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연탄 국제 시세 급락하는데 국내 시멘트값은 요지부동 2025-02-04 21:04:01
4일 산업통산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최근 석달 동안 20% 넘어 떨어졌다. 호주 뉴캐슬산 전력용원료탄(유연탄) 평균 가격은 지난해 11월 t당 평균 145달러에서 지난 1월에는 115달러까지 하락했다. 중국의 석탄 증산으로 재고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기준 중국 석탄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3.6%...
트럼프 관세에 中, 보복관세와 구글 등 美기업 '경고사격' 2025-02-04 19:16:30
중국 정부는 2월 10일부터 50억 달러 미만의 미국산 석탄과 LNG 수입에 15%, 미국산 석유 및 농업용 전기 트랙터 등 장비에 1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 날 발표했다. 또 전자 항공 및 방위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텅스텐 등 희토류의 대미 수출을 통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기업을 겨냥한 제제 조치로 중국 정부는 이 날...
트럼프 복귀 보름만에 미중 무역전쟁 포문…충돌 속 협상 여지도 2025-02-04 16:50:09
강행했다. 이에 중국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를 각각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대응했다. 다만 '추가 10%'는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온 60% 관세율에 크게 못 미치는 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확실성이나 양국 정상 간 통화 가능성 등 극적인 협상 타결 여지는 남아...
美, 대중 추가관세 10% 공식 발효…中, 즉각 '맞불' 2025-02-04 16:24:53
산업 분야 중 전기차의 관세율은 100%에서 110%로,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올랐다.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유예한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중국과도 24시간 안에...
미, 대중 추가관세 10% 공식 발효…中, 원유·LNG 등에 맞불 관세 2025-02-04 16:13:14
석탄·원유 등에 10일부터 10~15% 관세…텅스텐 등 수출통제 오는 10일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발효 전에 극적 타협할지 주목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등의 문제로 중국에 대해 예고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4일(현지시간)부로 공식 발효됐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트럼프, 對멕시코·加 25% 관세 한 달 유예…對中 10% 관세 발효(종합2보) 2025-02-04 14:46:30
트럼프 대통령은 지역적으로 유럽연합(EU), 산업 부문별로는 반도체, 철강, 석유·가스 등에 대한 관세 부과 의지를 밝힌 상태라 일촉즉발 수준인 관세 전쟁의 위기감이 계속 고조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통상 국가인 한국의 수출 전선도 비상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
美 "중국산에 10% 추가관세"…中, 구글 반독점법 조사·보복관세 '맞불' 2025-02-04 14:45:26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 재무부는 미국산 제품 중에서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에서 수입하는 원유, 농기계, 일부 자동차에 대해서는 10% 추가 관세를 결정했다. 이는 오는 10일부터 적용된다. 아울러 텅스텐,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및 인듐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中, 美에 최고 15% 보복관세…구글 대상으로 반독점조사 시작 [글로벌 관세전쟁] 2025-02-04 14:40:30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미국산 석탄 및 LNG에는 15% 관세를 부과하고 원유, 농기계, 자동차류에는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목록에 따르면 가공되지 않은 무연탄, 코크스 제조용 연료탄, 기타 연탄, 갈탄, LNG 등이 15% 관세에 해당된다. 10% 관세에 해당되는 품목은...
주요 ESG 콘퍼런스 및 포럼 2025-02-04 06:00:55
‘코리아 스마트 그리드 엑스포 2025‘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개최된다. 이번 엑스포 테마는 ‘에너지 저장장치’, ‘분산 에너지’, ‘EV 충전 인프라’다. 분산에너지 특별법,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 전략 등 에너지 산업 정책에 부응하는 스마트 에너지 트렌드를 엿볼 수 있다. 2월 14일 ‘전력시장의 변화에 따른...
이천민 SC제일은행 부행장 "리스크 관리는 금융 지속가능성 설계의 핵심이죠" 2025-02-04 06:00:25
“석탄발전 관련 여신은 축소하고,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부행장은 30년 넘게 글로벌 금융권에서 일해왔다. 그는 1992년 홍콩상하이은행에 입사해 노무라증권, 소시에테제네랄은행, 리먼브러더스증권을 거쳤으며, SC제일은행의 리스크 관리 분야에서만 20여 년간 경력을 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