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네트워크 확대로 협상력 높이고…통상 룰 메이킹 참여해야" 2025-01-05 18:03:16
챔피언’이라고 자만하는 것 같습니다. ▷정 대표=세계무역기구(WTO) 체제 붕괴와 글로벌 시장 분단에 대비하려면 다층·다면적인 FTA 네트워크가 필수적입니다. 국제통상법상 WTO가 붕괴한다고 해서 FTA 기능이 정지되지는 않습니다. 촘촘하게 깔아놓은 FTA 네트워크는 WTO 체제가 무너지면 운신의 폭을 넓혀줄 숨구멍이 ...
FTA 체결국 90%로…'촘촘한 네트워크'부터 깐다 2025-01-05 18:03:11
있다”고 말했다. FTA는 다자무역 체제와 달리 관리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협정이 아닌 것도 강점 중 하나로 꼽힌다. 전 세계 모든 나라와 체결해 둔다고 해서 손해 볼 일은 없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FTA는 진화하는 다른 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발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한국은 FTA를 맺은 싱가포르와...
美·中 2600억달러 수출시장…양자택일 순간 온다 2025-01-05 17:37:31
양국이 전면적인 무역전쟁에 나서면 한국에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런 상황이 현실화하면 한국 수출은 큰 타격을 받아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통상전문가들은 양국 갈등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막을 내리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미·중을...
WTO 출범 30년…'美우선주의' 트럼프 귀환에 자유무역 체제 중대도전 2024-12-29 07:01:01
당선인이 중대 변수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미국과 무역 패권을 다투는 중국의 강경 대응이 유력시되는 상황에서 WTO 체제는 또 한 번 약육강식의 무역전쟁과 맞닥뜨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지난 30년간 WTO 체제에 힘입어 놀랄만한 성장을 이뤄내며 'WTO 모범생'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재집권 등...
"필리핀 수출 車관세 즉시 철폐"…31일 한·필 FTA 발효 2024-12-26 06:00:04
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세계무역기구(WTO) 다자통상 체제가 약화하는 시기에 FTA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이런 의미에서 우리의 주요 교역국인 필리핀과의 FTA 발효는 우리의 무역망을 확충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저무는 2024년…2025년 세계경제는[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2024-12-20 08:47:39
중국의 부상으로 약화돼 왔던 ‘G-something’ 체제를 더 강화시켜 각국 간 관계가 자국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무력화된 지 오래됐고 유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등과 같은 국제기구도 그 위상이 떨어지고 합의 사항을 위반할 때 제재하더라...
통상본부장 "규범 기반 다자무역체제 공고화 중요" 2024-12-18 11:00:12
통상본부장 "규범 기반 다자무역체제 공고화 중요" 다자통상전략점검회의…美트럼프 신정부 정책 변화, 다자무역 영향 점검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8일 "최근 통상 환경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우리 업계의 안정적 수출과 공급망 유지를 위해 양자 채널뿐만 아니라 규범에...
[인터뷰] 빅터차 "韓, 정치공백에 트럼프 대비 어려워…코리아 패싱 위험" 2024-12-18 06:59:00
상품 무역수지인데 한국은 미국과 510억달러 무역흑자가 있다. 난 트럼프가 반사적으로 어떻게 하든 그냥 관세를 부과하고 싶어 할 것이라 생각한다. 또 트럼프가 첫 임기 때 하지 못했지만, 두 번째 임기 때는 한반도에 주둔한 미군을 줄이려고 하고 싶어 할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현재 한국의 정치 위기는 이런 문제를...
'트럼프와 대립각' WTO 수장 "자유무역 유지해야 식량문제 해결" 2024-12-16 11:17:22
관세 위협이나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세계 무역장벽을 없애기 위해 설립된 WTO로 대표되는 자유무역 체제와 상충한다. 미국은 WTO 예산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나라지만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은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이 무역 상대국의 보복을 촉발해 쌍방이 모두 실패하는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며 반대하는 입장을 ...
'트럼프 2.0'서 구상하는 세계 경제 지배구상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2-16 07:43:50
중국의 부상으로 약화돼 왔던 'G-something' 체제를 더 강화시켜 각국 간 관계가 자국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무력화된 지 오래됐고 유엔(UN),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등과 같은 국제기구도 그 위상이 떨어지고 합의 사항을 위반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