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게시판] 주일 한국대사관 부지 기증자 '서갑호의 날' 기념식 2024-11-01 16:22:26
[게시판] 주일 한국대사관 부지 기증자 '서갑호의 날' 기념식 ▲ 주일 한국대사관은 1일 고(故) 서갑호(1915∼1976) 방림방적 설립자가 현 대사관 부지를 무상 기증한 날을 '서갑호의 날'로 지정해 유가족을 초청한 가운데 첫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고인은 현 주일 한국대사관과 대사관저가 들어선...
[한경에세이] 가장 아름다운 '극한 직업' 2024-10-29 17:15:45
트랙에 맞춰 놨어요, 아이가 마지막으로 파도 소리를 듣게 해 주세요….” 지금 이 시각에도 매우 안타깝지만, 생명 나눔으로 생명 이음을 실천하기 위해 숭고한 결정을 내려주신 잠재 뇌사 장기 기증자의 가족이 계실 것이다. 나는 기증자 가족의 전화벨이 울리면 모든 일을 내려놓고, 대한민국 어느 곳이든 달려가는...
신장 이식 기다리다가 결국…3명에 새 삶 선물하고 떠났다 2024-10-29 14:21:22
아픔으로 힘들었지만, 소중한 생명나눔으로 삶의 기회를 얻게 되셨으니 건강하게 잘 지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삼열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원장은 "이식을 기다리다 삶의 끝에서 기증으로 다른 이의 생명을 살린 기증자와 유가족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며 "생명을 살리고 떠난 기증자의 아름다운 모습이 사회를...
"장기기증 희망하시나요?"…운전면허 발급 때 묻게 될까 2024-10-29 08:50:23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5만1857명이다. 하지만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10분의 1도 되지 않는 483명에 불과해 기증자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매일 7.9 명의 환자가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 목숨을 잃고 있다. 국내 장기·조직 기증 누적 희망 등록자가 178만 명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전체 국민의 3.4%로...
방심위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에 SBS 8 뉴스 '울림된 청년' 2024-10-22 16:25:30
이 프로그램은 뇌사 기증자의 장기 적출이 이뤄지는 수술실로 가는 길인 '울림길'을 국내 최초로 보도했다. 우리나라의 장기 기증 실태와 절차의 현실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기증자와 그 가족에 대한 존경과 예우, 제도 보완의 필요성과 함께 장기 기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촉구해 호평받았다. 지상파TV...
"나 살아있다" 장기 적출 직전 깨어난 뇌사 환자…美 '발칵' 2024-10-21 18:58:20
관련 자료를 제출하며 "장기 기증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켄터키 장기 기증 파트너와 병원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살아있는 환자의 장기를 절대 적출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켄터키주 법무부 장관과 미국 보건 서비스 자원국이 해당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에 나선 상태다....
삼성서울병원, 4년째 '가장 스마트한 병원'…암 치료 세계 3위 2024-10-15 16:48:32
이식외과는 지난해 11월 국내 최초로 생체 기증자 소형 간 좌엽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를 공개하고,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에 이를 게재했다. 수술 후 7일 째 되던 날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식 수술 때보다 이식 간 용량이 45.3%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좌엽이 자라면서 제 기능을 하는 모습을 확인한 후...
간 이식, 기증자도 흉터 적은 복강경…서울대병원 서경석 교수 500건 돌파 2024-10-10 10:17:35
복강경 기증자 간 절제술이 표준 수술법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할 수 있어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복강경 간 수술을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로봇 수술이 점차 선호되는 추세”라며 “로봇 수술은 손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국내에서는 고비용 문제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환자에 새 심장 선물하는 의사…1년 생존율 95% '세계 최고' 2024-10-04 18:29:05
장기이식은 ‘종합예술’로 불린다. 기증자 관리부터 이식 장기의 보관·운반, 이식 대상자 수술, 수술 후 관리까지 일사불란하게 이뤄져야 한다. 임상강사(펠로) 때부터 기증자 장기 구득을 위해 전국을 다닌 정 교수는 빠르게 장기를 이송하기 위해 비행기나 기차를 멈추는 일도 종종 있었다고 했다. 국내 의료기관의...
[한경에세이] 별자리를 사랑했던 딸에게 2024-10-01 17:35:02
사랑해.” 남편이 눈물을 흘리며 읽는 추도사는 함께 일했던 동료들을 가슴 아리게 했다. 이와 같은 눈부신 생명 이음 사례는 비단 우리 국민에 그치지 않는다. 요즘은 외국 국적 장기기증자도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는 해마다 7~8명(총 기증자 중 약 1.7%)의 외국인이 장기기증을 통해 인류애를 실천하고 있다. 누군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