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툴젠 “카스9 단백질 생성 mRNA 개발…기존 한계 극복할 것” 2022-01-26 11:37:01
LNP 개발도 본격화한다. 툴젠은 전날 미세유체공학 기반 입자제조 전문기업 엔파티클과 유전자가위 전달을 위한 LNP 생산공정 개발 업무협약 체결 소식을 전했다. 카스9 mRNA를 LNP에 효율적으로 넣기 위해서는 균일한 크기의 입자 생산 기술이 필요하다. 엔파티클이 보유한 미세유체 입자제조 기술은 연속적으로 균일한...
툴젠, 엔파티클과 유전자가위 전달용 LNP 생산공정 개발 협력 2022-01-25 09:25:50
미세유체공학(Microfluidics) 기반 입자제조 전문기업 엔파티클과 유전자가위 전달을 위한 지질나노입자(LNP) 생산공정 개발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작년부터 기술 융합 가능성을 검토하고 기초적인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공동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예정이다. 화이자와...
코리, 美 인피니플루딕스와 차세대 LNP 공정 개발 협약 2021-11-18 10:57:07
공정을 활용해 미세유체공학 기술 기반 차세대 약물전달체 제조장치 및 공정기술을 개발한다. 인피니플루딕스의 지질나노입자(LNP) 약물전달시스템 생산공정 연구는 유펜 산학협력단(PCI)의 지원을 받고 있다. 향후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도 유펜 산학협력단과 백신 관련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등에서 협업 및 상호교류할...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 코리, mRNA 백신 신제조공법 개발 착수 2021-11-18 10:15:57
제조 과정에서 가장 까다롭다고 꼽히는 미세유체 공정 분야의 새로운 공법을 공동 연구할 계획이다. 코리컴퍼니는 인피니플루딕스가 연구중인 기술이 미세 유체 공정의 시간당 처리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인피니플루딕스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스핀오프한 벤처 기업으로, 반도체 칩 공정을 활...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 美 인피니플루딕스와 차세대 mRNA 백신 개발 2021-11-18 10:01:08
칩 공정을 활용해 미세유체공학 기술 기반 차세대 약물전달체 제조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 벤처기업이다. 이 회사 LNP 약물전달시스템 생산 공정 연구는 Upenn의 산학협력단 지원을 받고 있다. 향후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도 Upenn 산학협력단과 백신 관련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등 다각도로 협업 및 상호 교류할 예정이다....
인벤티지랩 "mRNA 백신 대량생산 기술확보" 2021-09-23 17:16:48
“미세유체공학 기술을 이용해 mRNA를 탑재한 LNP를 균일한 크기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했다”며 “mRNA 백신을 개발 중인 에스티팜과 함께 LNP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배터리와 반도체 개발에 쓰이던 미세유체공학은 최근 의약품 개발과 질병 진단에 도입되고 있다. 미세유체공학은 기체나...
에스티팜, 포스텍서 mRNA 백신 원액 대량생산 조언받는다 2021-06-29 09:51:29
에스티팜은 향후 2년간 포스텍 연구단에서 미세유체공학 기술을 적용한 LNP 구조체의 제조 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조언을 받는다. 결과물과 지식재산권은 에스티팜과 포스텍 연구단이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며, 연구 기간 중 또는 만료 후 1년 이내에는 동일한 연구 활동이 제한된다. 연구 책임자인 지능형 미세유체...
에스티팜, 포스텍과 mRNA백신 원액 생산 연구협약 체결 2021-06-29 09:45:47
게재된 기사입니다≫ 에스티팜은 포스텍 지능형 미세유체 의약합성 연구단과 미세유체공학 기술(microfluidics technology)을 적용한 지질나노입자(LNP) 구조체의 제조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자문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원액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다. 협약에 따라...
[K-바이오 프런티어] 멥스젠, 인간 장기 모사칩으로 동물실험 한계 뛰어넘는다 2021-04-27 09:20:02
건 다반사였다. 이런 경험은 김 대표가 미세유체 기반 바이오 생체 약물 분석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가 되는 데 밑거름이 됐다. “미세유체 공학기술을 활용해 1㎜ 크기의 동물세포 티슈를 배양하고 약물 주입 조건을 시·공 간적으로 정확히 컨트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어요. 이전까지는 이런 일을 수작업으로 했는...
정상 세포처럼 생장·분열하는 인공 단세포 생물 합성 2021-03-30 16:29:18
있다. 연구팀은 세포를 배양하면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미세 유체 연속 배양장치'(microfluidic chemostat)를 고안해 각 유전자가 세포의 생장과 분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JCVI-syn3.0 세포는 생장·분열 과정에서 모양과 크기가 제각각이고 일부는 섬모를 갖고 일부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