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내기업 경기전망 35개월 연속 부정적…내수침체 비제조업 직격 2025-01-22 06:00:04
기록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별 BSI는 정보통신(56.3), 건설(76.2), 도소매(83.3), 전기·가스·수도(84.2), 여가·숙박·외식(85.7), 운수·창고(91.7), 전문·과학기술·사업지원서비스(92.9) 등으로 7개 업종 모두 업황 악화가 전망됐다. 비제조업 업종 전망이 모두 부정적인 것은 2020년 7월 이후 처음이다. 한경협은 ...
스마트 환경센서 기업 M&A 매물로 2025-01-14 16:08:11
성장 가능성이 높은 회사"라고 전했다. 사업 다각화를 위한 기업들의 인수 움직임도 활발하다. D사는 500억원 미만의 레이더 센서 제조사를 찾고 있다. E사는 100억원 미만의 해상 운송 기업 인수를 추진 중이다. F사는 20억원 미만의 도소매 기업 인수를 타진하고 있다. 서울 근교 지역 기업을 우선적으로 물색하고 있다....
"코로나급 고용 한파"...실업급여 신청 10만명 넘었다 2025-01-13 15:53:21
건설업(4만6천명), 제조업(2만명), 도소매업(8천명) 등을 중심으로 전년 같은달 보다 8천명(9%) 증가했다. 천경기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구직급여 신규 신청은 건설, 제조, 도·소매 쪽에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건설업이나 정보통신업 등에선 경기적 요인에 의해 구직급여를 새로 받으러 나오는 오는 인원들이...
경기 한파에…연말 실업급여 지급 규모 '코로나19 때 수준' 2025-01-13 12:15:34
침체를 맞이한 건설업(+1만5000명)과 도소매(+3만4000명), 정보통신업(+2만9000명) 등에서 지급자 수가 치솟았다.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도 지난해 7월(11만1881명) 이후 5개월 만에 10만명을 넘어선 10만1000명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8000명(+9.0%) 증가했다. 매년 12월을 기준으로 하면 2020년(10만7812명) 이후...
관세청, 국산 둔갑한 수입 제수·선물용품 특별 단속 2025-01-13 10:21:17
등 도소매 업체에서 현장 단속을 할 계획이다. 주요 단속 품목은 조기·고사리·호두 등 농수축산물, 제기·교자상·병풍 등 제수용품, 건강식품·다과 세트 등 선물용품이다.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한 행위,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소비자에게 오인을 일으키는 표시 행위, 원산지를 손상·변경한 행위 등이 단속된다....
송미령 장관, 김치업체 찾아 설 성수기 배추 안정공급 당부 2025-01-12 16:00:02
수요가 늘어 도소매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 10일 대한민국김치협회, 대아청과와 수급 안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설 성수기 정부가 요청하는 시기에 김치 업체가 저장 중인 겨울배추를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내용이 골자다. 송 장관은 "농산물 수급 안정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유럽 위기에 한파까지…20% 오른 美천연가스 2024-12-31 17:21:37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자 가스 도소매 기업들이 재고를 채우기 위해 일제히 매수에 나섰다. 존 킬더프 어게인캐피털 창업자는 CNBC 방송에서 “기온이 아주 낮은 수준까지 내려가면 가스 생산설비 동결로 천연가스 생산이 중단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럽 가스 가격이 고공행진한 것도 미국 가스 가격 상승에...
경주시, 국내 최초로 토마토 AI 선별기 도입 2024-12-29 23:30:14
및 도소매업체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경주시 농협은 2006년부터 수탁기관으로서 센터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동협 경주시의회 의장은 “경주시 토마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이 사업이 지역 농업에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AI 선별기...
中 진출 기업 37% "5년 후 사업 철수 및 이전·축소 전망" 2024-12-29 11:00:04
서비스(22%), 도소매 유통(17%), 서비스업(15.9%), 전지·석유화학(14.3%), 기타 전기·전자(10.3%) 등이었다. 철수 및 이전을 고려 중인 기업들이 꼽은 이전 요인은 경쟁 심화(28.3%), 미중 분쟁(24.5%), 현지 생산 비용 상승(17%) 등 순이었다. 산업연구원은 "현지 중국 기업의 경쟁력 상승으로 인한 경쟁이 심화한 것을...
엔터·게임·뷰티株 "강달러 오히려 좋아" 2024-12-27 17:40:34
수출 중 미국 비중은 79%다. 국내 화장품 브랜드 도소매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실리콘투는 해외 매출 비중이 90% 이상이다. 이 중 약 35%는 미국에서 발생한다. 게임사 중엔 더블유게임즈, 크래프톤, 시프트업 등의 해외 매출 비중이 높다. 더블유게임즈는 지난 상반기 매출 3236억원 전액이 해외에서 나왔다. 국내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