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저임금 연동된 법령만 26개…실업·출산급여도 줄줄이 오른다 2024-07-12 17:44:43
최저임금의 영향을 받는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소득의 범위가 최저임금에 맞춰진다. 최저임금법 제5조에 따른 최저임금액 등을 고려할 때 소득 관련 자료의 신뢰성이 없다고 인정될 경우 개별 가구의 생활실태 등을 조사해 확인한 뒤 최저임금을 토대로 산정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 장애인 활동...
지하철 또 멈출라…전장연 "장애인 7대 입법 불발 땐 시위 재개" 2024-07-01 19:12:03
전부개정(교통약자이동권보장법 제정) △권리중심일자리특별법 제정 △발달장애인법 전부개정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지역사회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제정)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특수교육법 전부개정 법안을 말한다. 전장연은 이날 국회 앞에서 전동행진을 진행하면서 장애인도 장애인거주시설에만 머무르는 것이...
지인 차 몰래 운전하다 사고 냈는데…"차 주인도 책임 있다" 2024-06-24 11:19:58
쉽게 손에 넣을 수 있었던 점을 고려했다. A씨가 뒤늦게 B씨를 고소한 사실을 두고도 실제 처벌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대법원은 "사고가 나지 않았다면 운전자의 무단 운행을 차주가 사후 승낙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원심 판단에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판시했다. 민경진...
“ESG 경영의 인사·노무 핵심은 문서 실체화와 내재화” 2024-06-05 06:00:10
고령자 고용 촉진에 관한 법률, 사회보장기본법, 국가인권위원회법, 양성평등기본법, 직업안정법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최저임금법, 파견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근로자 퇴직 급여 보장법,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포함해 채용 절차 공정화 법률,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 노동조합...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 구상권 대상…‘제3자’는 누구인가 2024-04-23 16:04:16
내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나 민법 또는 국가배상법의 규정에 의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자를 말한다”는 입장이다(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6다32910 판결 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보험가입자)는 ‘제3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무상 사용자(보험가입자)는 재해를 입은 근로자와 합의를 할 때에...
'中 투자 리스크' 지적에도…인민일보, 머리기사로 "안보 우선" 2024-04-14 13:56:01
수시로 발생한다"면서 "국가 안보와 사회 안정이 직면한 위협과 도전은 늘어나고, 인민 대중의 안보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했다. 또 시 주석 집권 후 잇따라 공포·시행된 국가안전법과 인터넷안전법, 생물안전법, 데이터안전법, 반(反)외국제재법, 식량안전보장법, 반간첩법 등 안보 관련 법률과 지난달 발효된...
김선민 전 심평원장 "'사회권 선진국' 위해 조국혁신당 합류" [인터뷰] 2024-04-05 17:27:13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결심했다." ▶'사회권 선진국'에 대해 설명해달라. "주거, 의료, 아이 교육, 돌봄 등 사회복지의 여러 분야가 있잖나. 이런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들을 국가에서 시혜를 주는 게 아니라 인간이라면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로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아프면 돈 걱정 없이 병원 갈 권리,...
유엔 北인권결의안 초안, 'COI 후속 보고서' 제출 요청(종합) 2024-03-22 18:07:10
북한 법령을 추가로 적시하고 있다. 청년들이 사회주의 생활양식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처벌하고 가정교육을 의무화한 청년교양보장법(2021년), 남한말을 쓰면 6년 이상 징역형, 남한말투를 가르치면 최고 사형에 처한다는 내용의 평양문화어보호법(2023년)이 추가됐다. 초안은 주민의 자유를 침해하는 이들 법령을 단순히...
"정년 넘긴 근로자의 '재고용 기대권' 입법화 필요" 2024-02-16 16:55:02
이번 행사는 고려대 법학연구원 노동·사회보장법센터가 후원했다. 1부 세션에서는 유성재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사회 아래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성진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각각 취업규칙에 관한 해석론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향, 노동관행론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각 주제에 대해서...
영화관 못 들어간 강원래…10년 지나도 여전한 '문턱' [취재수첩] 2024-02-13 17:09:00
등 편의증진보장법'(장애인등편의법) 시행령은 개별 상영관이 아닌 전체 영화관의 1%를 장애인 관람석으로 하도록 규정해 장애인 관람석이 없는 상영관이 대부분이었다는 설명이다. 시행령에 '구멍'이 있었던 셈이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강씨가 극장에 들어가지 못하고 가족들만 영화를 보게 한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