] "토성 위성 엔켈라두스서 메탄 다량 분출…미생물 존재 가능성" 2021-07-07 10:55:37
= 얼음으로 덮여 있는 표면에서 물과 수증기가 분출되며 거대한 기둥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된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서 다량의 메탄가스가 함께 분출되는 것으로 확인돼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대 레지스 페리에르 교수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토성...
[인터뷰] 박재정의 청사진 2021-07-05 14:26:00
[이진주 기자] 너른 바다에 숨겨진 진주랄까. 기척 없는 컴컴한 어둠 속에서 그저 영롱한 빛을 뿜어낼 존재가 몇이나 될는지. 국내 경연 프로그램이 왕성하던 때, 혜성처럼 등장한 가수 박재정. 그렇게 mnet ‘슈퍼스타k5’의 우승을 거머쥐며 말 그대로 슈퍼스타가 될 줄 알았겠지만 시즌제 특성상 타이틀의 주인은 바뀌는...
기후변화로 얼음·눈 덮인 '빙권' 매년 8만7천㎢씩 줄어 2021-07-02 10:41:05
& Environment)에 발표하고, 장기간에 걸쳐 얼음 두께가 얇아진 것이 마지막 해빙권을 기상이변에 더 취약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고 했다. 약 100만㎢에 달하는 마지막 해빙권은 북극 바다의 얼음이 금세기 중반께부터 여름마다 사라지는 상황에서도 2100년까지는 유지되며 북극곰과 바다표범 등의 중요한 피난처 역할을 할...
"지구 스스로 온난화를 늦추고 있었다"...극지연구소, 미세조류 역할 규명 2021-06-30 13:56:27
조성 과정을 최초로 확인했다. 미세조류는 하천이나 바다에 살며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식물이다. 우리가 마시는 산소의 50%는 미세조류가 생산한다. DMS는 극지 바다에서 주로 만들어진다. 지구온난화로 북극 바다 얼음이 녹고 미세조류가 늘면서 DMS 방출량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북위 79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