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코드'의 공정 추구했던 역사적 천재, 세종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09-20 08:07:15
그 밖에도 도량형을 정비하고, 조선통보라는 금속화폐도 주조했다. 만약 많이 사용됐다면 실물경제와 화폐경제가 활성화되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백성들의 생활이 윤택해지고, 국력도 신장됐을 것이다. 세종은 후생복지 정책에 힘을 기울여 굶는 백성들을 구제하려고 의창을 설치했고, 백성들의 건강과 치료를 위해...
[책마을] 구구단·소금 유통…목간에 새겨진 백제인들의 삶 2020-08-27 17:21:18
사용된 도량형 등을 알 수 있다. 백제에서만 유일하게 출토된 남근 모양의 목간, 불로장생을 위한 선약(仙藥) 복용 풍습을 보여주는 오석 목간, 음양 사상을 보여주는 태극문 목제 유물은 백제인의 도교적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다. ‘보희사’라는 절 이름과 함께 부여 능산리 304호 목간에 쓰인 ‘송염(送)’이라는 글자는...
金 무게단위=온스? 실제론 트로이온스! 2020-08-09 17:27:09
헷갈릴 만하다. 트로이온스가 도량형에 쓰이게 된 것은 고대 로마가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로마 제국에선 화폐 기본 단위를 1로마파운드짜리 구리 막대로 삼았다. 이를 12등분한 것이 ‘운시아(uncia)’로, 온스의 어원이 됐다. 이후 영국과 미국을 거치며 전 세계에서 귀금속 무게를 재는 표준으로 자리잡게 됐다. 현재...
금값 재는 단위 '트로이온스'란 무엇일까? 2020-08-09 13:28:23
것이다. 온스가 포함된 야드파운드법을 도량형으로 쓰는 미국에서도 트로이온스와 온스를 혼동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이 때문에 금을 팔 때 트로이온스로 돈을 받고 금 현물은 온스 단위로 주는 사기도 비일비재하다. 미터법을 쓰는 한국에선 더 헷갈릴 만 하다. 온스는 심지어 부피(1온스=29.57353㎖)를 나타낼 때도 있어...
[책마을] 21세기 美·中에 남겨진 로마와 진·한 '제국 DNA' 2020-04-09 18:17:51
문자와 도량형을 단일화해 일상의 혼란을 막았다. 변방의 다른 민족들에게 군인 임무를 맡기고 중심부는 철저히 비무장화해 반란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했다. 유력 가문들은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해 조정과 지방을 장악해 황제를 보좌했다. 《용과 독수리의 제국》은 화교로 MIT 물리학과 교수를 지낸 어우양잉즈가 썼다....
"조선의 조세 제도는"…세종 조세박물관서 특별전 2019-12-03 15:58:16
아니라 태조 어진(왕의 초상화) 영인본, 선원록 등 조선 왕과 관련된 유물도 소개된다. 어좌(御座·왕이 앉는 의자) 사진찍기, 교지(敎旨·왕의 명령을 담은 문서) 만들기, 나만의 도량형 만들기 등의 체험 활동도 가능하다. 특별전 내용과 예약 방법 등은 조세박물관 홈페이지(www.nts.go.kr/museu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종 도량형 통일 기념한 '계량측정의 날'…유공자 66명 포상 2019-10-25 11:00:01
세종 도량형 통일 기념한 '계량측정의 날'…유공자 66명 포상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5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제49회 계량측정의 날 행사를 열고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등을 포상했다. 계량측정의 날은 세종대왕이 길이, 너비, 부피, 무게 등 도량형...
서아시아는 은덩이·동아시아는 별보배고둥이 화폐 시초…로마제국은 '질 낮은 화폐'가 인플레 부추겨 멸망했죠 2019-08-26 09:01:04
때문이다. 신의 대리인을 자칭한 시황제는 문자, 도량형, 차축의 폭등을 통일하면서 화폐까지 통일해 통화를 황제의 지배하에 놓으려 했다. 진나라의 통화는 원 한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반량전(半兩錢, 1냥이라는 무게의 반)’이라는 무게를 나타내는 동전(동화)으로, 황제의 명령에 의해 발행되었다. 하늘에...
사찰 건물 기둥서 ㄱ자 측량 도구 '곡자' 나왔다 2019-06-05 10:15:07
문화재청 사무관은 "313㎜는 조선 세종 때인 1446년 도량형을 통일하면서 만든 길이 기준인 영조척 306.5㎜와 유사하고, 근대 척도와는 차이가 있다"며 "청량사 대웅전에 쓰인 척도와는 정확히 일치한다"고 말했다. 2016년 6월 보수 작업을 시작한 청룡사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다시 지은 건물로 추측되는데, 상량문 기록 ...
kg 등 '기본단위 재정의'…20일부터 공식 시행 2019-05-19 13:19:01
도량형총회가 7개 기본단위 가운데 킬로그램(kg·질량), 암페어(a·전류), 켈빈(k·온도), 몰(mol·물질의 양) 등 4개와 관련, 변하지 않는 상수(常數)를 활용한 새로운 방식으로 다시 정의한 데 따른 것이다.이중에서도 질량은 1989년 금속 블록인 국제 킬로그램 원기(原器)로 1㎏의 국제기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