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역사적 가치" vs "수탈 현장"…일제 흔적 존폐에 양론 2018-08-14 09:39:08
동굴테마파크로 개발해 2015년 다시 문을 열었고 지금은 연간 100만 명이 넘게 다녀가는 관광명소로 탈바꿈했다. 특히 광명동굴 입장료 수익의 일부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해 쓰여 지난해에는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경기 광주 나눔의 집에 5천600만 원이 전달됐다. 이밖에 제주의 일본군 전투기 격납고와 지하벙커,...
[ 사진 송고 LIST ] 2018-07-17 15:00:00
초청 한미중 3자 콘퍼런스 개최 07/17 10:30 지방 김상훈 밝은 웃음 찾은 태국 동굴소년들 07/17 10:30 지방 김인유 군포 철쭉공원 물놀이터 07/17 10:30 서울 류효림 환영사하는 최태원 SK회장 07/17 10:31 지방 윤보람 지프 '올 뉴 컴패스' 국내 출시…10년만에 완전변경 모델 07/17 10:33 서울...
부산 건축의 스토리를 보다…도시건축투어 참가자 모집 2018-06-15 08:07:14
동굴을 본 뒤 외양포마을, 가덕도등대를 방문하고 다시 시청으로 돌아와 해산하는 일정이다. 가덕도는 일제 군사시설인 포대 진지와 사령관 관사 등 군용 건물 32개 동과 일본군 헌병대가 사용했다는 우물 등 일제강점기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다음 달 14일에는 영도 해양건축을 주제로 도시건축시민투어를...
태평양전쟁 유적, 문화재 등록 속도 빨라진다 2018-05-12 06:50:01
격납고, 부산 천성동 동굴, 부산 새바지 동굴, 부산 외양포 포대, 전남 여수 거문도 죽촌리 동굴, 경남 거제 저도 중대생활관, 전북 군산 장미동 방공호가 등록 추진을 의미하는 A등급으로 분류됐다. 문화재청은 지자체가 이 유산의 문화재 등록을 신청하면 현지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문화재 등록 여부를 결정할...
화려한 봄의 축제…늦지 않게 제주로 가세요 2018-04-06 07:36:29
풍혈,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파놓은 갱도 진지와 화전민이 숯을 굽던 숯가마 터, 용암함몰구, 수직동굴 등을 만날 수 있다. 거문오름의 분화구는 백록담의 3배 정도의 크기로 제주에서 불을 뿜었던 분화구 중 최대 크기를 자랑한다. 설명하던 자연유산해설사는 갑자기 소원을 빌라는 주문을 했다. “거문오름에는...
[주말 N 여행] 제주권: 주민 학살 4·3 아픈 역사 담은 올레…화해의 다크 투어 2018-03-30 11:00:05
1950년 8월 20일 예비검속이란 명목으로 송악산 섯알오름 일본군 탄약고 터(현재 백조일손묘역)였던 곳에서 무참히 학살된 무고한 민간인들이 묻힌 만뱅듸묘역이 있다. 금악마을 4·3길은 7㎞ 구간에 웃동네, 동가름, 만뱅듸묘역, 금오름, 진지동굴, 처녀당 등 4·3 당시의 흔적이 있다. koss@yna.co.kr (끝) <저작권자(c)...
흑백 사진으로 다시 보는 해방 공간의 제주, 그리고 4·3 2018-03-30 06:11:04
일본군은 해안 곳곳에 미군 함정을 공격하기 위한 동굴 진지를 구축했다. 대표적인 곳으로 송악산과 성산 일출봉, 서우봉, 수월봉, 삼매봉 해안 등이 있다. 송악산의 경우 해안 동굴진지 외에 '알뜨르'란 드넓은 벌판에 비행장까지 건설하고, 주변에는 격납고와 탄약고, 고사포 진지, 지하벙커까지 들어섰다. ◇...
[생글기자 코너] 역사의 현장에서 배우는 '다크 투어리즘' 2018-03-05 09:00:58
진지 동굴이 있어서 역사의 현장을 두루두루 둘러보기 좋다.먹고 체험하고 즐기는 여행도 매력 있지만 역사의 현장에 한 발짝 더 다가서서 그 시대의 아픔과 비극을 직접 느껴보고 현재의 우리를 돌아볼 수 있는 다크 투어도 이 봄에 한 번쯤 해볼 만한 의미 있는 여행이 아닐까 싶다.손효정 생글기자(제주 브랭섬홀아시아...
폭설에 제주 문화재 2곳 경미한 훼손…수리 예정 2018-02-26 15:40:05
눈이 녹은 뒤 2차 모니터링을 진행해본 결과 일부 훼손이 확인됐다. 역사문화재 돌봄사업단은 조기 수습을 위해 조만간 경미수리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아직 해빙되지 않은 도지정기념물 존자암지와 등록문화재인 어승생악 동굴진지 등 2곳에 대해서는 눈이 녹는 대로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다. atoz@yna.co.kr (끝)...
[ 사진 송고 LIST ] 2017-12-08 10:00:01
동굴 진지 12/08 08:01 서울 전수영 제주 송악산 둘레길 12/08 08:01 서울 전수영 제주 해녀박물관 12/08 08:01 서울 전수영 제주 돌문화공원 12/08 08:01 서울 전수영 제주 송악산 12/08 08:15 서울 이정훈 롱패딩 등굣길 12/08 08:15 서울 이정훈 한파엔 '롱패딩' 12/08 08:16 서울 이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