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천하무적' 부럽다…"올해 AI매출 43조원 넘어설 전망" 2025-01-27 14:10:13
나노미터·10억분의 1m)와 5나노 관련 생산 시설의 가동률 포화와 고객사의 2나노와 A16(1.6나노 공정) 제품의 사전 예약으로 인해 실적 호황을 누릴 것으로 추정했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하는 단위로,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앞선 양산 기술은 3나노다....
"TSMC, 올해 AI 매출 43조 초과 예상" 2025-01-27 13:55:43
높은 3㎚(나노미터·10억분의 1m)와 5나노 관련 생산 시설의 가동률 포화와 고객사의 2나노와 A16(1.6나노 공정) 제품의 사전 예약으로 인해 실적 호황을 누릴 것으로 추정했다. 다른 소식통은 TSMC의 AI 관련 매출이 지난해 약 4천341억 대만달러(약 18조9천억원)에 달했다면서 올해는 지난해 2배인 8천683억 대만달러(약...
삼성 반도체 '올인'했다는데…업계에 퍼진 '파다한 소문'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1-27 11:33:57
나노미터(nm·1nm=10억분의 1m) 6세대 D램(1c D램) 양산 ③ 올 4분기 1c D램을 코어 다이로 하는 HBM4 양산 후 대형 고객사 납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만 되면 삼성전자는 '팀 엔비디아'에 합류, 전성기 시절의 위용을 되찾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삼성 딜레마 (1) 단기간에 회복 어려운 기술 리더십과 실적...
中 '칩 홀로서기'…韓과 기술격차 불과 3년 2025-01-26 17:12:11
나노미터(㎚·1㎚=10억분의 1m)기술로 양산한 DDR5 D램으로 확인됐다. 26일 산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전문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유통시장에 나온 32GB DDR5 D램 모듈은 CXMT의 16Gb(기가비트) DDR5 D램 16개로 구성됐다”며 “CXMT의 최신 16㎚ ‘G4’ D램 기술이 적용됐다”고 밝혔다....
"中 CXMT D램 성능, 삼성·SK 못지않아"…K메모리 '초긴장' 2025-01-26 16:58:28
10나노미터(㎚·1㎚=10억분의 1m) 3세대(1z) 기술로 양산한 게 확인되면서 우려는 현실이 됐다. CXMT의 ‘저가 물량공세’ 리스트에 DDR4에 이어 DDR5까지 들어가면 안 그래도 적자를 보는 국내 기업들의 범용 D램 수익성이 한층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中 D램 ‘비트 밀도’ 높아26일 반도체 전문 시장조사업체...
"中, 치킨게임 안 통해 더 위협적…EUV 없이 11나노 D램 양산할 것" 2025-01-26 16:57:09
“16나노미터(㎚·1㎚=10억분의 1m)에 놀라긴 이릅니다.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는 향후 11㎚ D램까지 양산할 역량이 있다고 봅니다.”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사진)는 2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메모리산업의 가장 큰 위협 요인은 중국 CXMT의 거센 추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서울대...
[사설] 16나노로 턱밑까지 쫓아온 中 반도체…정치권은 어딜 보고 있나 2025-01-26 16:12:27
나노미터(nm) DDR5 D램을 양산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 D램 기업과 기술 격차가 2~3년으로 좁혀졌다는 의미로, 우리 기업들에 비상등이 켜졌다. CXMT는 2016년 설립 이후 중국 정부의 대규모 보조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D램 시장점유율에서 매출 기준으로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한국이 위험해진다" 경고…中 무서운 추격에 '초비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1-25 15:07:55
15나노미터(nm·1nm=10억분의 1m)~20nm를 썼고 우리나라 기업은 DDR5 양산 때 11~15nm를 활용합니다. 아직은 기술 격차는 있죠." ▶'격차가 몇 년'이라고 진단할 수 있을까요. "3~4년 전에 CXMT에 대한 우려가 나올 때 한국과 D램 격차를 10년이라고 봤습니다. 논문 나오는 것들 보면 지난해엔 5년이라고 봤는데,...
머스크發 호재...LS 일렉트릭·테크윙 급등 2025-01-20 07:47:44
10나노미터(nm·10억 분의 1m)급 6세대 D램 수혜주로 떠올랐다.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 TSMC의 호실적에 힘입은 반도체 업종 전반의 강세와 회사의 고대역메모리(HBM) 검사장비 ‘큐브 프로버’가 삼성전자로부터 첫 양산 승인을 받은 것도 주가를 밀어올렸다. 테크윙은 전날보다 6% 상승 마감했다. SKC는...
"중국, 큰일 내겠네"…'60% 폭등' 주가 치솟은 회사 정체 [양병훈의 해외주식 꿀팁] 2025-01-18 20:09:10
기업이 생산할 수 있는 반도체는 현재 7㎚(나노미터)짜리가 최첨단입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삼성전자, 대만의 TSMC는 올해 내로 2㎚ 반도체 양산을 시작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일본 기업 라피더스가 올 6월까지 미국 브로드컴에 2㎚ 반도체 시제품을 공급한다는 뉴스도 나왔습니다. 반도체의 성능을 얘기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