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연합이매진] '풍요의 뻘밭' 무안갯벌 2018-08-06 08:01:03
망둥이, 짱뚱어, 낙지, 조개, 고둥, 갯지렁이 등 수많은 생명체가 뻘밭에 뒤섞여 살아간다. 새들은 이들 생명체로 배를 채우고, 사람은 갯벌의 풍요를 거둬 일용할 양식으로 삼는다. 무안갯벌은 신안군 지도, 증도, 임자도로 가는 길목인 무안군 해제면 동쪽 해안에 위치한다. 맞은편으로 멀리 함평의 해안선이 가로막고...
[책마을] 포구마을 돌며 발견한 삶의 아름다움 2018-07-26 18:35:20
키워낸 어부, 갯지렁이를 잡아 장어 낚시를 하는 어촌 사람, 머리에 땀수건을 묶고선 웃으며 경운기를 모는 베트남 아낙의 정직한 삶에서 저자는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곽 시인과 동행하며 포구마을의 풍경을 담은 김수연 사진기자의 사진은 글의 맛을 더한다. 넓은 바다를 바라보다 보면 마음이 넉넉해지는 기쁨을 이 책을...
용왕 막내아들 송민호 “오늘은 돔민호” 참돔 낚시 성공할까? 2018-07-05 11:19:33
이경규는 “갯지렁이가 물기도 한다. 조심해라. 그리고 점심에 갯지렁이 요리 먹어야 한다”라고 농담을 던져 웃음을 모은다. 송민호가 갯지렁이 공포증을 극복하고 참돔 낚시에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는 금일(5일) 오후 11시 채널a ‘도시어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사진제공: 채널a) bnt뉴스 기사제보 star@bntnews.co...
검은머리물떼새, 4월의 보호해양생물로 선정 2018-04-02 06:00:03
게, 조개, 갯지렁이 등을 먹이로 삼으며 특히 굴을 즐겨 먹어 영미권에서는 '굴잡이'(Oystercatcher)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개체는 극동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1만1천여 마리 규모의 검은머리물떼새 무리로 추정된다. 이 중 약 4천여 마리는 2008년 연안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서천...
[서남해안 갯벌을 가다] ② 철새들의 낙원…하구형 서천 갯벌 2018-03-28 16:18:41
갯벌에는 철새 먹잇감인 저서생물이 풍부하다. 갯지렁이와 백합, 동죽 등 조개류가 지천으로 널려 있다. 백합과 동죽은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이기도 하다. 발목까지 빠지는 갯벌을 걷다 보면 말뚝망둥어, 칠게, 농게, 길게, 밤게 등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57종의 환형동물을 비롯해 갑각류 55종, 연체동물 39종이 갯벌...
[서남해안 갯벌을 가다] ③ 태곳적 신비 간직…고창갯벌 2018-01-21 09:17:15
모를 철새들은 부리를 연신 갯벌에 집어넣고 갯지렁이며 조개 따위를 잡아먹느라 여념이 없었고, 갯벌 중간중간에 남아있는 얕은 물웅덩이는 망둑어와 같은 물고기들 차지였다. 고창갯벌은 곰소만 일대에 형성돼 있다. 곰소만 입구에 있는 개방형 갯벌로 7개 섬과 암초만 갯벌 위로 얼굴을 내민다. 이 가운데 세계유산 등...
[서남해안 갯벌을 가다] ① '바다의 밥상' 신안 다도해 갯벌 2018-01-21 09:17:06
나 있다. 수많은 갯벌 숨구멍은 갯지렁이부터 조개류, 짱뚱어, 게, 낙지가 칠흑 같은 펄 속 생태계가 한겨울에도 건재함을 짐작게 했다. 해가 뜨자 파란 집게가 인상적인 칠게가 적막을 뚫고 펄을 활보하기 시작했다. 신안 갯벌센터 관계자는 "겨울에는 갯벌 생물이 활동을 잘 안 하는데 칠게는 워낙 먹성이 좋아 해가 뜨면...
서해안 습지서 월동하는 야생 황새 21마리 관찰 2018-01-12 14:34:04
미꾸라지, 개구리, 갯지렁이, 새우, 어류를 사냥했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황새생태연구원 김수경 박사는 "황새가 러시아나 중국에서 겨울을 나려고 우리나라에 온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동 경로를 추적하면 황새가 선호하는 서식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은 내달까지 황새 서식지를 추가 조사해...
"태안 기름유출 사고 10년…생태계 원상회복됐다" 2017-12-07 10:24:37
바닥에 깔린 바위나 모래에 사는 고둥류·조개류·갯지렁이류)이 10년 만에 57종으로 늘었다. 이에 따른 종 다양성 지수도 0.5에서 3.1로 증가했다. 사고 당시 40배에서 500배 이상까지 치솟았던 굴 오염도는 4개월 후부터 급감하기 시작해 1년 6개월∼2년 6개월 만에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충남연구원은 해수 내...
"짱뚱어·군소 등 해양수산자원 국외 반출 때 승인받아야" 2017-11-01 11:00:05
최근 화장품 및 약품 원료로 사용되는 '바위털갯지렁이'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도 승인대상으로 지정됐다. 국외반출 승인대상으로 지정된 자원을 별도 승인절차 없이 국외로 반출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상업적 활용목적이 아닌 순수 연구목적인 경우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