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공지능 도움 받아 더 날씬하고 선명해진 블랙홀 2023-04-14 10:09:25
과학사에 남은 획기적 성과로 평가됐다. 하지만 EHT가 전파망원경 7대를 연결해 지구 크기 망원경과 같은 성능을 내도록 설계됐지만 하나의 망원경만큼 완벽하지는 못해 빠진 곳이 있는 조각그림 퍼즐처럼 관측 자료에 공백이 있었다. 연구팀은 "EHT로 관측한 자료는 지구 크기의 거대한 단일 전파망원경으로 이미지를...
대전 '대덕특구' 50주년…과학 축제 한가득 2023-04-05 18:14:36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에서는 제12회 과학사랑 음악회가 열린다. 28일에는 별 음악회, 천체 관측 등이 열리는 별축제를 시민천문대 일원에서 개최한다. 시민과 과학산업계 종사자가 참여하는 2023 과학마을 어울림마당 경기대회(29일)도 마련했다. 그동안 서울과 수도권에서 열리던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27일부터 4일간...
석유공룡 딱 걸렸다…엑손모빌 70년대에 이미 기후변화 정밀예측 2023-01-13 09:44:18
하버드대 과학사학자 나오미 오레스케스는 "이번 발견으로 엑손모빌 경영진의 위선이 분명히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오레스케스는 "그들은 자사 과학자가 매우 높은 수준의 작업을 수행했다는 걸 알고 있었고, 오직 자신들만 그 특권적 정보에 접근하면서 대중에는 기후 모델이 허풍이라고 주장해왔다"고 비판했다....
조선 실학자 홍대용의 '혼천시계' 260년만에 복원 2022-12-28 12:00:13
= 조선 시대 대표적 실학자이자 과학사상가 홍대용이 만든 천문시계 '혼천시계(통천의)'가 260년 만에 실물로 복원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은 28일 문헌으로만 전해지던 조선 후기 천문시계인 혼천시계 복원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혼천시계는 조선 후기 북학파 천문학자 홍대용과 호남 지역에서...
의대생이면 꼭 의사만 해야해?…이 청년들의 새로운 진로탐색법 [긱스] 2022-11-03 16:23:32
과학을 대중화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과학사를 판소리와 연극 방식으로 연출한 과학소리극을 만들었죠." (장혜리 씨·서울대 의대 박사과정생) "할머니가 요양병원에 계실 때 가족들이 할머니의 의료기록을 해석할 수도, 볼 수도 없는 게 안타까웠어요. 의료와 기술을 융합한 메타버스 병원을 만들어보자고 결심했어요."...
노벨화학상 2관왕 샤플리스 "열정이 나를 움직인 엔진" 2022-10-06 03:58:07
화학자로서 과학사에 이름을 남기게 됐다. 샤플리스 교수는 "(어린 시절) 낚시에 엄청난 열정을 갖고 있었지만, 학교는 그저 즐겼을 뿐 과학자가 되려고 계획한 적은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의사가 되기를 바랐던 부모의 뜻에 따라 학창 시절 프리메디컬 과정을 이수했고 이 과정에서 화학을 전공하게 됐다면서 당시...
지하 1천m 실험실서 먼 우주 신비를 찾다…베일 벗은 '예미랩' 2022-10-05 14:00:03
보손' 입자를 발견한 경우처럼 과학사에 한 획을 긋는 발견이 되리라는 것이 IBS의 설명이다. ◇ 우주선 등 배경 잡음 피하려 깊은 땅속으로 이들 실험을 이해했다면 왜 예미랩이 그렇게 깊은 지하에 건설돼야 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암흑물질 검출이나 '중성미자가 방출되지 않는 이중베타붕괴 현상'은...
[책마을]기술패권시대,과학기술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나 2022-09-14 17:36:02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과학사와는 다른 저자만의 독특한 시각도 흥미롭다. 저자는 인간 공동체의 형성과 인류문명의 시작이 음성 및 문자 언어를 통한 ‘생각의 공유와 지식의 확산’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소위 '중세 암흑기'에 대해서도 '논리적 사고의 확산과...
러 "국제우주정거장 손뗀다" 재확인…마지막 미러협력 파열음(종합) 2022-07-27 09:37:33
생명유지장치 운영을 전담한다. 시카고대학 소속 과학사 전문가 조던 빔은 "(이번 발표는) ISS의 미래에 좋지 않은 징조"라면서 "이는 정거장 유지와 관련해 쉽게 답을 찾을 수 없는 일단의 불확실성을 초래했다"고 말했다. 예컨대 ISS의 러시아 우주인들이 철수한다고 해도 ISS에 부착된 러시아 모듈들을 어떻게 처리할...
[주목! 이 책] 과학혁명의 기원 2022-07-22 17:55:36
서구 과학사를 집대성했다. 책은 과학이 혁명적 변화를 겪으며 발전했다는 토머스 쿤의 주장과 달리 과학이 시행착오를 겪으며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발전해왔음을 보여준다. 과학은 임의적이고 불완전하며 여러 우연이 겹쳐 탄생한 역사적 산물이라고도 말한다. 당대 문화와 사회, 경제, 종교와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