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 中 철강 우회수출까지 조준…韓 부담 가중되나 2025-02-12 10:53:05
무역위 기능 강화 방향을 설명하는 브리핑에서 "수입 물품의 저가 공세, 무역에 따른 지재권 침해 등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보호하고 공정한 무역 질서 확립을 위해 앞으로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적극 건의하고, 신속하고 실효적으로 조사를 진행해 나아가겠다" 강조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한국경제 위기에…경제원로들 "정국안정·경제 최우선 정책 시급" 2025-02-12 10:30:15
비공개 토론도 진행됐다. 대한상의는 "경제 원로들이 진영에 얽매이지 않고 풍부한 현장 경험과 식견, 경륜을 바탕으로 현재 경제 상황 진단, 저성장 추세 반등을 위한 정책 방향과 트럼프 2기 출범 등 무역 질서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진심 어린 조언을 했다"고 전했다. hanajjang@yna.co.kr (끝)...
멕시코 "美 철강관세 정당치 않아…우리가 미국산 더 많이 수입" 2025-02-12 01:48:11
상식적으로, 지난 40년 가까이 양국이 함께 쌓아온 교역(질서)을 스스로 망가뜨리거나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멕시코 당국은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와 접촉해 자국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트럼프, 국제법 무시한채 경제동맹에도 일괄 관세…한·미 FTA 무력화 우려 2025-02-11 18:24:07
국제법과 무역협정을 무시하고서라도 무역 질서를 재편하자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라는 점은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 내 한·미 FTA 재협상론이 힘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자동차·반도체 관세는 철강처럼 ‘무역확장법 232조’가 근거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은 자국 철강업체...
트럼프팀 최고위 3인 유럽행…대서양 동맹 파열음 속 접점 찾나 2025-02-11 12:17:52
국제 경제·안보질서를 지탱해 온 '대서양 동맹'의 향방을 가늠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아쇠를 당긴 글로벌 무역 전쟁의 전운이 짙어지는 가운데 대서양 동맹의 파열음까지 커진다면 국제질서의 혼란도 심화될 수 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J.D. 밴스...
'트럼프관세 위협' 멕시코, 1월 車수출 급감…美업체 타격 더 커 2025-02-11 04:01:32
'상호 관세' 부과 예고로 여전히 국제 무역 질서의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멕시코 내 한국계 한 자동차 부품업체 측은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만큼 당분간 멕시코 자동차 업계의 보수적인 시장 접근은 이어질 것"이라며 "1차, 2차, 3차 벤더(협력업체)에 미치는 부담은 더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
철강부터 '트럼프 보편관세' 시작되나…한국, 첫 직접 '사정권' 2025-02-10 11:04:03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기간 세계 무역 질서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보편 관세'를 도입해 고질적인 자국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고 미국으로 투자를 이끌어 제조업 부흥을 이끌겠고 공언한 바 있었지만 그간 구체적인 그림을 보여주진 않았다. 그의 구상대로 이번에 미국이 철강 제품에 25%의...
이재명 "주4일 근무 국가로 가야…'잘사니즘' 새 비전 삼겠다" [종합] 2025-02-10 10:42:47
질서가 빠르게 재편중입니다. 미국은 중국에 10%,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예고하며 무역전쟁의 서막을 열었습니다. 자국 우선주의가 지배하는 각자도생 시대 개막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는 더 어렵습니다. 시계제로 상황이지만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정치가 앞장서 통상위기에 대응해야 합니다. 국회...
트럼프-이시바 회담 이후…‘복합 환율전쟁’ 일어나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5-02-10 07:39:25
무역기구(WTO)는 무력화된 지 오래됐고 유엔(UN),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등과 같은 국제기구도 그 위상이 떨어지고 합의 사항을 위반할 때 제재하더라도 이것을 지키려고 하는 국가들이 많지 않다. 이 때문에 ‘국제기구 축소론’과 ‘역할 재조정론’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조 바이든 정부가...
결국 시작된 2차 美中무역전쟁…협상 기조 속 '전선확대' 우려도 2025-02-10 01:16:08
미중 양국의 무역전쟁이 제한적 수준이라는 점에서 대화의 여지가 남아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 양국이 서로 관세 인상을 주고받으면 미국은 기업·소비자 부담 증가를 감내해야 하고, 글로벌 패권국이 국제 무역 질서를 앞장서서 훼손하며 각국에 피해를 준다는 비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 반면에 트럼프 1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