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상·하원 국방수권법 단일안에 주한미군 現수준유지 포함(종합) 2024-12-11 05:54:55
'대한국 확장억제 공약'은 NDAA에 반복적으로 들어가는 표현이다. 다만 법적인 강제성은 없다. 앞서 미국 의회는 트럼프 1기 정부 때인 2019∼2021년 회계연도에는 주한미군 규모를 명시하면서 그 이하로 줄일 경우에는 관련 예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주한미군을 철수·감축할 수...
아사히그룹 CEO "무알코올 제품 비중 높인다…한국서도 출시" 2024-12-02 06:01:01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로 인해 국내에서 일본제 불매 운동이 일면서 당시 아사히 제품 판매가 부진했다. 가츠키 CEO는 관련 질의에 "브랜드를 강화한다면 외부 환경과 관계 없이 한국 시장에서 사랑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론 외부 환...
美의회 "對한국 무역적자, FTA 관세인하 때문 아니다" 2024-11-29 18:26:00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증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 인하 때문이 아니라는 미국 의회 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국에 ‘관세 폭탄’을 때릴 명분이 적다는 근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美 CRS "한·미FTA로 관세 감축된 게 무역적자 이유 아냐" 2024-11-29 11:13:17
FTA와 관련해 "미국의 대한국 무역 적자는 변동이 컸다"면서 "초기에는 증가했으나 2015~2018년에는 감소했다가 이후 다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부 경제학자들은 국가저축률, 투자율과 같은 거시경제적 요인이 양국 무역 수주의 주요 (결정)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분석들은 FTA가 미국의...
美의회 "관세 감축이 對韓 무역적자 이유 아니라는 게 다수의견" 2024-11-29 07:03:38
보고서는 2012년 발효된 한미 FTA와 관련, "미국의 대한국 무역 적자는 왔다 갔다 했다"라면서 "초기에는 증가했으나 2015~2018년에는 감소했으며 이후 다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많은 경제학자는 FTA에 따른 관세 감축이 양자 무역에서의 적자 증가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자동차 산...
"트럼프, 행정명령 아닌 입법으로 보편관세 추진" 2024-11-26 17:49:48
두지 않겠느냐는 견해에 “미국의 대한국 무역적자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고, 한국과의 무역 비중도 높다”며 “차기 정부가 이 분야에 집중하지 않으리라 생각하기는 어렵다”고 낙관론을 경계했다. 지난 한·미 FTA 재협상에서 도입된 철강·알루미늄 수출 할당제에 관해선 “협정이 수정될 순 있겠지만 한국에서 더 많은...
中전문가 "韓中, 정상회담으로 공감대 형성…외부간섭 벗어나야" 2024-11-25 10:32:09
잇단 긍정 논평…"中, 對한국관계 늘 중시해"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관영매체가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5일 페루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2년 만에 한중 정상회담을 개최한 것이 양자 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자국 전문가의 논평을...
철강업계 "美보편관세 도입 시 韓철강 수출감소 타격 불가피" 2024-11-24 07:00:04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한국 철강 수입량을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t)의 70%로 축소한 쿼터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하드 쿼터를 적용받은 한국은 2018년부터 올해까지 250만t 안팎의 강재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적자 해소를 통상정책의...
美 '10% 보편관세' 현실화 가능성…韓에 자동차 양보 요구할 수도 2024-11-10 18:02:15
다만 트럼프 경제 참모들도 대한국 무역적자 규모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정부 1기 마지막 해인 2020년 166억달러 수준이던 미국의 대한국 무역적자는 지난해 514억달러로 커졌다. 유명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객원교수는 “한·미 FTA를 전면 재협상하자고 요구하기보다 자동차 같은 특정 분야를 딱...
[트럼프 재집권] 정부, 미국산 가스·원유 수입 확대 검토 2024-11-10 07:17:00
내 트럼프 신정부의 대한국 무역 압력을 촉발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 상황에서 대미 무역수지 관리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 에너지 수출 확대 공언한 트럼프…'큰손' 한국 호응하나 10일 복수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트럼프 신정부 출범을 앞두고 공공·민간 차원에서 원유와 가스 등 미국산 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