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테러용의자' 수감 관타나모에 다국적 갱단원 10명 첫 구금 2025-02-06 06:57:00
합의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미국 국방부가 '테러와의 전쟁' 당시 테러 혐의 용의자를 감금했던 쿠바 관타나모 해군 기지 구금 시설에 '고위험' 불법 이주민 10명을 압송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국방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어제(4일) 관타나모에 10명의 고위험 불법 체류자가...
글로벌 ESG 뉴스 브리핑 2025-02-04 06:00:46
최소 3000억 달러(약 435조 원)를 지원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美 금융권 기후 이니셔티브 이탈 가속화 JP모건이 1월 7일 넷제로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했다. 웰스파고, 시티은행 등 미국 6대 대형 은행이 모두 연합을 탈퇴했다. 기후 이니셔티브 참여가 반독점 규정을 위반할 수 있다는 미국 공화당의 압박 때문이라는 분...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실탄 발사·멕시코 유예 합의…낙폭 축소 출발 2025-02-04 01:20:52
2% 이상 밀렸다. 철도회사 캐네디언 퍼시픽 캔자스시티는 3% 이상 떨어졌다. 중국과 밀접한 사업 관계를 맺고 있는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도 약세다. 엔비디아는 2% 이상, 브로드컴과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각각 1% 이상 내렸다. 애플도 3% 이상 하락세다. 이날 미국 최대 육류 가공업체 타이슨푸즈는 시장 예상을 상회한...
운하 해법 난망…美 "中 영향력 빼야" vs 파나마 "우리가 운영"(종합2보) 2025-02-03 08:18:00
주민, '트럼프 성토' 시위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중미 파나마를 찾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2일(현지시간) 파나마 대통령을 면담하고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전달했다....
운하해법 못찾아…美 "운하서 中 빼야" vs 파나마 "우리가 운영"(종합) 2025-02-03 06:49:57
주민, '트럼프 성토' 시위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중미 파나마를 찾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2일(현지시간) 파나마 대통령을 면담하고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전달했다....
美국무 만난 파나마 대통령 "지금도, 후에도 운하운영은 우리가" 2025-02-03 04:31:00
수도"…루비오 "파나마, 협정 위반" 주장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파나마 운하 통제권 반환 요구'에 반발하고 있는 파나마 대통령이 미 국무장관과 만난 후 "파나마 운하는 앞으로도 우리가 운영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세스코, 2025 식품안전교육 개강…현장형 식품안전전문가 양성 2025-01-31 11:32:24
교육 사이트인 ‘세스코 아카데미’에서 신청 가능하며, 수료자 모두에게 식약처 및 세스코 식품안전센터에서 발행하는 수료증을 제공한다. 교육장소는 세스코 멤버스 시티(CMC)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세스코 식품안전센터는 “교육을 통해 법정의무교육 수료와 동시에 자기 계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북미 진출 SKT AI 비서 '에스터', 구글캘린더·옐프닷컴과 연동 2025-01-30 07:00:05
연동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옐프닷컴은 레스토랑이나 바, 미용실, 의료시설 등을 예약할 수 있는 앱으로, 북미 지역 월간 사용자가 7천400만여명에 이른다. 구글 캘린더와 옐프닷컴 외에도 우버, 리프트 등의 교통편 예약 앱 등과도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해 개발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틱톡 인수 경쟁에 MS도 참전하나…트럼프 "입찰 경쟁 보고 싶어" 2025-01-28 17:43:58
협상과 관련해 논평을 거부했다. 틱톡과 바이트댄스도 언론의 논평 요구에 응답하지 않았다. 다만 MS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때인 지난 2020년에도 틱톡 인수를 위한 논의에 나선 적이 있다. 당시 MS와 틱톡의 협상은 오래가지 않아 결렬됐고, 트럼프 대통령도 재선에 실패해 백악관을 떠났다. 지난 2021년 사티아...
판 커진 틱톡 인수전…머스크·재벌·유튜버 이어 MS까지 2025-01-28 17:25:24
우려에서다.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틱톡 서비스가 금지되게 한 틱톡 금지법에 따라 지난 18∼19일 몇 시간 동안 미국에서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20일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서비스가 재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