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가속도…수십조 시장 개화 초읽기" 2024-11-11 17:10:35
있다"고 했다. 조 매니저는 미국 미시간앤아버대 뇌공학과(학사)를 졸업한 뒤 펜실베니아대(생명공학)와 매사추세츠공대(MIT) 슬론경영대학원(금융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모건스탠리 투자은행(IB)팀을 통해 증권업계에 발을 들였고, 삼성액티브자산운용에 들어온 건 지난 3월이다. 조 매니저의 이름 '한긷'은...
씨티엑스 "줄기세포 기반 파킨슨병 신약 개발" 2024-10-16 17:47:12
목암생명공학연구소에서 NK세포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주도해온 이 분야 손꼽히는 연구자다. 2014년부터 9년간 지씨셀 세포치료연구소장을 지내고 올해 6월 씨티엑스에 합류했다. 그는 “대기업, 바이오 상장사 등의 스카우트 제의를 뿌리치고 기술력과 가능성을 보고 씨티엑스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씨티엑스는...
"뇌파 학습한 알고리즘 개발…신경질환자 일상 되돌려줄 것" 2024-10-15 17:42:07
생명신경공학센터는 뇌과학을 주도하는 스위스 경쟁력의 본산이다. 최근 뇌파가 작동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뇌파만으로도 사람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에 다다르는 것이 센터의 목표다. 어빈 뵈팅저 비스 생명신경공학센터 센터장은 “신경질환을...
솔라이만 쇼쿠르 EPFL 박사 "이젠 의수로 온기·질감까지 느낀다" 2024-10-15 17:41:15
스위스 로잔연방공대(EPFL)는 뇌컴퓨터인터페이스(BCI)뿐 아니라 이른바 ‘유령 손(팬텀 핸드)’ 현상 연구 분야에서도 앞서 있다. 유령 손 현상이란 팔이 절단된 환자가 절단 부위가 남아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을 말한다. 유령 손 연구 권위자인 솔라이만 쇼쿠르 EPFL 신경공학연구실 수석과학자(박사·사진)는 “남아...
미니 장기 '오가노이드'…암·희귀질환 극복할 차세대 플랫폼으로 주목 2024-10-15 16:06:54
첨단 공학 기술을 접목해 ‘오가노이드-온-칩’ ‘3D 바이오프린팅’과 같은 생체공학 기술과 함께 더 복잡하고 기능적인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정상 조직의 생리학적 특성을 구현한 모델로, 희귀질환과 암의 기전을 밝히는 데 유용한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생의학에서도 오가노이드 연구는 빼놓을 수 없는...
난치병 없앨 '뇌지도'…아마존AI가 1000배 빨리 완성시킨다 2024-10-07 18:03:13
중인 ‘앨런 뇌지도’ 프로젝트는 전 세계 생명공학 연구자들이 가장 관심을 보이는 데이터로 꼽힌다. 앨런연구소가 860억 개 신경세포(뉴런)와 이들을 연결하는 약 600조 개 시냅스가 주고받는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건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인공지능(AI) 플랫폼 덕이다. 뇌지도 구축 속도를 1000배 이상으로 높였다는...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과학을 사실적으로 그리려면 먼저 공부하라 2024-10-07 10:00:24
‘뇌는 하늘보다 넓다’ 편에서 조울증, 조현병, 기억, 치매, 신경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접하면 정신건강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을 것이다.더 많은 지식 습득을 위한 출발점이 책을 통해 생물학, 물리학, 공학, 의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갖추면 기술적인 부분을 사실적이고 설득력 있게 그릴 힘이 생긴다. 무엇보다도...
스페이스X·바스프·바이오텍…흉내낼 수 없는 '自主기술'의 본산 2024-10-06 18:24:05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협업의 메카’로 떠올랐다. 이곳 비스 생명신경공학센터에서 ‘유병장수’ 시대 BCI 연구의 시사점을 살폈다. 스웨덴에선 세계 최초로 수소환원철을 상용화하고 있는 스테그라와 SSAB를 방문했다. 일본은 낡은 도시를 살리는 스마트시티 솔루션에 총력을 기울이는 기업들의 도전을 다뤘다....
한-체코 과기공동위…우주·바이오·소재·디지털·에너지 협력 2024-10-02 16:00:01
뇌 노화 및 퇴행성 뇌 질환 연구협력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한 공동연구 추진 방안을 공유했다. 화학·소재 분야에서는 GIST와 체코 ELI 빔라인 간 MOU를 바탕으로 초강력 레이저 기반 공동연구 센터 설립과 공동연구 추진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활용해 차세대 소형입자가속기, 초고속 방사선, 광의료신기술 등을...
바이오소재 클러스터 성과교류회…"산업활용·국제협력 강화" 2024-09-05 10:00:07
미생물, 뇌, 모델동물, 축산, 해양생물이, 내년·후내년에 야생생물과 종자가 각각 추가되는 등 지속 확대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글로벌 도약을 위한 한국의 디지털바이오 혁신방안'을 주제로 한 권석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원장의 기조연설에 이어 한국·중국·일본 3국의 바이오 소재자원은행 현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