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KIST "전자 스핀 이용한 AI 반도체 기술 개발" 2020-03-29 12:00:05
통신 소자 등 차세대 전자소자에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더욱이 개개의 스커미온은 각각 고유한 전기 저항을 가져 스커미온 개수에 따른 저항 변화를 아날로그적으로 조절하고 측정 할 수 있다. 그러나 스커미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어 현재까지 이론적으로만 예측이 가능했다. KIST 연구진은...
서울대 연구진 "전자 대신 빛으로 작동하는 뉴로모픽 칩 설계" 2019-06-04 12:00:02
특성을 가지도록 만든 물질이다. 지금껏 뉴런 동작을 모사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는데 이 연구는 뉴런의 구조적 특성을 본떴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 방식과 차이가 난다. 다만 현재 뉴로모픽 칩을 구현한 것은 아니고 설계를 완료한 상태다. 이론적으로는 외부 잡음에 흔들림 없이 전기신호의 세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
'멤리스터 활용' 뇌 닮은 뉴로모픽 칩 구현 잰걸음 2019-02-10 10:00:11
array) 제작 소자로는 멤리스터가 1순위를 차지한다. 멤리스터는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다. 물리적 인공 신경망은 뉴런 회로와 시냅스 소자로 구성된다. 뉴로모픽 칩 기반 AI 연산을 수행할 때 각 시냅스에서는 뉴런 간 연결 강도를 나타내는 전도도 가중치가 아날로그 데이터로 저장·갱신돼야 한다. 최 교수...
DGIST 인간 뇌 기능 닮은 인공 시냅스 소자 개발 2018-08-27 10:00:06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지능형소자융합연구실 이명재 실장 연구팀이 인간의 뇌 기능을 모사한 인공 시냅스 소자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시냅스는 인간 뇌에 있는 뉴런(신경세포)과 뉴런이 신경 흥분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축색돌기와 수상돌기가 만나는 부분이다. 뇌 속에는 수십조 개에서 수백조 개가 있는...
서울대 연구팀, 죽은 곤충 다리도 움직이는 인공신경 개발 2018-06-01 03:00:00
제난 바오 교수 공동연구팀이 플렉서블 유기 소자를 이용해 생물의 촉각 신경을 본뜬 인공 감각 신경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신경을 죽은 곤충에 장착하면 압력에 따라 곤충의 다리를 움직일 수 있다. 인공 신경은 압력을 받으면 즉각 반응하는 인간의 말초 신경과 유사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황철성 교수 "반도체 기술은 노력을 배반하지 않아" 2018-02-11 17:48:25
소자분야에서 527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2010년 ‘nat. nanotech’에 출판한 논문은 피인용 횟수가 1400회를 넘는다.강대원상은 1992년 타계한 ‘반도체 천재’ 강대원 박사를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그는 낸드플래시의 저장 장소인 플로팅게이트를 1960년대에 발명해 낸드 생산을 위한 길을 열었다....
통증 감각 인공적으로 구현…첨단 전자소자 개발 2018-02-06 12:00:15
따라 저항 세기가 변화하는 전자소자다. 최근 학계에선 신경세포 뉴런을 전자소자로 구현해 전기적 신호를 빠르게 처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뉴런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려면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자극 강도에 따라 생체 신호를 생성하는 수용기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는 그러나 신경 시스템 구성 요소 중...
뇌 작동원리 모방한 '뉴로모픽 컴퓨팅' 칩 개발 2018-01-27 11:00:03
식으로 정보를 처리한다. 뉴런과 뉴런의 연결부위를 '시냅스'라고 한다. 뉴로모픽 소자는 반도체에 시냅스 역할을 하는 필라멘트를 구현한 것이다. 필라멘트의 전도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지금껏 개발된 뉴로모픽 칩은 필라멘트가 무질서하게 형성돼, 소자의 전도도를 원하는 대로...
뇌 연구법에 근본적 결함?…뇌과학·인공지능 학계에 파문 2017-01-13 04:00:00
뇌의 뉴런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탐구하고, 특정 부위에 병변(病變)이 생기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보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이었다. 이외에도 소자간의 연결성과 소자의 유형을 파악하는 기법, 상관관계 등 통계적 분석, 기능적 관계를 분석하는 기법,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에 해당하는 화면 픽셀의 밝기와...
SK하이닉스 '인간 뇌 닮은 반도체' 만든다 2016-10-13 18:55:35
있다.하나의 뉴런 안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도체 간 전하 이동이 크게 줄어 전력 소비는 1억분의 1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지금 속도로 반도체가 늘면 2040년에는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화력발전소 1억개가 필요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