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태국 제조공장 대거 투입 2025-02-05 18:10:54
제공한다. VRNJ는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을 활용해 부품 마감, 팰리타이징, 검사 등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동남아시아 제조 기업 등에 판매할 계획이다. 중국에 이은 생산거점으로 떠오른 동남아 공장은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어 로봇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AI와 '찰떡궁합'…로봇株, 올들어 승승장구 2025-02-05 17:17:12
소식이 관심을 모았다. 로봇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는 인공지능(AI) 부문과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다. AI 모델이 로봇의 인식, 판단 기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로봇주를 향한 관심이 커지면서 올해 부품 제조사인 한국무브넥스(120.34%), 고영(99.21%), 에스피시스템스(54.20%)...
두산로보틱스, 태국에 협동로봇 300대 공급 2025-02-05 15:10:01
로봇을 활용해 △부품 마감 △팔레타이징 △검사 등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어 동남아 제조기업 등에 판매할 계획이다. 현재 동남아는 공장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는데, 여기에 필요한 로봇 수요도 빠르게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다. 양사는 공급 뿐 아니라 생산현장에 적용할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태국,...
[팩트체크] AI가 인간의 모든 일자리를 대체한다? 2025-02-05 07:20:00
"로봇을 위한 챗GPT의 모멘트가 다가오고 있다"며 로봇 중심의 물리적 AI 시대가 다가올 것이라고 시사했다. ◇ AI가 많은 일자리 대체 가능…업종·속도는 이견 각종 기관이나 전문가들은 AI가 많은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그 분야와 속도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13년...
씨메스, '지능형 로봇 자동화 솔루션' 날개 달까 2025-02-04 06:00:52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323억2000만 달러에서 2030년 885억5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대기업들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한 것 뿐만이 아니다. 현대차-보스턴다이나믹스, LG전자-엔젤로보틱스, LG에너지솔루션-쿠팡-씨메스 등이 손을 잡았다. 기술적 우위...
유상임 "장롱논문 쓰지말고 기업 지원을" 2025-02-03 17:23:02
장관(오른쪽)이 인공지능(AI) 로봇을 국내 제조업 현장에 확산하기 위해 관련 출연연구소를 3일 방문했다. 유 장관이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는 출연연 구조조정 사업의 일환이다. 유 장관은 이날 대전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주요 정책 현안 간담회를 열었다. 유 장관은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조업의...
유상임 장관 "출연연 PBS 성과분산 문제 해결방안 모색중" 2025-02-03 17:00:04
간담회에서 기계연은 인공지능(AI) 로봇을 통한 산업현장 자동화를 주도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성공 후 기술료를 납부하는 후불제 연구개발(R&D) 사업 등 기술산업화 강화 전략을 소개했다. 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나노제조 공정 및 장비개발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기존 수행 중인 1억~9억원 규모 소형 정부과제를...
[단독] 한화비전, 아워홈 인수에서 빠진다…한화 인수구조 변경 2025-02-03 15:27:36
급식사업에 카메라 광학기술과 로봇기술을 접목해 조리와 배식, 세척 등을 일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방안의 청사진을 내놓았지만 주주를 설득하기엔 시한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화 측은 금융권 차입을 늘리거나 인수금융을 조달하는 방안 등으로 인수전을 이어갈 계획이다. 1차적인 인수 대상 주식은 구본성...
세계 리더들 61% "AI 활용 수익성 개선 관심" 2025-02-02 10:11:41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경영진 72%는 제조 공정의 자동화가 큰 기회가 될 것이라 예상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이 5년 이내에 생산 현장에 배치될 가능성을 점쳤다. 올해 자동차산업의 파괴적 변화 지수는 작년 대비 4.7포인트 오른 76.7을 기록하며 모든 산업 중 가장 높았다. 파괴적 변화지수는 0∼100의 척도로 발표...
올해 가장 큰 '파괴적 변화' 맞을 산업은 車…"AI, 경영 긍정적" 2025-02-02 09:11:50
것으로 나타났다. 또 61%는 AI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본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중 39%는 비용 감소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또 경영진들은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봤는데 응답자 72%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5년 이내에 생산 현장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