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부, 해외진출 등 FTA 지원사업에 올해 4천800억 지원 2025-02-16 11:00:00
올해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지원 사업에 약 4천80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개 중앙 부처와 21개 유관 기관의 '2025년도 FTA 지원 사업'을 통합 공고한다고 16일 밝혔다. FTA 활용 촉진(9개·97억원), FTA 해외 시장 진출(20개·3천189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개·1천487억원), 한중 FTA 특화...
최태원, 베트남 서열 1위 회동…에너지 협력 논의 2025-02-16 10:48:56
"한국은 항상 베트남에 대한 투자와 무역 등에서 선도적인 국가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SK그룹을 포함해 베트남에 투자하고 사업을 하는 한국 기업들의 실질적인 기여를 통해 베트남 사회 및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최 회장은 럼 당서기장에 이어 베트남 권력 3위인 팜 민...
트럼프 공세에…대만 측 "반도체 기술 독점할 필요 없어" 2025-02-16 10:40:52
강화를 선언한 상황에서 나왔다. 트럼프는 반도체 관세 검토를 밝히며 "대만이 미국 반도체를 빼앗아 갔다"고 했다. 대만은 이를 받아들여 국가안전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라이칭더 총통은 "미국과의 무역 균형을 위해 투자와 구매를 확대할 것"이라 밝혔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를 가진 대만은 대미...
日외무상, 美국무장관에 '트럼프 관세' 日제외 요청 2025-02-16 10:27:44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21조2천951억엔(약 202조원)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6조261억엔)가 수출 최고 품목으로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자동차 부품(1조2천312억엔)까지 합치면 비중이 34.0%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 서명식을 하면서...
트럼프 "부가세 보유국은 대미 관세 부과국과 동렬" 2025-02-16 10:14:05
위해 부과하는 비(非)금전적 관세와 무역장벽"을 상호관세 부과에서 고려할 것이라면서 각국 정부가 그 나라 기업에 주는 보조금에 대해서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정확하게 비금전적 무역 장벽의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며 "어느 나라든 미국이 너무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느낀다면 그들이 할...
트럼프 반도체 공세에…대만 측 "한 국가가 기술 독점할 필요없어" 2025-02-16 10:10:03
무역 균형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 TSMC를 보유한 대만은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지난해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83% 증가, 역대 최대인 1천114억달러(약 160조8천억원)를 기록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트럼프 "부가세 보유국은 대미관세 부과국과 동렬에 놓을것" 2025-02-16 09:29:52
위해 부과하는 비(非)금전적 관세와 무역장벽"을 상호관세 부과에서 고려할 것이라면서 각국 정부가 그 나라 기업에 주는 보조금에 대해서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정확하게 비금전적 무역 장벽의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며 "어느 나라든 미국이 너무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느낀다면 그들이 할...
최태원 회장, '베트남 서열 1위' 회동…에너지 협력 논의 2025-02-16 09:00:01
대한 투자와 무역 등에서 선도적인 국가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SK그룹을 포함해 베트남에 투자하고 사업을 하는 한국 기업들의 실질적인 기여를 통해 베트남 사회 및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베트남은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한국의 3번째 교역대상국으로 자리매김했다....
'관세 우려' 이겨 낸 코스피, 상승 랠리 이어간다 [주간전망] 2025-02-16 08:00:01
대해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의 품목에서 무관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상호 관세 도입 지연에 따른 모멘텀은 커질 전망"이라며 "특히 자동차는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커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자동차는 미국 소비자 부담, 의약품은 국민 건강 문제...
트럼프발 車관세 파장에 K-배터리 예의주시…3사 희비 엇갈리나 2025-02-16 07:41:00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 기조가 갈수록 심화하는 분위기라 당사와 같이 선도적으로 북미 시장을 개척해 온 회사들은 선진입 효과가 뚜렷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SK온과 삼성SDI의 경우 배터리가 탑재되는 주력 차종 대부분이 미국 내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보인다. SK온은 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