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아삭 상큼 달콤 뛰어난 맛과 품질 청송사과 2024-04-17 14:00:01
단맛은 더 강해진다. 청송사과가 맛있는 이유는 좋은 재배환경뿐만이 아니다. 그 뒤에는 축적된 사과 재배 지식과 부단한 기술개발, 적극적인 홍보가 있었다. 청송군은 1994년 ‘청송사과’ 상표 등록, 2017년 특허청 ‘황금진’ 청송사과 브랜드 상표등록, 2020년 군수가 보장하는 ‘청송사과 품질 보증제 시행’, 2023년...
아삭·달콤한 '국가대표 사과' 2024-04-15 16:37:50
이상 산지에서 재배된다. 사과는 생육 기간에 일교차가 커질수록 다음 세대를 위해 영양분을 저장하는 활동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어 과육이 더 단단해지고 단맛이 더 강해지는 특징이 있다. 청송군은 이런 우수한 재배환경에 더해 부단한 기술 개발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했다. 고밀식·다축형의 미래형...
"쌀값폭락 막는다"…벼 재배면적 줄이고 논콩·가루쌀 심어 2024-02-02 15:00:01
산지 쌀값 지지를 위해 쌀 90만t을 사들여 시장에서 격리하기도 했다. 농식품부는 올해에도 쌀값 폭락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수급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쌀 생산을 줄이기 위해 올해 벼 재배 면적을 2만6천㏊(헥타르·1만㎡) 감축할 예정이다. 감축 면적 중 1만5천100㏊는 논에 벼 대신 논 콩이나 가루 쌀 등 전...
총선 앞두고 ‘農퓰리즘’…민주당, 최저가격보장제 강행 2024-01-15 17:23:08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시장격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 양곡법 개정안을 농해수위에서 소위 ‘날치기’로 통과시켰던 것과 판박이다. 안건조정위는 여야 간 이견이 있는 법안을 다수당이 일방 통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최장 90일까지 법안심사를 하도록 한 상임위 내 협의 기구다. 재적위원 6명은 국회 다수당과 나머지...
金사과·金딸기…농산물값은 왜 널뛰기를 할까 2024-01-08 18:29:01
작물 재배 면적을 늘리는 것이다. 농부가 농사를 열심히 짓는 이유농업 기술 발달도 농부의 역설과 비슷한 결과를 낳는다. 품종 개량과 재배 기술 발달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농산물 가격이 하락해 농민들에겐 손해가 될 수 있다. 그렇다고 농업 기술을 발전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농업 기술이 발달한 덕분에 더...
송미령 "농가 소득안정이 제1과제…수급관리로 가격안정 도모" 2023-12-18 13:45:43
격리까지는 어렵다"고 말했다. 송 후보자는 최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질병 확산에 대해서는 "예찰 활동을 더 강화해야 하고 농가, 민간과 협력을 통해 차단 방역을 강화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북한과 농업 협력(통일농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국민의힘 홍문표 의원의 제언에는 "챙겨보도록...
농식품부 "전략작물직불제로 쌀생산 감축…수급안정에 기여" 2023-11-28 11:00:04
전략작물을 재배한 농지 면적은 여의도(290㏊)의 431배인 12만5천㏊(헥타르·1만㎡) 수준으로 집계됐다. 또 이를 통해 올해 쌀 생산은 약 7만t(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전략작물직불제를 중심으로 사전 수급 조절을 적극 시행해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또 양곡법 날치기 예고한 민주당…농식품부 "절대 반대" 2023-11-24 15:41:43
보전하고, 밀이나 콩 등 타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인센티브를 주는 전략작물직불제를 통해 전반적인 농산물 수급을 조절하는 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가장 비중이 큰 쌀의 경우 기본적으론 선제적 수급 관리를 통해 과잉 공급을 막되, 필요시 정부가 쌀을 매입해 시장에서 격리하는 식으로 적절한 가격을 유지할 수...
농식품 장관 "산지 쌀값 20만원 상회…안정적 관리에 최선" 2023-10-11 10:53:40
16만원대로 폭락하자 90만t을 수매해 시장에서 격리했고, '전략작물직불제'를 도입해 벼 재배면적을 감축하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다. 전략작물직불제는 논에 벼 대신 논 콩, 가루쌀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이런 정책의 결과로 산지 쌀값은 점차 올라 지난달 20만원대를...
쌀 생산량, 작년보다 8만t 뚝…"가격 폭락 없을 듯" 2023-10-06 18:34:28
확정 생산량은 오는 11월 공표된다. 생산량 감소의 원인은 재배면적 감소다. 올해 쌀 재배면적은 지난해 72만7054㏊에서 2.6% 줄어든 70만8041㏊다. 쌀 수급균형정책 추진으로 재배면적이 크게 줄었다. 반면 10에이커당 예상생산량은 지난해 518㎏에서 올해 520㎏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량 감소는 가격 안정으로 이어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