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고] 탄소산업이 '그린·디지털 시대' 이끌 것 2022-02-23 17:11:48
3차 산업혁명과 나노 단위 소재·부품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기술 중심에는 소재가 있었다. 탄소 소재의 다양한 특성과 우수한 성능은 철에서 실리콘을 거쳐 새로운 미래 산업을 지지하는 핵심 소재·부품 기술이 될 것이다. 탄소 소재는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부, 내년 기계·장비·로봇 예산 3천834억원…7.6% 증액 2021-12-22 11:00:02
고중량 구조물 가공 시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기계의 에너지 소비 효율화와 제조공정의 폐열을 활용하는 열전발전시스템 개발을 지원한다. 디지털 전환 측면에선 스마트·융복합·서비스화를 중점 추진한다. 건설·농기계에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융합해 농기계의 제초·방제 작업을 고도화하고,...
모인, VR 플랫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개발 2021-11-09 15:50:59
나노 단위의 오차범위를 자랑한다. 기존 광학 방식 구조에서 탈피해 별다른 구조물 없이도 다수의 플레이어와 함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양산형 제품은 단가를 최대한 낮춰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기업들의 본격적인 VR 콘텐츠 개발도 기대해볼 수 있다. 옥재윤 대표는 “‘4차 산업혁명 우수기업’에...
수소연료전지 수명 늘릴 백금 나노구조 전극 개발 2021-08-08 12:00:10
밝혔다. 수소연료전지의 촉매로 사용되는 백금은 나노미터(nm) 크기일 때 서로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 안정적이지 못하다. 이 때문에 단독으로 촉매 소재로 활용이 불가능하다. 현재 상용화된 촉매는 2∼5nm 크기의 백금 나노입자를 탄소 입자 위에 붙여 안정화하는데, 탄소 입자는 연료 전지를 반복적으로 구동하는 과정에...
부산대 양산캠퍼스에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 구축 2021-06-22 08:44:30
구조 연구, 세포내 구조물의 고해상 구조분석 연구, 유무기 하이브리드(hybrid) 물질 및 나노 입자의 구조분석 연구 등 생명과학, 의·약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농수산학, 재료공학 등의 다양한 첨단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암과 같은 난치병의 진단법과 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해 구조생물학계 및 의학계의 최첨단...
포인트엔지니어링, '프로브 핀' 기술로 승부수…해외선 진작 러브콜 [인터뷰+] 2021-05-11 06:43:14
AAO 몰드를 이용한 프로브핀은 미세한 구조물의 빔도 핀 내부에 구현할 수 있다. 21층 이상의 도금층도 형성이 가능하다.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만큼, 고객사가 원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해당 프로브 핀이 적용된 프로브 카드는 8월초부터 대량 양산할 계획이다. 회사는 이 사업을 위해 자체자금...
IBM, 세계 최초 ‘2나노 반도체’ 테스트칩 개발 성공 2021-05-06 19:04:02
구조화 방식을 골몰하고 있다. 이번 IBM의 2nm 테스트칩은 나노시트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첫 성공작이다. 그간 초미세 공정에서 주로 쓰여온 3D 구조 기반의 ‘핀펫(돌출형 게이트 배치)’ 방식이나 GAA(Gate All Around) 기반 ‘나노와이어(줄 모양의 게이트 배치)’ 방식과는 결이 다른 것으로 평가받는다. 나노시트는...
[커버스토리-part.3] DDS 정복 기업, 헤게모니 쥘 것 2020-10-26 11:10:26
달리 레모넥스는 실리카(규소)로 만든 나노구조물을 이용했다. 원철희 레모넥스 대표는 “실리카는 FDA에서 GRAS (Genarally Recogized As Safe) 등급을 받은 안전한 소재다. 게다가 리포솜처럼 저온 또는 냉동 보관하지 않아도 돼 상온 유통을 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레모넥스가 설명하는 디그레이더볼의...
[커버스토리-part.3] 바이오니아 "독성 없는 SAMiRNA 기술 확보…폐섬유화증,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도전" 2020-10-26 10:54:53
구형 구조물을 유지해 그 안에 든 siRNA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준다. 바이오니아는 SAMiRNA를 활용한 특발성폐섬유화증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폐섬유화를 일으키는 엠피레귤린(amphiregulin)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담았다. 바이오니아와 미국 예일대와의 공동연구 결과, 우선 찾아낸 폐섬유화증의 범인은 TGFβ...
365mc·KAIST, 지방흡입 도구 캐뉼라 개발 협력 2020-10-20 02:33:02
것. KAIST 유체역학·나노소재 두 명의 권위자, 공동연구 나서프로젝트 연구에는 KAIST의 김대겸, 김산하 교수 두 석학이 나섰다. KAIST 기계공학과 김대겸 교수는 물, 공기 등의 유체와 외부에서 움직이는 구조물과의 상호작용 연구를 이어온 유체역학 분야의 권위자다. 김대겸 교수는 “인체 지방과 비슷한 유체가 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