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해 물류 비상…연합군, 예멘 반군 퇴치한다 2023-12-19 18:22:37
HMM이 소속된 글로벌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THEA)도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동의 핵심 화물인 원유 운송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내년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72.47달러로 전 거래일 종가 대비 1.46% 올랐다. 브렌트유 선물도 1.82% 상승했다....
7년만에 새주인 맞는 HMM…'체급 아래' 하림엔 기대·우려 교차 2023-12-18 19:27:24
3대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 정회원으로 가입했다. HMM은 동맹 내에서 세계 최대 2만4천TEU 컨테이너선 12척을 내세워 운항 효율성을 높였다. 그 결과 HMM은 2020년 9년 만에 적자 탈출에 성공하고, 2022년 매출 18조5천868억원, 영업이익 9조9천455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만 53.5%로, 번...
예멘 반군공격에 HMM도 수에즈운하 아닌 희망봉 돌아 유럽간다 2023-12-18 11:41:40
가입한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와의 협의 끝에 결정됐다. HMM과 같은 해운동맹에 속한 독일 최대 컨테이너 해운사 하파그로이드도 최소 18일 동안 홍해 통과를 중단하기로 한 바 있다. HMM은 지난 2021년 3월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수에즈 운하를 막는 사고가 발생하자 2만4천TEU급 'HMM 로테르담호' 등...
3년간 떼돈 벌었는데…'세계 최대' 해운동맹 돌연 결별, 왜? 2023-06-23 16:01:10
평가를 받았다. 전 세계적으로 2M 외에도 오션얼라이언스, 디얼라이언스 등 다양한 해운 연합체가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최대 규모 동맹인 2M은 전 세계 컨테이너 운송량의 3분의1 가량을 차지해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행사했다. 2M이 돌연 결별키로 한 것은 코로나19 호황기에 창출한 기록적인 수익 때문이다. 데이터 업체...
"4Q 악화에도 재무개선 지속"...HMM, 상승폭 확대 2023-02-14 09:37:21
팬데믹 기간 초대형 선박 20척과 디얼라이언스 가입으로 원가경쟁력이 강화돼 적자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HMM의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으나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했다"며 "환경 규제 강화와 네트워크 적체로 호실적 사이클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해운동맹 '2M' 결별 2023-01-26 15:29:11
분석했다. 세계 최대 해운 동맹의 해체 선언으로 업계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과거 4개였던 해운 동맹은 2007년 빅3 체재로 재편됐다. △머스크와 MSC로 구성된 2M △프랑스 CMA-CGM, 중국 코스코, 대만 에버그린, 홍콩 OCCL이 참여한 오션얼라이언스 △한국 HMM이 속한 디얼라이언스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호실적’ HMM, 9년 만에 신용등급 A급 복귀 2022-11-23 16:02:53
‘디얼라이언스’도 가입했다. 우수한 재무안정성도 확보했다. 2020년부터 올해 3분기까지 14조원의 누적 순이익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2019년말 연결기준 556.7%에서 올해 9월말 36.9%로 줄었다. 15조8000억원 규모의 현금성자산도 보유했다. 업황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재무완충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다만 최근...
HMM, 해운 업황 개선으로 신용도 ‘고속 성장’ 2022-04-14 06:07:01
해운동맹인 디얼라이언스에 2020년 4월 가입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도 마련했다. 디얼라이언스 회원사들과 화물을 공유하고,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도 해운동맹의 장점으로 꼽힌다. 우호적인 경영환경은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영국의 해운·조선시황 분석업체...
HMM, 극동~남미 동안 신규 컨테이너항로 개설 2021-10-20 19:10:04
동맹 ‘디얼라이언스’와는 별도로 운영된다. 5000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급 파나막스 컨테이너선이 투입돼 오는 12월 7일 부산에서 첫 출항한다. 주요 기항지는 부산·중국 상하이·싱가포르·인도 카투팔리·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 등이다. 항로 왕복에 총 84일이 걸린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한국 기항 제외에…HMM, 별도로 `극동~남미 동안` 노선 개설 2021-10-20 14:22:38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와 별도로 HMM이 단독 운영한다. 이번 신설은 최근 세계적으로 선박·선복 부족으로 글로벌 해운사가 극동~남미 서비스에서 한국 기항을 대부분 제외시킨 데 따른 조치다. 한국에서 출항하는 남미 동안 서비스를 신설해 국내 수출기업 등 화주를 보호하고 수출을 지원하겠다는 취지다. HMM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