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미래를 내다본 통일 군주 왕건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06-28 08:27:01
삼국이라는 분열상태를 최종적으로 통일이라는 위업을 실현한 인물은 왕건이다. 무려 40여 년 가까이 벌어진 통일전쟁에서 승리한 그는 어떻게 역사에 등장했을까. 후삼국 시대의 도래와 동아시아의 대분열 통일 신라는 9세기 후반에 이르러 권력쟁탈전과 경제실패, 지방호족들의 반란 등으로 이미 붕괴 중이었다. 마침내...
후삼국 통일전쟁 뛰어든 후백제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06-21 08:00:01
신라사회의 해체와 새로운 통일국가의 주도권을 놓고 해군력을 동원한 전쟁이 벌어졌다 (윤명철, 《한국해양사》) 견훤의 후백제 건국 이 시대 가장 강력한 해양세력은 견훤(甄萱)이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견훤은 경상도 상주사람이다. 본래의 성은 이씨였으며, 신라의 중앙군으로 출발해 서남해에서 해양방어를...
연천 대전리 산성과 용인 석성산 봉수터, 경기도 '문화재 지정 예고' 2020-06-04 12:51:06
대전리 산성은 군사적 요충지에 위치한 삼국시대 산성이다. 서울?경기지역 산성들 가운데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변화양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있다. 이곳은 연천과 양주 사이 추가령구조곡에 의해 형성된 긴 회랑지대(통과가능한 길고 좁은 지대)가 이어지는 지리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다....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무역의 나라 신라…실크로드의 출발과 종착점 경주 2020-05-10 15:47:15
신라였다. 삼국통일 전쟁의 후유증…일본국의 탄생과 적대관계 통일을 외세에 의존한 신라는 일본과는 정치적으로나 군사적, 감정적으로 우호적일 수가 없었다. 초기부터 갈등관계가 있었지만, 결국 8세기 중반 무렵에는 국교가 단절됐다. 전쟁이 일어날 분위기도 고조됐다. 일본은 소위 ‘신라정토론’으로 알려진 정책을...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당나라 꺾고 완성한 삼국통일…원조선·고구려 계승 아쉬운 '반쪽 통합' 2020-04-24 17:18:26
대군을 파견했다. 평양성이 함락되면서 삼국통일전쟁은 2단계로 접어들었다. 나당 연합군의 주도권은 항상 당나라가 가졌다. 660년 백제를 공격할 때도 무열왕은 군사편제상에서 소정방의 지휘를 받았다. 당고종은 백제의 항복을 받고 귀국한 소정방에게 왜 신라를 치지(伐) 않았느냐고 힐난했다. 663년에는 계림대도독부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고구려 멸망으로 대륙 잃은 한민족…동아지중해 조정역할 약화 2020-03-20 17:11:22
서로 단결해 당나라군과 전쟁을 벌여 이민족을 축출하고 삼국통일을 이룩한 것이다. 동쪽 유라시아 세계에서 일어난 또 다른 질서의 재편이라는 유리한 환경도 작용했지만, 백제와 고구려 유민들이 복수심에 불타 당나라 편에서 신라를 공격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한민족의 역사는 가정하기조차 싫은 방향으로 흘러갔을 수...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동아시아 주도권 바꾼 '고·수전쟁'…고구려의 치밀한 준비 통했다 2020-03-06 18:47:41
이렇게 ‘고·수(高·隋)전쟁’의 신호탄이 올랐고, ‘고·당(高·唐)전쟁’을 거쳐 신라가 참여한 이른바 ‘삼국통일전쟁’까지 지속됐다. 전쟁의 목적과 진행과정, 결과 등을 보면 몇 단계로 구성된 ‘70년 전쟁’이었다. 한륙도(한반도와 만주...
‘책 읽어드립니다’ 삼국지 속 책사와 군주들의 비하인드 스토리 2020-03-03 14:53:00
모두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이적은 삼국지의 인물 중에 특히 제갈공명이 무섭다고 말해 모두의 궁금증을 자아낸다. 제갈공명이 봤을 때 유비는 다루기 편해 장기 말 같이 조종해서 뭔가를 꾸밀 수 있기 때문.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는 조조가 죽을 때 가장 속상해한 것은 삼국통일을 못 해서가 아니라 사람들한테 잘못한...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변방국가서 승자 된 신라…비결은 충성·용기·우애 갖춘 인재 양성 2020-02-28 17:47:29
백제를 복속시키고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비록 불완전했지만 삼국통일을 실현했다. 그 위업에는 산업 발전과 기술력, 군사력과 경제력도 작용했지만 용기와 자유의지, 사명감으로 가득한 ‘화랑’이라는 인재와 ‘풍월도’라는 고유 사상의 역할이 컸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풍류를 ‘멋스럽게...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탐라, 유구국 등 아시아 남방과 교류…한·일 해양물류센터 역할도 2020-01-10 17:14:03
한 거점이었음이 분명하다. 삼국 통일전쟁 때 백제와 동맹 주호국은 그 후 탐라(耽羅)·섭라(涉羅)·탐모라국(耽牟羅國) 등으로 불렸으며, 고대 국가들의 흥망성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476년에는 탐라국의 이름으로 백제에 방물을 바쳤고, 은솔이라는 관직을 받았다. 백제는 탐라를 영향권에 두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