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1년에 다섯번 가격 올려도 잘팔린다…이상한 名品시장 2021-10-11 09:00:40
이 책에서 베블런은 “상층 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했다. 베블런은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다. 이 같은 분석은 과시 목적의 수요가 많은 명품시장에 잘 맞아떨어진다....
480만원짜리 명품백 대신 '이 주식' 샀다면 25배 이익 '돈방석' 2021-10-02 15:30:32
‘베블런 효과’의 대표적 예다.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상승하면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일컫는 경제학 용어다.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가격이 비쌀수록 구매욕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섹스앤더시티의 사만다 역시 “버킨백은 내 취향에 맞지 않지만 가방이 가지는 의미가 있지 않느냐”며...
샤넬 올해만 세 번째 인상…"줄 서서 사는데 안 올리면 이상" 2021-09-02 08:23:15
사고 있다. 비싸질수록 갖고 싶어 하는 심리(베블런 효과),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소비심리가 갑자가 폭발하면서 나타난 보복소비 심리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샤넬이 2월에 이어 7월에도 국내 주요 상품의 가격을 올린 것과 관련해 네티즌들은 "비싸질수록 줄 서서 사는데 안 올리면 이상하다", "비싸야 더 사고싶어...
"'샤테크'가 답인가?"…하루 만에 가격 100만원 올린 샤넬 2021-07-01 16:10:24
제품 가격을 올렸고, 오는 15일 시계 가격 인상에 나설 계획으로 전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억눌린 소비 욕구가 분출되는 '보복소비'와 부의 과시를 위해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는 '베블런 효과' 덕에 지난해 주요 명품브랜드는 호실적을 거둔 바 있다. 오정민...
"샤넬백, 오늘이 가장 싼 날"…백화점 앞 새벽부터 줄섰다 2021-06-30 12:05:25
과시를 위해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는 '베블런 효과' 덕에 지난해 주요 명품브랜드는 호실적을 거둔 바 있다. 지난해 처음 실적을 공개한 샤넬은 코로나19에 따른 면세점 업계 타격에도 불구하고 9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거뒀다. 통상 명품 브랜드들은 별도의 협력사를 통해 면세사업부를 운영, 실적이 별도...
[테샛 공부합시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테이퍼링의 시작점은? 2021-06-14 09:00:50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으로 상류층 소비자의 소비 행태를 가르킨다.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소스타인 베블런이 주장했다. 예를 들어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급 자동차 등은 경제 상황이 악화해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남에게...
[경제·금융 상식 퀴즈 O X] 6월 14일 (711) 2021-06-14 09:00:01
④베블런 효과 7. 최근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이 세금을 최저 15%로 설정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기업이 부담하는 세금인 이것은? ①부가가치세 ②양도세 ③법인세 ④소득세 8. 한국 헌법에 따라 노동자들에게 보장된 ‘노동 3권’이 아닌 것은? ①단결권 ②단체교섭권 ③단체행동권 ④참정권 ▶711회 정답 : 1③ 2④...
코로나에도 명품에 15조 쓴 한국인…에루샤만 2조4000억 2021-04-17 13:30:13
베블런 효과' 등이 요인으로 꼽힌다.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가 명품을 개성 표출 수단으로 여기는 '플렉스' 문화도 일조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보상심리가 강화된 상황에서 보다 개인의 가치관에 초점을 맞춘 고가 소비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연승 한국유통학회장(단국대...
"오빠 람보르기니 뽑았다"…코로나 불황 속 '럭셔리 호황' 2021-04-15 10:36:44
부의 과시를 위해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는 '베블런 효과' 등이 요인으로 꼽힌다.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명품을 개성 표출 수단으로 여기는 '플렉스' 문화도 일조했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여행이 장기간 어려워지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백화점 수입 상품...
줄서서 사는 '에루샤'…작년에 매출 2조4000억 올렸다 2021-04-14 18:57:34
베블런 효과' 등이 요인으로 꼽힌다.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밀레니얼세대+Z세대)가 명품을 개성 표출 수단으로 여기는 플렉스(flex) 문화도 일조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30대를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늘면서 본인에게 투자하는 성향이 더 강해졌다"며 "MZ세대의 명품 선호 역시 이같은 흐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