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사] 한국신용평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농림축산식품부 등 2022-01-28 16:26:15
국립국어원 기획연수부장 정상원▷교육파견(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송윤석▷교육파견(국립외교원) 김도형 신은향 ◈보건복지부◎전보▷인구아동정책관 배금주 ◈여성가족부◎전보▷기획조정실장 김중열 ◈환경부◎승진·임용▷물관리위원회지원단장 이승환▷전북지방환경청장 유승광▷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
국립국어원장에 장소원 서울대 교수 2021-10-10 17:37:50
문화체육관광부는 제12대 국립국어원장에 장소원 서울대 교수(60·사진)를 최근 임명했다. 장 신임 원장은 국어학계 대표 학회인 국어학회장을 지냈다. 2020년 세계한국어대회 공동 조직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한글과 한국어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는 일에 기여했다.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 국어 정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인사] 산업통상자원부 ; 국방부; 법무부 등 2021-10-08 17:15:58
국립국어원장 장소원▷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 이해돈▷미디어정책국장 황성운 ◈행정안전부◎전보▷지방재정경제실장 김장회▷안전정책실장 이용철▷지방자치인재개발원장 윤종진▷경기도 행정1부지사 오병권◎승진▷정부청사관리본부 청사시설기획관 조성환 ◈관세청◎승진·전보▷조사국장 이근...
권재일 한글학회장 "베프보다 우리말 '깐부'가 더 정겹지 않나요" 2021-10-07 18:52:16
올해엔 ‘한국어 교육’을 주제로 정했다”고 했다. 평생을 국어연구에 매진한 권 회장은 국립국어원장 시절엔 ‘짜장면 원장’으로 유명했다. ‘자장면’만 표준어로 인정하던 오랜 관행을 깨고 ‘짜장면’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면서다. 오랜 전통을 지닌 한글학회에서도 끊임없는 ‘점진적 변화’를 계속해나가겠다는...
제40회 세종문화상에 한글과컴퓨터·이찬해 총장 등 선정 2021-10-04 17:13:19
국어문화원 원장이 선정됐다. CJ문화재단(대표 이재현)은 전통·독립예술 등 예술가 600여 명의 창작활동을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다양성 부문상을 수상하게 됐다. 한글 발전 유공자 포상 및 표창 수상자로는 30년간 한국어 사전 편찬에 매진한 고(故) 안상순 전 금성출판사 사전팀장, 세계에 한글 설치미술을 널리...
숭실대-국립국어원, ‘2021 국내 한국어교원 배움이음터’ 온라인 개최 2021-08-09 11:38:38
한국어 교수법 강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 집필진들도 강사진으로 나서 교재의 구성 및 의미, 교재 활용법 등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이론서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효과적인 수업 방법 등 교육 정보를 얻어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국립국어원 소강춘 원장은 “코로나19로 교육 현장의...
'잘풀리는집'·'비비고'·'머리에봄'…우리말 우수상표 선정 2020-10-06 09:00:02
비비고가 각각 뽑혔다. 국립국어원장상인 '정다운 상표'에는 머리에봄, 자연한잎, 딤채, 틈틈이, 발라발라, 빛이예쁜우리집 등 6개가 선정됐다. 이번 대회는 외국어 상표나 무분별한 디지털 약어와 은어·속어 등이 범람하는 가운데 친근감이 가면서 부르기 쉽고 세련된 우리말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수한 우리말 상표 도전해보세요…특허청 공모 2020-08-11 08:56:09
제외된다. 국립국어원이 추천한 국어전문가가 우리말의 규칙성, 고유성 등을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고 특허고객과 심사관의 온라인 투표 순위와 합산해 선정한다. 아름다운 상표(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고운 상표(특허청장상), 정다운 상표(국립국어원장상 5건)를 시상한다. 문삼섭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부르기...
법사위 중요한 이유 '체계·자구 심사권'…무슨 뜻인가요? [국물보] 2020-06-28 08:00:02
발의가 필요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국립국어원은 체계와 자구가 한자어인 만큼 이 단어를 풀어쓴다면 국민들에게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현재 국립국어원 차원에서 외래어나 한자어 다듬은 말 1만8000개를 사용 권장하고 있다. 법령에 있는 어려운 단어들을 국민들이 쉽...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외래어 대 다듬은말', 언중의 선택은? 2020-05-11 09:00:59
전 국립국어원장이 한 인터뷰에서 지적한 데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요즘 ‘(병)따개’라고 쓰는 말을 예전엔 ‘오프너’라고 했습니다. 애초 정부에서 순화 작업을 하면서 제시한 말은 ‘마개뽑이’였는데, 그리 호응받지 못했어요. 대신 누군가가 쓰기 시작한 따개가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은 것이지요.” 순화작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