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스마트 농업의 메카…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1주년(종합) 2016-07-22 10:33:50
농가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전달하는 '신(新)농사직설' 서비스를 구축했다. SK텔레콤[017670]은 세종센터 협력업체 중 농업 분야 ICT전문기업 9개사와 함께스마트팜을 전국으로 확산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세종센터는 고학력·경력단절 여성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매월 '창업여풍...
[역사 속 숨은 경제이야기] 세종대왕은 한계효용 개념을 알고 한글을 만들었을까? 2016-01-22 20:21:45
『농사직설』을 발간해 전국에 보급하는가 하면, 조선의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문화재인 혼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모두 세종의 업적이었다.세종은 김종서와 최윤덕을 통해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의 여진을 몰아내고 해당 지역을 확고하게 우리 영토로 편입시키기도 했다. 분명 이러한 세종의 업적은 우리 역사의...
[노규수의 현대문화평설] 생산(生産)하지 말고 매개(媒介)하라 2015-09-30 14:07:56
`농사직설(農事直說)`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이 중국 의서(醫書)에서 벗어난 한국적 의학 이론이듯이, `농사직설` 역시 중국의 농서(農書)에서 벗어난 한국적 농업이론이다. 당시 정부가 도지사(관찰사)들을 통해 농작물 재배 경험이 풍부하고, 산출량이 높은 농업인들로부터 농업기술을 수집해 정리한 것이다....
[한국경제 돌파구…창조경제혁신센터] ICT 접목한 '스마트 팜' 육성…귀농 꿈꾸는 은퇴 예정자 교육 2015-08-20 07:01:16
지원하는 시범사업도 올해 말부터 시행한다. 이 사업은 세종대왕 때 편찬된 농사 지침서에서 유래한 ‘신(新)농사직설’로 명명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한 메기 양식장을 선보이는 등 수산(양식), 축산(축사·양돈·양계), 임업 등으로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sk는 농촌 ic...
[세종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SK '흙과 만난 IT' 스마트 팜 구축…세종에 농촌 성공신화 씨 뿌려 2015-06-30 21:55:35
때 편찬된 농사 지침서에서 유래한 ‘신(新)농사직설’로 명명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한 메기 양식장을 선보이는 등 수산(양식), 축산(축사·양돈·양계), 임업 등으로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온라인 직거래 유통망 구축농산물의 종류와 출하를 사전에 기획하고...
SK, 대전 이어 세종서 '농업형 창조경제' 지원 나서 2015-06-30 14:30:06
세종대왕 때 편찬된 농사지침서에서 명칭을 딴 '신(新)농사직설' 시범사업이라는이름이 붙여졌다. SK는 올해 하반기에는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적용한 메기 양어장을 선보인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농산물의 종류와 출하를 사전에 기획하고 생산, 유통,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마트...
[한국사 공부] 세종, 민본 정치를 보여주다 2015-06-26 17:42:54
그래서 세종은 농사에 주목합니다. 농사가 입고 먹는 것의 근원이기 때문이지요. 유교의 진정한 왕도 정치는 권농에서 시작한다고 본 것이지요. 먼저 세종은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을 전국적으로 보급하기 위하여 농사직설을 편찬합니다. 중국 농법이 우리 땅에는 당연히 맞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뛰어난 농민의 농사...
[한경에세이] 소통으로 꽃피는 보험 가치 2015-05-19 21:05:46
마음이 느껴진다. 세종은 전국의 농부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직접 물어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 ‘농사직설’을 편찬했다. 국가사업을 추진하면서 백성의 말에 더욱 귀를 기울였다. 민심을 헤아리는 정치는 백성을 진정으로 위하는 마음과 진심 어린 소통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이 같은 소통의 리더십은...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10) 중세 농업의 발전 방향 2014-04-18 18:13:21
『농사직설』(1429년)에서 논이나 밭에서 모두 1년 1작을 기본적인 경작방법으로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상경’이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에는 모내기법(이앙법)의 보급으로 봄에 보리를 수확한 다음에 모를 옮겨 심을 수 있게 됨으로써 점차 1년 2작의 이모작도 가능하게 되었다. 1600년경 조선 인구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