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역사박물관, 개관20주년 기념 전시 2022-10-27 11:15:01
대원군과 일가를 왕으로 책봉할 당시의 의절을 기록한 책인 ‘추봉책봉의궤(보물 제1901호)’,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을 1436년 세종의 명으로 교정과 주석을 덧붙여 발간한 ‘자치통감(보물 제1281호)’,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무학대사가 원나라에서 간행된 판본을 바탕으로 회암사에서 간행한 ‘인천안목(서울시...
사색의 공간이자 미적 영감 주는 건축물…별장은 영혼의 안식처 2022-09-15 18:19:12
대원군 별장’의 석파정 별당 역시 전벽돌로 쌓은 측면의 박공벽, 원형과 반원형 창, 난간 등이 수려하다. 홍지동 이광수 별장터(서울시 등록문화재 제87호)는 목조와 벽돌조가 혼합된 기와집이다. 전망 좋은 경사지에 앞쪽은 2층으로, 뒤는 1층으로 ㄷ자형 건축이다. 성북동 서쪽 골짜기 주변으로도 이종석 별장과 심우장...
[이응준의 시선] 아무도 사랑하지 마라 2022-06-23 17:09:22
‘신문명’을 증오했던 것이다. 대원군은 8년 만에 재집권했다. 주로 변호사들이 정치평론을 일삼는 나라에 우리는 살고 있다. 정치인들이 죄다 범죄자라 변호가 필요해 그런가? 이미 한국 정치는 정신병리학의 영역으로 이동했으니 정신과 의사들이 정치평론을 해야 옳거니와, 정치 고위층으로 올라갈수록 ‘호랑이 등...
CJ ONE, 석파정 서울미술관 입장료 상시할인 혜택 1년간 제공 2022-06-23 09:59:18
된다.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있는 석파정 서울미술관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별장으로 사용하던 석파정(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6호)과 연결돼 있다. 개관 10주년 기념전 '두려움일까 사랑일까'(Fear or Love)가 9월 18일까지 진행 중이다. 기념전에는 이중섭의 '황소'와 박수근의 '우물가(집)' 등...
"점심 굶어 모은 11원입니다…이순신장군 묘 지켜주세요" 2022-05-30 17:37:3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헐었던 충무공 사당인 현충사도 다시 지었다. 문화재청은 모금 운동 당시 국내외 동포들이 보내온 편지와 성금 대장(사진), 현충사 관련 지출 내역 등을 모은 ‘일제강점기 이충무공 묘소 보존과 현충사 중건 민족성금 편지 및 자료’를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한다고 30일 밝혔다....
공항철도 타고 해외여행만 간다?…난 섬여행 간다 2022-05-26 15:15:44
원효대사가 창건한 유서 깊은 절이다. 흥선대원군이 직접 썼다는 ‘龍宮寺(용궁사)’라는 편액이 걸려 있어 눈길을 끈다. 용궁사가 있는 백운산은 등산로 입구에서 1시간 남짓이면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완만한 등산로 주변으로 숲이 우거져 있고, 정상에 오르면 사방이 탁 트이면서 바다 전망이 장관을 이룬다. 영종대교,...
[테샛 공부합시다] 잘못된 화폐 발행은 국가 경제를 위험에 빠뜨리죠 2022-04-25 10:00:50
대원군은 아들인 고종이 즉위하자 왕권 강화를 위한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임진왜란 때 타버린 경복궁을 중건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돈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은 재정이 고갈된 상태였죠. 농민의 삶은 피폐했고, 지배층의 부패가 심해 세금을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한국정치 사랑방' 운경고택은 지금 '버려진 것들'로 가득하다 2022-04-17 16:59:12
아버지(덕흥대원군)가 살았던 도정궁이 있던 터이기도 하다. 선조의 후손인 운경 선생은 6·25전쟁 후 서울에 돌아와 조상의 흔적이 남아 있는 이곳에 집을 마련했다. 운경 선생의 광화문 집무실은 ‘운경 복덕방’으로, 운경고택 사랑채는 ‘정치인들의 사랑방’으로 불렸다. 많은 학자가 “한옥의 사랑채가 진정한 의미의...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북한산, 인왕산, 북악산에 둘러 쌓인 한양…무역·개방적 국제도시로 발돋움엔 한계 있어 2022-03-14 10:00:01
대원군은 경복궁을 중건하느라 국가 재정을 파탄 내고, 백성의 원성으로 자신이 몰락했을 정도였다. 그렇다면 신수도 건설은 엄청난 경제력을 투자하고, 수많은 노동력을 동원한 대역사였음이 분명하다. 수도는 실용성·국제 질서·국가 미래 고려해야조선 건국 당시는 정변한 직후라 민심이 불안했고, 생활도 불안정했다....
[한경에세이] 3월 첫주만큼은… 2022-03-02 17:35:14
황실은 둘로 나뉘어져 반목했다. 대원군과 명성왕후의 갈등은 외세를 끌어들이는 명분을 제공하게 된다. 러시아를 통해 권력을 유지하고자 했고, 그와 함께 일본군이 당당하게 우리 땅에 발을 디디게 된다. 당시 일본군이 점령하고 호시탐탐 우리 땅을 삼키고 싶은 야욕을 드러낸 곳이 용산이다. 1904년 슬픈 역사다. 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