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지난해 12월 세계식량가격 하락…설탕가격 5.1% 내려 2025-01-04 14:27:20
연말 가동 중지로 인해 국제 소고기 가격은 상승했고 호주에서 도축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어 양고기 가격이 올랐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유럽의 계절적 수요 감소로 하락했다. 지난해 평균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2.0으로 전년의 124.5보다 낮았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가뭄·한파 덮친 축산농가…美소고기값 60년 만에 최고 2025-01-03 17:37:42
소의 에너지 소비를 늘려 사료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도축 중량을 줄인다”며 “작년 한파로 소의 평균 체중이 약 3%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여름에는 가뭄 문제도 심각했다. 북미와 남미 목초지가 가뭄으로 황폐화했다. 이에 미국 소 사육 마릿수는 1950년대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매년 80억달러(약 11조7448억원),...
농지에 잘 수 있는 '쉼터' 허용…쌀·배추도 수입안정보험 적용 2024-12-31 18:00:27
및 도축 상인 전·폐업 지원개 사육농장주는 시·군·구에 신고한 연평균 사육 마릿수를 기준으로 마리당 최대 60만원의 폐업이행 촉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농장주나 도축 상인이 폐업할 경우 감정평가를 통해 산출한 시설물 잔존가액과 시설물의 철거를 지원받는다. 농촌 체류형 쉼터 도입본인이 소유한 농지에 숙박이...
[새해 달라지는 것]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벼 재배면적 감축 2024-12-31 10:00:08
개 사육농장주·도축상인 전업·폐업 지원 = 식용 목적으로 개를 사육하거나 도살하는 행위가 오는 2027년 금지됨에 따라 내년 개 사육 농장주와 도축상인에 대한 전업·폐업 지원이 이뤄진다. 폐업의 경우 시설물 잔존 가액과 시설물 철거를 지원하고, 농업으로 전업하면 융자를 지원한다. ▲ 농업용 지게차도 농업기계에...
中축산협회 "쇠고기 수입 급증에 피해"…당국에 WTO 대응 요청 2024-12-20 11:16:59
농가가 번식우를 대규모로 도축·판매해 산업 기반마저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중국 관영매체를 통해 자국 내 업종협회의 무역 조치 신청 소식이 전해진 것을 두고 중국 정부의 실제 대응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은 올해 유럽연합(EU)과의 무역 분쟁에서 EU산 농축산물 대상 무역...
저렴해진 오리고기값…연말 회식메뉴 '찜' 2024-12-18 17:43:29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올해 12월 육용 오리 도축 마릿수는 445만8000마리로 예측됐다. 이는 작년(404만 마리)보다 10.4%(41만8000마리) 증가한 것이다. 내년 1~2월에도 육용 오리 도축 마릿수는 각각 406만8000마리와 348만5000마리로 작년 수준을 웃돌 것으로 관측됐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전북 부안서 고병원성 AI…올해 동절기 열번째 사례 2024-12-13 20:39:58
통제하고 역학조사와 살처분을 진행 중이다. 또 방역대 내 가금농장 40곳을 정밀 검사하고, 이 농장과 동일한 농협목우촌 오리 계열사 7개 농장에 대해 오는 16일까지 정밀 검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밖에 목우촌 계열사 소속 도축장에서 도축 단계 검사 비율을 30%에서 60%로 강화한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전북 김제 오리농장서 고병원성 AI…올해 동절기 8번째 사례 2024-12-06 18:36:16
오는 13일까지 정밀 검사를 완료하기로 했다. 참프레계열사 소속 도축장의 도축단계 검사 비율은 30%에서 60%로 강화한다. 중수본은 고병원성 AI 발생 위험이 큰 시·군 18곳을 선정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오는 13일까지 방역 관리 상황을 점검한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김장 어쩌나" 주부들 고민 깊었는데…'희소식' 2024-11-20 08:50:38
시금치 등 채소류의 생육이 회복되고 축산물 도축량도 늘어나면서 농림수산품 가격은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월보다 0.1% 상승했다. 원재료(-2.0%)가 하락했지만, 중간재(0.4%)와 최종재(0.1%)가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0월...
10월 생산자물가 0.1% 하락…농산물 물가 10.5% 내려 2024-11-20 06:00:09
이어 "배추, 시금치 등 채소류의 생육이 회복되고 축산물 도축량도 늘어나면서 농림수산품 가격은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월보다 0.1% 상승했다. 원재료(-2.0%)가 하락했지만, 중간재(0.4%)와 최종재(0.1%)가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