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천789㎞ 中 대운하 복원 개통…계획 세운지 100년만에 2022-04-29 17:49:27
저장성을 잇는 징항 대운하가 완성됐다. 남방의 곡물을 베이징으로 운송하는 중요한 수상 통로였던 징항 대운하는 쇠락한 청나라가 준설 등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황허 이북 여러 구간이 막혔다. 청 왕조를 무너뜨린 중화민국이 1922년 복원 계획을 세웠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전 구간이 복원됐지만, 황허 이북 일...
'돈의 가격' 금리…올리면 정말 물가·집값이 잡힐까 2022-04-18 17:22:59
개념이 있었다. 기원전 18세기 고대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 법전에도 곡물과 은을 빌려줄 때 얼마의 이자를 받으라는 내용이 있었다. 성경에도 이자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경기를 살릴까, 물가를 잡을까 금리는 돈을 빌린 데 대한 대가다. 물건을 살 때 돈을 내듯이 돈을 빌려 쓸 때도 일정한 값을 치른다. 물건에 가격이...
[커버스토리] 제비뽑기서 시작된 선거…주권 대리인에 대한 처벌 기능도 2021-11-15 09:01:02
‘곡물법(싼 곡물 수입을 금지하는 법)’을 폐지하는 조치도 실행했습니다. 사회주의 색채가 강한 노동당도 노동개혁, 시장제도를 적극 수용했습니다. 경제 여건상 시장친화적 정책이 필요하면 노동당도 보수당의 정책을 받아들였죠. 한국 정당은 변신의 귀재?영국의 의회·정당 제도는 미국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 제도는...
고대 맥주 원조는 중국?…9천년 전 도자기 그릇서 흔적 확인 2021-09-01 16:19:23
이 고대 맥주는 물론 현대인들이 마시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맥주는 기술적으로 곡물의 녹말을 당으로 바꾸고, 이 당을 알코올로 발효하는 2단계 과정을 거치는 음료를 지칭하는데, 이번에 확인된 것은 인류가 맥주를 만들어 마신 가장 오래된 증거로 제시됐다. 미국 다트머스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인류학 조교수...
[디지털 이코노미] 플랫폼 비즈니스 규제 꼭 필요한가 2021-07-05 09:01:02
가까운 과거의 사례도 그렇거니와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도 반경쟁적 관행을 예방하기 위한 규제가 존재했다. 자연재해에 따른 곡물 시장 가격을 통제하거나, 유통과정을 활용한 고의적인 가격 조작 모두 도시국가의 통제 대상이었다. 이처럼 현실에서 규제의 장점은 많다. 항공기 이용과 관련된 규제가...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적절한 대우에 3개월마다 교대근무…피라미드는 임금 노동자들이 만들었다 2021-07-05 09:00:31
임금 체불에 파업한 기록도 있어심지어 고대사회의 파업도 기록돼 있다. 람세스 3세 치세가 29년이 되던 해 무덤 노동자에게 임금이 제때 지급되지 못하고 일부 또는 전액 체불되자 분묘군 노동자 사이에서 파업이 발생했다. 사람은 끊임없이 돌릴 수 있는 기계가 아니고 채찍만으로는 큰 업적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고대...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밀이 자라지 못하게 된 메소포타미아…흙을 잘못 다스리면 문명이 사라졌다 2021-06-28 09:00:07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공산당 서기장이 곡물과 면화를 경작하려고 애썼던 바이칼 호수 주변 시베리아 초원도 예외는 아니었다. 흙의 관리는 고대세계에서 경제생활의 기초였고, 현대에도 세계 각지에서 여전히 쉽지 않은 과제인 셈이다. NIE 포인트① 메소포타미아(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이집트(나일강) 인더스(인더...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눈에는 눈, 이에는 이…원초적 법 권력의 근원…함무라비 법전, 공적 응징과 계약의 기초 세웠다 2021-06-21 09:00:26
고대 메소포타미아 바빌로니아의 6대 왕이었던 함무라비(기원전 1792~기원전 1750)는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재통일한 군주였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an eye for an eye, a tooth for a tooth·lex talionis)’란 문구로 널리 알려진 ‘함무라비 법전’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기원전 1772년께까지 작성 연대가 올라가는...
유럽 도시의 성장은 그리스 화폐제도와 로마법 덕분 2021-03-22 09:00:11
있었던 이유는 뭘까? 그건 고대 상업경제의 두 가지 유산, 그리스의 화폐제도와 로마법의 정신을 어느 곳보다 잘 간직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사유재산제와 자유계약정신을 보호한 덕분이었다. 유럽 도시국가들은 르네상스의 주역이었고 이후 산업혁명과 현대적 시장경제가 출현하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맡았다. 현대의...
곡물 빌려줄 땐 연 33%…함무라비 법전엔 이자 상한 있었다 2021-03-08 09:01:07
BC 18세기 고대 바빌로니아의 왕이 제정했다는 함무라비 법전(Code of Hammurabi)은 이자를 받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대신 이자율 상한을 정했습니다. 은(銀)을 빌려줄 때 20%, 곡물을 빌려줄 때는 33%로 제한했습니다. 왜 차이를 뒀을까요? 곡물이 은보다 위험도가 높았기 때문입니다. 작황이 나빠질 경우, 곡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