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헬릭스미스, ADHD 치료물질 ‘HX106’ 국내 특허 획득 2022-03-03 09:39:39
ADHD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활성화'를 저해한다. 대표적인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와 병용한 연구자 임상에서 ADHD 환아의 주의력 저하 및 과잉활동을 메틸페니데이트 단독 복용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또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검사에서 주의력...
"케타민, 자살생각 없앤다" 2022-02-09 10:20:32
케타민은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향정신성 약물로 주로 마취제로 쓰이지만, 저용량을 투여했을 때 지속적인 항우울 효과가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적지 않아 우울증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프랑스 몽펠리에(Montpellier) 대학병원 정신과 전문의 모크란 아바르 교수 연구팀이...
뉴로라이브, 우울증 치료제 'NR-0601' 임상 1상 진입 2021-12-30 10:17:47
'NR-0601'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작용제(NMDA)와 GSK 억제제(GSK inhibitor) 역할을 주로 한다. 최소 9개의 표적을 장악하는 다중신약재창출(Multi-drug repositioning)로 제작된 고정용량복합제(Fixed dose combination drug)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우울증이 지금 우리를 가장 힘들게 하는 질환 3위이지만...
뉴로라이브, 우울증 치료제 'NR-0601' 임상 1상 진입 2021-12-30 10:03:30
1상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NR-0601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작용제와 'GSK' 억제제 역할을 주로 한다. 또 최소 9개의 표적을 장악하는 다중신약재창출(Multi-drug repositioning)로 제작된 고정용량복합제(Fixed dose combination drug)란 설명이다. 뉴로라이브는 임상 1상과 동시에,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과식은 중독"…식탐 못참는 비밀 풀렸다 2021-10-15 16:44:41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라고 불리는 이 뇌세포는 글루타메이트라는 흥분성 신호전달물질에 반응한다. 연구진은 이 뉴런이 뇌의 복측피개영역과 활발하게 신호를 주고받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복측피개영역은 중독을 일으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위다. 약물과 같은 보상 자극에 의해 이 부위가...
"과식은 중독"…계속 과식하는 메커니즘의 비밀[최지원의 사이언스 톡(talk)] 2021-10-15 08:42:43
넘어선 중독에 가깝다는 것이다.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라고 불리는 이 뇌세포는 ‘글루타메이트’라는 흥분성 신호전달물질에 반응한다. 뇌의 외측 시상하부 영역에 위치하며, 섭식을 포함해 보상 등의 동기가 부여된 행동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연구진은 이 뉴런이 뇌의 복측피개영역과...
지엔티파마 '뇌졸중 치료제' 임상 3상 승인 2021-08-31 18:06:32
나뉜다. 혈관이 막히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대량 방출된다. 이 물질은 신경세포에 있는 단백질의 일종인 NMDA 수용체를 자극해 결과적으로 뇌신경세포를 죽인다. 막힌 혈관이 뚫리면 쌓여 있던 활성산소가 문제가 된다. 이 활성산소의 독성으로 인해 뇌신경세포가 손상된다. 지엔티파마가 개발 중인 치료제는...
성기능 저하 주범 뱃살…단기간에 효과적으로 빼는 법 [건강!톡] 2021-08-09 15:47:00
통해 대사체(대사 산물)를 측정했더니, 고강도 운동이 대사체의 80%를 크게 변화시켰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특히, 당뇨·심장병, 고혈압 등과 관련이 있는 대사체 글루타메이트가 29% 감소했고, 간질환, 당뇨병과 관련된 디메틸구아니딘 발레레이트(DMGV)의 수치는 18% 감소했다. 특히 여성 참가자들에서, 체질량...
"루게릭병 치료제 릴루졸, 치매에도 효과" 2021-07-30 09:07:42
릴루졸은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보내는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를 조절한다. 글루타메이트 조절이 안 되면 치매 발생과 연관이 있는 신경독성의 악순환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발견 재단(ADDF: Alzheimer's Drug Discovery Foundation) 연구실장...
뇌·심근경색 치료 복병 ‘재관류 손상’…제일약품 등 도전장 2021-07-15 11:25:06
내에 ‘글루타메이트’가 과량으로 방출된다. 글루타메이트는 'NMDA' 수용체를 자극해 뇌세포의 사멸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뇌경색이 일어난다. 이후 뇌경색을 치료하는 과정에서는 막혀있던 혈류가 급작스럽게 흐르면서 활성산소가 과다 발생한다. 활성산소로 인해 뇌세포가 죽는 재관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