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꼭꼭 숨어라 주름 보일라 2022-04-05 17:19:00
프로테오글리칸의 연어 3종 콤플렉스가 주름 속 영양과 수분을 전달해 피부 탄력을 강화하고 은은한 광채를 선사한다. 촘촘한 그물망 구조의 첨단 바이오필름이 링클 부위의 보호막을 형성해 메이크업 지속력을 높여준다. 4 라보타치 미간 주름 케어 패치 다시마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감태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이...
신종 코로나 침방울에 오염된 식탁, 전염 위험 얼마나 클까 2022-03-10 17:47:44
건 글리칸(glycan·다당류)이 달라붙는 특별한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감염할 땐 숙주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ACE2 수용체의 글리칸 부분과 결합한다. 그런데 무친 단백질은 신종 코로나가 숙주세포에 도달하기 전에 낚아채는 미끼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점액이나 타액에 무친 단백질이 없을 때...
바이오플러스 “유착방지제, 글로벌 기업과 기술이전 논의 중” 2021-11-25 08:41:12
복합물질로 방광벽의 손상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층을 재건한다. GAG층은 소변 등 노폐물로부터 방광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바이오플러스는 내년에 브래드 케어를 본격 출시한다. 브래드 케어의 기반은 바이오플러스의 플랫폼 기술인 ‘MDM테크’다. MDM테크는 분자와 분자를 이어주는 독자 가교물질인 ‘DVS’를...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약탈하고 쓸모있는 사람을 강제이주시켰던 몽골, 역참 설치해 교류…'진정한 세계화의 첫발' 평가 2021-10-18 09:00:01
캉글리, 알란인과 이란 아랍 계통의 무슬림이 동원됐다. 킵차크와 알란, 캉글리 출신들은 주로 군사 분야에 동원됐고 위구르인은 재정과 행정 분야에, 티베트인은 불교 분야에 주로 배치됐다. 좀 더 후대의 일이긴 하지만 서아시아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훌레구에게 몽골의 대칸이었던 묑케가 몽골 최고의 레슬링 선수를...
바이오플러스 “독자 HA 기술 보유…2025년 3000억원 매출 목표” 2021-09-08 13:43:51
방광염치료제다. 글리코스 아미노글리칸(GAG)층을 보충해 일시적으로 방광염 증상을 개선하는 제품이다. 오는 11월 국내 허가 완료 후 출시를 목표하고 있다. 방광염치료제에 대한 수출용 허가는 지난 1월에 받았다. 현재 주요 국가와 수출에 대해 협의 중이다. 중장기 미래 먹거리로는 HA생체유방과 개량형 보툴리눔 톡신...
지플러스생명과학, 식물 기반 코로나 백신 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2021-09-03 09:18:08
백신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했다. '그린 백신'은 식물을 생산 플랫폼으로 활용해 생산되는 재조합단백질 백신이다. 특히 면역원성을 일으킬 수 있는 식물 특이적 당사슬을 유전자가위로 편집한 'N-글리칸' 변형 식물체에서 단백질을 생산해 부작용을 최소화했다....
'안철수 딸' 안설희, 코로나 침투 관문 찾아…논문 제1저자 등재 2021-08-23 08:19:32
글리칸)이 코팅되어 있는데, 이 글리칸이 지렛대처럼 작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를 바꿔 인체의 수용체에 결합하기 좋은 형태로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이 당 사슬은 아주 희귀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면역체계를 속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과거 정지 상태의 사진으로만 밝혀졌지만, 연구진은...
[사이테크 플러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세포 침투 시작되는 '관문' 찾았다 2021-08-20 14:17:30
비밀을 규명한 것으로 이번에 발견한 글리칸 관문이 없으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본적으로 전염력을 잃게 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접근한 뒤 글리칸 관문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활성화되면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사이테크 플러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침투 위장술 뚫을 방법 찾았다 2021-08-11 14:45:07
전염력에 중요한 스파이크 단백질을 보호하기 위해 '글리코실화'(glycosylation)라는 반응을 통해 스파이크 단백질 표면을 당화합물인 글리칸(glycan)으로 덮어 위장하는 방법으로 인체 면역체계를 속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위장술을...
신종 코로나 스파이크 단백질의 변신, '정지화면'에 딱 잡혔다 2020-07-22 15:22:17
후 스파이크 단백질에 글리칸(Glycan) 당 사슬(탄수화물이나 당의 사슬 구조 화합물)이 여전히 들어 있는 것도 연구팀의 관심을 끌었다. 글리칸은 바이러스의 면역 감시망 회피를 돕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스파이크 단백질로 인체 면역계를 자극하는 현재의 백신 제조 방법엔 문제가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