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진에어, 내달부터 전 노선에서 라면 판매 중단 2024-09-12 16:29:21
이러한 조치는 난기류로 인한 화상 등 기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난기류 안전 대책 강화 권고에 따른 것이다. 기존에도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용 비닐 지퍼백에 컵라면을 담아 제공해왔으나, 진에어는 화상 등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진에어는 라면...
"앞으로 기내서 컵라면 못 먹는다"…결국 판매 중단한 진에어 2024-09-12 15:55:21
누룽지 등 총 5종이다. 이번 판매 중단은 난기류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 기내 안전사고 예방과 국토교통부의 난기류 안전 대책 강화 권고에 따른 조치이다. 진에어는 라면 서비스 중단 이후 대체 간편식을 도입하고 사전 주문 기내식 서비스를 확대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진에어에 따르면 기존에도...
하늘 날던 여객기가 '출렁'…또 난기류 사고 2024-09-07 14:56:51
런던발 싱가포르행 싱가포르항공 여객기가 난기류를 만나 비상착륙 하는 과정에서 1명이 숨지고 85명이 다쳤다. 7월에는 우루과이로 향하던 스페인 국적 에어 유로파 여객기가 난기류를 만나 30여명이 다쳤다. 이달 들어서도 5일 대만행 튀르키예 항공 여객기가 난기류에 부딪혀 7명이 부상했다. 지난 4일에는 일본항공(JAL)...
중국행 싱가포르 여객기 난기류에 탑승자 7명 부상 2024-09-07 14:41:01
국적 에어 유로파 여객기가 난기류를 만나 30여명이 다쳤다. 이달 들어서도 5일 대만행 튀르키예 항공 여객기가 난기류에 부딪혀 7명이 부상했다. 지난 4일에는 일본항공(JAL) 여객기가 한국 상공을 비행하던 중 크게 흔들려 승무원이 골절상을 입었다. doub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한국 상공서 JAL기 크게 흔들려…승무원 부상 2024-09-06 21:07:06
넘어지면서 좌석에 심하게 부딪혀 늑골이 부러졌다. 여객기에는 승객과 승무원 총 132명이 탑승했으며 이 승무원 외 다른 부상자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는 "항공기가 난기류에 휘말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운수안전위는 이날 한국 측으로부터 이번 사안 조사를 위임받아 항공사고 조사관 2명을 조사...
한국 상공서 JAL기 흔들림에 승무원 골절상…日정부 조사 착수(종합) 2024-09-06 19:47:17
조사 착수(종합) 서울 동쪽 200㎞ 지점서 사고…"난기류 휘말렸을 가능성"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항공(JAL) 여객기가 지난 4일 한국 상공을 비행하던 중 크게 흔들려 기내에서 승무원이 골절상을 입었다. 6일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달 4일 오후 7시께 중국 베이징에서 도쿄 하네다공항으로...
한국 상공서 JAL기 흔들림에 승무원 골절상…"난기류 가능성" 2024-09-06 15:10:35
상공서 JAL기 흔들림에 승무원 골절상…"난기류 가능성" 서울 동쪽 200㎞ 지점서 사고…日언론 "원인 조사 등은 한국이 판단"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항공(JAL) 여객기가 지난 4일 한국 상공을 비행하던 중 크게 흔들려 기내에서 승무원이 골절상을 입었다. 6일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달...
"목숨보다 소중"…루이비통 가방 옆자리에 모신 승객의 최후 2024-08-19 17:48:42
놓겠다고 고집했고, 승무원이 난기류 등 사고 위험을 들며 다시 설명했지만, 재차 거부했다. 1시간 동안의 실랑이 끝에 기장은 공항 경찰을 불렀고, 공항 경찰은 이 여성을 강제로 하차시켰다. 항공기는 이륙 준비 후 활주로에 진입항 상황에서 이 승객 때문에 탑승 게이트로 회항해야만 했다. 이 상황이 담긴 영상은 중국...
난기류 피해 막자…중장거리 노선 착륙 40분전 기내서비스 종료 2024-08-15 11:00:05
난기류 사고 예방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난기류를 맞닥뜨리면 즉시 기내식과 면세품 판매 등 객실 서비스를 중단하는 표준 절차를 마련한다. 착륙 과정에서 난기류가 빈발하는 점에서 중·장거리 노선은 착륙 40분 전까지, 단거리 노선은 15분 전까지 기내 서비스를 마치도록 권고한다. 기존보다 서비스 종료 시점을 최대...
"기상정보 공유 확대"…국토부, '난기류 사고예방대책' 발표 2024-08-15 11:00:01
또한 항공분야 국제회의를 통해 난기류정보 공유 매커니즘을 구축하고 국가간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도록 제안할 예정이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난기류 사고는 완벽하게 예방하기 어렵지만 국토부는 사고를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비행 중 상시 좌석벨트를 착용하고 승무원의 안전지시를 준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