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스트롱코리아] 시민 과학자들의 힘… NASA도 찾지 못한 지구형 행성 5개 찾아 2018-05-13 17:43:29
이 프로젝트는 고세균과 세균을 제외한 모든 생물체를 포함하고 있다. 인간 유전자 지도를 그린 ‘인간게놈프로젝트’에 비견된다. 과학계는 아직까지 과학 연구 대상이 되지 못한 80~90%가량의 생물을 발굴하는 이 프로젝트에 시민 과학자의 참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지난달 우드로윌슨국제센터는 2020년...
"실패 두려워 말고 도전" UST, 1인당 최대 5천만원 지원 2018-02-18 11:07:46
과정에서 고세균과의 상호작용을 규명할 예정"이라며 "고세균이 비타민을 만드는 기능이 있다는 학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적조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문길주 UST 총장은 "노벨상 수상자 중에는 대학원 시절에 생각했던 아이디어를 꾸준히 연구해 결실을 얻는 사례가 많다"며 "학생들이...
지구 덮고 있는 미생물 정체 밝힌다…"30만종 데이터 확보" 2017-11-02 05:35:00
시료는 분석 전까지 모두 영하 80℃에 보관했다. 세균, 고세균 등 미생물에 부여할 신분증으로는 생체분자 중 `16S rRNA`를 택했다. 16S rRNA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구성하는 분자인데, 이 분자의 염기서열이 미생물마다 달라 세균이나 고세균에서는 마치 `주민등록번호`처럼 쓸 수 있다. 연구...
지구 덮고 있는 미생물 정체 밝힌다…"30만종 데이터 확보" 2017-11-02 03:00:00
분석 전까지 모두 영하 80℃에 보관했다. 세균, 고세균 등 미생물에 부여할 신분증으로는 생체분자 중 '16S rRNA'를 택했다. 16S rRNA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구성하는 분자인데, 이 분자의 염기서열이 미생물마다 달라 세균이나 고세균에서는 마치 '주민등록번호'처럼 쓸...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9-13 15:00:08
대비…대구 외곽 터널 5곳에 방재시스템 구축 170913-0387 지방-0056 10:17 해양 고세균 이용한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 추진 170913-0388 지방-0057 10:17 [인천소식] '바로 당신이 맥아더'…인천상륙작전 VR 체험 170913-0389 지방-0058 10:18 전남지역 실업자 증가…'일자리창출 대책' 필요...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9-13 15:00:07
지방-0056 10:17 해양 고세균 이용한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 추진 170913-0380 지방-0057 10:17 [인천소식] '바로 당신이 맥아더'…인천상륙작전 VR 체험 170913-0382 지방-0059 10:18 서귀포 해상서 연승어선끼리 충돌…60대 선장 중상 170913-0385 지방-0060 10:20 '누구를 믿어야…' 친구 딸 상습...
해양 고세균 이용한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 추진 2017-09-13 10:17:56
고세균은 진화 초기 단계의 미생물로 해양 생태계에 존재하며 일부 종은 일산화탄소 등을 먹고 수소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과학기술원과 경동엔지니어링은 산업현장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부생 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실증 연구와 실용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고세균을...
스스로 생존하는 '괴물 바이러스' 발견 2017-04-07 04:00:48
진핵생물, 고세균 3대 생물군으로 나뉜다. 세균이 핵과 세포질 구분이 따로 없는 하나의 세포로 이뤄졌다면 진핵생물은 핵이 별도로 있고 염색체를 만들어 분열한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 식물이 여기에 해당한다. 고세균은 세균처럼 핵이 없지만 세포질, 세포벽 구성이 세균과 달라 다른 생물군으로 분류한다. 한국인...
여러 생물 유전자 가진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2017-04-07 03:00:00
맞먹는 자이언트 바이러스들이 잇따라 보고되며 학계에서는 이들이 기존 계통 분류에 없는 새로운 영역(Domain)에 속하는 게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현재 생물의 계통은 1977년 생물학자 칼 우즈의 제안에 따라 세균(Bacteria)·고세균(Archaea)·진핵생물(Eukarya)의 3개 영역으로 나뉜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부경대 과학기술분야 연구 성과 “눈에 띄네” 2016-07-22 09:56:21
단층운동 특성분석’(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 △김군도 교수(미생물학과): ‘대장균에서 고세균 샤페론을 이용한 아스타잔틴 생산능 향상을 위한 연구’(한국생명과학회 생명과학회지) △정형빈 교수(환경대기과학과): ‘construction of the spherical high-order filter for applications to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