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노조 회계 투명성` 강화 본격 시동..."15일까지 장부 점검결과 공개하라" 2023-02-01 15:07:43
총 334곳(민간 253개, 공무원·교원 81개)에 점검 결과 보고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을 받은 노조는 서류 비치·보존 여부를 확인해 오는 15일까지 노동부 본부나 지방노동관서에 점검 결과서와 증빙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고용부는 노조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제출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법 위반 사실이...
정부, 노조 334곳에 자율점검 안내문 발송..."회계 서류 비치해라" 2022-12-29 18:04:28
노동관계조정법` 상의 노동조합 253곳과 공무원·교원 노조법상 공무원·교원 노동조합 81곳 등 334곳의 노조를 대상으로 29일 자율점검 안내문을 일괄 발송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6일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조합원 1천명 이상 단위노동조합과 연합단체 253곳을 대상으로 노동조합법에 따른 재정에 관한...
고용부, 334개 노조에 공문 "30일 안에 회계 관련 서류 비치하라" 2022-12-29 17:08:45
수 있도록 기회를 준다는 차원이다. 노조법 14조에 따른 비치 대상 서류는 ①조합원 명부, ②규약, ③임원의 성명?주소록, ④회의록, ⑤재정에 관한 장부와 서류 등이며 이 중 회의록과 재정 관련 서류는 3년간 보존 대상이다. 노조는 각 서류를 주된 사무소에 비치해야 한다. 노조는 자율점검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고용부...
[시사이슈 찬반토론] 전교조·공무원노조 전임자에 세금으로 급여 주는 타임오프, 타당한가 2022-06-06 10:00:10
처리했다. 공무원노조법과 교원노조법 개정안이다. 핵심은 타임오프제(근로시간면제제도) 적용이다. 민간기업에서 시행하는 타임오프를 공무원과 교사 노조에도 시행하는 것을 명문화하면서 뒷말이 적지 않다. 이 법에 문제가 많다며 강력 반대했던 반(反)전교조 성향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뒤늦게 자신들에게도...
"전교조에만 연 24억 지원"…타임오프제 교총 역차별 논란 [입법레이더] 2022-05-21 09:00:01
올해 초 교원노조 타임오프제가 환노위 전체회의를 통과하자 "국민의 세금으로 공무원·교원 노조 전임자 급여지급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며 "타임오프제는 국민 혈세를 낭비하는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비용은 교원 노조의 경우 전임자 1인당 월평균 약 570만원에 달할 것으로...
공무원·교원 타임오프제, 국회 환노위 통과 2022-05-04 11:33:20
공무원·교원 노동조합 전임자를 대상으로 근로시간 면제제도(타임오프)를 도입하는 내용의 공무원·교원노조법 개정안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했다. 국회 환노위는 4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고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과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혈세로 월급 주는 '타임오프제'…예산 편성권 내팽개친 국회 2022-01-05 17:13:18
노조법상 근로시간 면제 한도를 따르도록 한 이수진(더불어민주당)·박대수(국민의힘) 의원안은 전체 면제자(공무원·교원 합산) 1106명, 비용은 627억원에 달했다. 일반노조법상 면제 한도를 3분의 1만 적용하도록 한 장철민 민주당 의원안으로도 면제자 368명, 비용은 209억원으로 추산됐다. 발의 법안과 별개로 환노위...
與 '이재명표 법안' 속도전 2021-12-05 18:12:46
도입(공공기관 운영법 개정안)과 교원 타임오프제(교원노조법 개정안)는 아직 국회 소위에서 논의가 안 된 상태다. 민주당 지도부는 ‘민생·개혁 입법’ 추진을 이 후보의 지지율을 끌어올릴 동력으로 보고 정책의총에서 ‘입법 총력전’을 펴자고 제안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민주당 내에서 입법 강행에 따른 역풍을...
[시론] 부당노동행위 '형사처벌' 폐지해야 2021-10-06 17:13:16
3개 법안(노조법·교원노조법·공무원노조법)과 국제노동기구(ILO)의 결사의 자유 등 핵심협약 3개(87호·98호·29호) 비준을 각각 일사천리로 통과시켰다. 특히 노조법 개정은 헌법상 보장된 노동 3권(33조 1항) 중 노동계에 유리한 단결권에 집중해 해고자·실직자의 노동조합 가입을 ‘허용’하고, 노동조합 전임자의...
누가 기업에게 선악과를 건네는가 2021-06-21 18:01:00
‘노동 3법(노동조합법·공무원노조법·교원노조법 개정안)’이 줄지어 국회를 통과했다. 그리고 올 초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국회 문턱을 넘고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 법은 중대한 인명 피해를 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고용주에게 책임을 부과하겠다는 법안이다. 문제는 제재의 수위이다. 고용주는 단 한 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