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후위기, 농촌 사막화, 통상파고 거세지만 K푸드 희망 있다! 2025-01-06 17:00:25
선정 발표했습니다. 농협미래전략연구소가 발표한 주요 이슈는 △기후쇼크, 농장에서 식탁까지 △한국형 농업인 소득·경영 안전망 △농촌 사회서비스 사막화 △쌀 수급 균형 △식량안보 대응 강화 △농산물 도매시장 혁신 △첨단기술로 진화하는 농식품 산업지형 △공동영농을 통한 영농효율화 △트럼프 2.0시대, 거세지는...
하지원 에코나우 대표 "기후 리더가 세상 바꿔…환경교육 선봉장 될 것" 2025-01-03 06:02:01
UN생물다양성유스포럼 개최를 통해 환경교육과 캠페인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환경건강연구소와 ESG생활연구소, 방배숲환경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국무총리실 미세먼지특별위원회 위원, 서울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기후변화적응분과 위원장 등을 맡으며 기후 환경 전문가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재생'으로 담은 '아름다움'...소비자와 지구를 지키다 2025-01-03 06:01:23
인권이나 난민 인권, 동물실험 반대, 대체 실험 연구소 지원, 농약을 쓰지 않고 자연의 순리로 돌아가는 재생 농업 등이다.” - 직원들에게 기업가치를 내재화하기 위해 어떻게 알리고 있나. “인사팀에서 운영하는 제품 트레이너가 있다. 각 제품의 특성 및 러쉬의 동물, 인권 캠페인 등 기업 이념에 대해 세세하게 전달...
2025년을 이끌 글로벌 산업 트렌드는 2025-01-03 06:01:19
정부에서는 기후 기술과 관련한 산업에 보조금을 주어 성장시키고 있다. 실제 현업에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사람의 눈높이는 2022∽2023년과 비교할 때 많이 정상화됐다. 당시에는 모든 기후 기술 관련 산업이 금방이라도 개화되고 세상이 변할 것처럼 행동했던 사람들도 2024년을 거치면서 기왕 사용하던 기술과 산업의...
[칼럼] 탈탄소 압력 약해질 것이라는 것은 오산 2025-01-03 06:00:43
사실이지만, 세계적으로 느슨해지는 기후 행동과 압력 때문에 선진국 정부, 기업 및 이해관계자로부터 한국 기업이 받는 압력도 약해질 것이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트럼프는 반환경주의자가 아니라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자국우선주의 맹신자이기에 환경보호를 보호무역 수단으로 사용할 ...
[사이테크+] 철새 박쥐 수천㎞ 이동의 비밀…"폭풍 타고 하룻밤 380㎞ 비행" 2025-01-03 05:00:00
380㎞ 이상을 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막스 플랑크 동물행동 연구소(MPIAB) 에드워드 허미 박사팀은 3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유럽 대륙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작은멧박쥐(common noctule bat)에 초경량 지능형 센서를 부착, 이들이 적은 에너지로 더 멀리 날아가는 전략을 규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
삼성화재,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 편입 2024-12-19 10:11:32
ESG 경영 성과를 입증했다는 평가다. 삼성화재는 환경 부문에서는 친환경 투자확대와 생물다양성(TNFD) 자연 의존도 및 영향도 분석을 공개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환경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 부문에서는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암환자 삶의 질 연구소'를 개소하는 등 고객중심의 상생금융을 실천하고,...
극지연구소-국립인천해양박물관, '극지 자료 제공·전시' 협약 2024-12-17 11:21:49
방면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17일 극지연구소와 인천해양박물관에 따르면 두 기관은 △극지 해양 생물·생태·환경·기후변화 등 공동 조사연구 △극지 해양 학술연구 자료 및 장비 활용 △극지 해양과학 및 문화유산에 관한 공동 전시 기획 △극지 해양과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학술대회 공동 개최 △전문 인력 교류 등...
퇴보하는 ESG 투자…"환경분야 집중 등 제도적 변화 필요" 2024-12-16 09:30:00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해서는 전문기관이 개별 기업의 기후 리스크 대응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금융회사는 그 평가정보를 영업에 적극 활용하도록 유인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기업은 지속가능성 이슈를 법규준수(compliance)나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중장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