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노년 고독감은 술·담배보다 위험…건강한 인간관계가 장수 비결" 2024-04-08 18:35:21
설명했다. 그는 “실험용 쥐의 수명이 2년, 꼬마선충은 3주인데, 동물실험 결과로 수명이 100년에 가까운 인간에 적용하기엔 풀어야 할 기술적 난제들이 많다”고 했다. 또한 “약물로 특정 유전자를 건드릴 경우 언제,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지 모른다”라며 "10~30년 장기간 임상을 통해 광범위한 효능과 부작용을 분석해...
"간과 신장이 망가졌다고요?…몸속에서 새로 만들어드려요" 2024-03-19 18:24:20
확인했다. 8년 전 실험동물인 예쁜꼬마선충의 자궁을 장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지금은 피부나 근육을 심장, 신장으로 바꾸는 연구를 하고 있다. 로스먼 소장은 “먼 미래가 되겠지만 언젠가는 이식 없이 환자의 몸에서 망가진 장기를 대체하는 장기를 거부반응 등 안전성 문제 없이 제조해 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당신이 내년에 사망할 확률은 2% 미만입니다" 2024-03-19 18:20:05
이 논문은 예쁜꼬마선충에 관한 연구였다. 유전자 하나에 돌연변이가 생기자 수명이 두 배 늘어났다는 내용이었다. 수명이 20일에 불과한 예쁜꼬마선충은 40일 넘게 살았다. 성체가 된 뒤 노화해 쇠약해지기 전까지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는 기간인 ‘건강 수명’도 두 배 늘었다. 이 논문의 제1저자는 신시아 캐년이었다....
피부·근육 세포로 망가진 심장 교체…내 몸으로 '셀프 장기이식' 가능해진다 2024-03-19 18:17:27
예쁜꼬마선충으로 몸속 장기를 다른 장기로 바꾸는 실험이 한창이었다. 조엘 로스먼 CALS 소장은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해 예쁜꼬마선충의 자궁을 장으로 바꾸는 실험에 성공했다”며 “가령 피부조직을 안전하게 심장으로 바꿀 수 있게 되면 심장병 환자는 다른 사람의 장기나 인공장기를 이식받지 않고도 새로운 심장을...
체르노빌서 방사성 물질에 영향 받지 않는 초능력 벌레 발견 2024-03-12 21:27:07
특정 선충의 유전자가 방사선으로부터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벌레는 어디에나 살며 수명이 짧기 때문에 일반적인 척추동물이 성숙하기 전에 이미 수십 세대의 진화를 거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체르노빌 지역이 방사선에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일부...
[사이테크+] 포유류 추위 감지 단백질 발견…"추위 통증 이해·치료 기대" 2024-03-12 05:00:02
12일 과학 저널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에서 예쁜꼬마선충(C. elegans)과 생쥐 실험을 통해 포유류에서 추위를 감지하는 '글루타메이트 이온성 수용체 카이네이트 타이프 2'(GluK2)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동물의 온도 감지 메커니즘 연구는 20여년 전 'TRPV1'이라는 열 감지...
수컷 없는 수족관에서 임신한 가오리…새끼의 아빠는 누구? 2024-02-13 21:32:38
동물에서는 주로 선충, 곤충과 같은 무척추동물의 일부에서 단성생식이 발견되며, 어류와 양서류와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아주 드물게 보고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이종교배인데, 당시 수족관 내에는 2마리의 상어가 존재하고 있었다. 아쿠아리움 관계자는 "가오리에게서 여럿 물린 상처를 발견했는데 이는 상어가 교미할 때...
전자레인지 가열 방식으로 농작물 병해충 막는다 2023-12-20 11:25:39
있지만 토양 전염성 세균이나 곰팡이, 선충 등 병해충이 주 원인으로 거론된다. 이를 막기 위해 농약을 쓰지만 잔류독성, 약제 내성 증가, 환경파괴 등 여러 문제가 생긴다. 전기연 정순신 박사 연구팀은 전자레인지 작동 원리인 마이크로파를 땅 속 깊이 침투시켜 토양 속 수분을 가열해 병해충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이테크+] 예쁜꼬마선충 전체 신경세포 간 무선 통신 연결지도 완성 2023-11-07 10:52:02
이주영 기자 = 1㎜ 정도 크기 벌레인 예쁜꼬마선충(C. elegans) 신경계에 있는 모든 신경세포가 신경펩티드를 통해 서로 무선으로 연결돼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밝혀낸 신경계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영국 케임브리지 의학연구위원회(MRC) 분자생물학연구소 윌리엄 셰퍼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제약·바이오업계 임상시험…동물 대신 '꼬마선충' 주목 2023-10-22 18:05:24
알파벳으로 둔 미국의 칼리코는 2015년부터 꼬마선충 과학자를 대거 채용해 노화 및 질병 치료제를 연구 중이다. 세계 제약 매출 1위 의약품 ‘휴미라’를 개발한 애브비 역시 이 칼리코와 2025년까지 손잡고 암 및 신경퇴행 질환을 연구하고 있다. 국내에선 엘렉스랩이 활발히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임상시험 수탁(C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