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네트워크 로펌 난립 규제방안 찾을 것" 2025-01-26 16:26:10
하나의 법무법인이 전국에 분사무소를 두고 영업하는 방식이다. 그는 “네트워크 로펌으로 인해 변호사들의 광고비 지출이 지나치게 늘어날 수 있다”며 “운영자들과 함께 규제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변호사 배출 수를 조정하기 위해 부실 법학전문대학원 통폐합 및 인가 취소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황동진...
영풍 의결권 막고 주총 강행…최윤범 '위태로운 방어' 2025-01-23 18:04:08
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상호주 의결권 제한 규제는 유한회사와 외국 법인에 적용되지 않는다”며 “‘꼼수’로 의결권 행사를 가로막는 것은 대주주의 경영권을 보장하는 자본주의 정신과도 맞지 않기 때문에 재판부가 MBK 연합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최다은/성상훈/박종관 기자 max@hankyung.com
최윤범 ‘상호주 카드'에 상법 전문가 “제도 취지에 어긋나" 2025-01-23 15:05:14
요구한 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상호주 의결권 제한 규제는 유한회사와 외국 법인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꼼수’로 의결권 행사를 가로막는 것은 대주주의 경영권을 보장하는 자본주의 정신과도 맞지 않기 때문에 재판부가 MBK·영풍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권재열 경희대...
"합병가액 외부평가 의무화 및 공개는 한국이 유일" 2025-01-23 10:47:06
나왔다. 안태준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가치평가를 회계감사 수준으로 엄격하게 규제하는 것은 회계법인의 책임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회계법인의 가치평가는 다른 외부평가기관과 달리 공인회계사법에 따라 형사책임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타 기관과의 형평성 등을 감안할 필요가...
[단독] 작년 실업급여 지급액 12조 돌파…부정수급도 사상 최대 2025-01-22 17:00:10
12만명으로 내렸다. 김희성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건설업 등 경기 침체가 경기 회복의 주요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단기간에 반등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에 부정수급도 증가실업급여 제도의 구조적 문제도 지급액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해외 상법 교수 68%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은 회사" 2025-01-20 18:25:13
등 해외 주요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상법 전공 교수 10명 중 7명은 기업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이 소액 주주 보호를 목적으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까지 확대하는 상법 개정에 나섰지만, 대다수 상법 전문가는 역효과가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헌법 공부' 열풍…불티나게 팔린다 2025-01-20 10:48:20
전월보다 323.5% 늘었다. 검사 출신 헌법 전문가인 이효원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헌법을 쉽게 풀어쓴 책으로 40~50대가 주로 샀다. 이들의 구매 비중은 65.9%에 달했다. 헌법 전체를 조문 순서대로 제시하고 따라 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헌법 필사'는 올해 1월 들어 전월 동기보다 1천36.0% 증가했다...
상법개정 논의에 해외 교수 68% "이사 충실의무 대상은 회사" 2025-01-20 09:35:59
등 해외 주요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먼저 소속 로스쿨이 소재한 국가에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이 누구인지 묻는 말에 가장 많은 68%의 응답 교수는 ‘회사’라고 답했다. 이어 ‘회사와 주주’(32%), ‘주주’(8%), ‘회사·주주·이해관계자’(4%)...
韓 상법개정 논의에 해외 상법교수 68% "이사 충실의무 대상은 회사" 2025-01-20 06:00:04
히토쓰바시대 등 해외 주요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먼저 소속 로스쿨이 소재한 국가에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이 누구인지 묻는 말에 가장 많은 68%의 응답 교수는 '회사'라고 답했다. 이어 '회사와 주주'(32%), '주주'(8%),...
'트럼프 2기' 한국 빅테크 규제 정책도 '불확실성' 영향권 2025-01-19 06:11:03
상황이다. 경쟁법 전문가인 이황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미국 플랫폼도 규제 대상인 입법이 추진되면 그동안 금기시됐던 다른 국가의 입법에도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저런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에서도 반대하고 국내 플랫폼도 반대하면 정부의 입법 어려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개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