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매출 보호가 방패?…특례상장 바이오, 이대로는 안된다 2022-05-17 19:06:37
당뇨망막증이나 욕창 같은 허혈성 질환 치료제 쪽입니다. 허혈성 이라는 게 말이 조금 어려운데 쉽게 말씀 드리면 우리 몸에서 피가 제대로 돌지 않아서 걸리는 병을 말하는 겁니다. 아이진은 최근 코로나19 백신도 만들고 있고요. 하지만 실제 매출은 대부분 의약품 도매 쪽에서 나옵니다. 지난해 전체 매출은 32억...
"페노피브레이트, 당뇨병성 망막병증 진행 억제" 2022-04-28 11:48:22
증식성(proliferative) 망막증으로 나누어진다. 증식성 망막증은 망막증이 많이 진행된 상태로 새로운 혈관이 생겨나고 쉽게 출혈을 일으킨다. 분석 결과 페노피브레이트를 복용한 환자는 복용하지 않은 환자보다 VTDR로 진행될 위험이 8%, 그중에서도 PDR로 악화할 위험이 2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페노피브레이...
구글, 스마트폰 마이크로 심장 이상 모니터링하는 기술 시험 중 2022-03-25 07:35:31
당뇨성 망막증 등 조기 발견하는 방안도 탐색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이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이용해 심장 이상을 모니터링하는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구글은 24일(현지시간) 각종 건강 관련 사업과 혁신을 소개하는 '구글 체크업' 행사를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노벨티노빌리티, 美기업에 8800억 기술 수출 2022-02-16 16:42:45
확장도 가능하다는 게 노벨티노빌리티 측 설명이다. 노벨티노빌리티가 시킷 저해제로 개발을 시작한 것은 두드러기 신약이 아니라 안질환 치료제였다. 황반변성이나 당뇨병성 망막증은 망막에서 혈관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게 주된 문제인데 시킷을 겨냥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조성진 노벨티노빌리티...
노벨티노빌리티, 美 기업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8800억원 규모 기술이전 2022-02-16 10:04:40
생성시킨다는 점에 착안해 당뇨병성망막증·황반변성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이중항체 및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발렌자바이오는 미국 메릴랜드에 위치한 바이오 기업으로 신장 자가면역질환 치료후보물질의 임상을 진행 중이다. 박상규 노벨티노빌리티 대표는 “망막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최무성, 체중 97kg까지 증가…고혈압·지방간·당뇨 위험 [건강!톡] 2022-02-15 12:04:16
뇌출혈, 뇌졸중, 혼수 등의 뇌 신경 질환 등이 있다"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지방간은 지방간염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간 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라면서 "당뇨병은 오랫동안 고혈당 상태로 지내면 혈관 벽이 손상되어 심근경색, 뇌졸중, 망막증, 신부전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라고 부연했다. 이미나...
올리패스 “변이 대응 가능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중” 2021-12-07 11:36:50
총 1000명 내외”라고 했다. FDA 시판허가 취득은 2026~2027년으로 예상했다. 신속심사(패스트트랙) 지정 여부에 따라 단축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당뇨성 망막증 치료제(OLP-1003)도 있다. 안구점안액 방식으로, 전임상 중이다. 고용량 투약 구간에서 망막 치료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현재는 적정...
아이씨엠 “골관절염 치료제, 내년 상반기 美 임상 개시” 2021-12-06 16:42:04
망막증, 난청,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난치질환을 대상으로도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퇴행성 망막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ICM-302’, 난청 치료제 후보물질 ‘ICM-401·402’ 등이다. 김 대표는 “관절과 망막에서 헬스키퍼 기능을 수행하는 ‘Nkx3.2’ 유전자·단백질의 치료표적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암세포도 전이할 땐 미리 '땅 고르기' 작업을 한다 2021-11-26 17:43:53
극적으로 줄어들었다. 이번에 연구팀은 당뇨병 망막증 등 다른 질병의 치료제로 개발된 'THX-B'라는 시험 약물을 NGFR 억제제로 썼다. NGFR은 흑색종 조기 진단 지표로도 개발될 수 있다. NGFR을 발현하는 전이성 암세포가 감시 림프절에 많으면 환자의 치료 결과도 그만큼 나쁠 거라는 얘기다. 페이나도 박사는...
"혈관신생 차단 유전자 발견…암 전이 막는 항암제 개발 추진" 2021-10-05 14:53:50
것으로 기대했다. 김 교수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카이-원 펩타이드를 항암제와 혈관성 망막증 치료제로 개발하는 작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암 기초연구 분야의 국제학술지 '혈액·종양학'(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에 게재됐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