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G화학 소아 저신장증 치료제 투약 관리 앱 '유디', iF어워드 고객경험 본상 수상 2024-12-12 16:22:28
약대생 제약마케팅 전략학회(PPL)’와 성장호르몬 제품군 및 성조숙증 치료 신제품 마케팅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해 최종 발표회를 열었다. 대학생의 시선으로 참신한 마케팅 전략을 발굴하고 약대생 입장에서 전문 의약품 마케팅 실무를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 성사됐다. LG화학은 20여 명의 PPL 회원을...
케이피에스, 유방암치료제 '너링스정' 누적 매출 100억원 돌파 2024-12-11 10:23:37
개발한 경구용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다. 빅씽크가 국내에 도입해 2022년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허가 사항은 HER2 수용체 양성 및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조기 유방암 환자 중 수술 후 보조치료제로, 트라스투주맙(제품명 허셉틴) 기반 치료 환자에서 재발 및 뇌 전이...
술 먹으면 진짜 '탈모' 올까?…분석해보니 2024-12-08 09:59:44
발표했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모발의 성장을 억제해 모발이 서서히 얇아지고 빠지는 질환이다.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보통 유전적 영향이 크지만, 흡연이나 식단,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도 잠재적 원인으로 꼽혀 왔는데, 음주도 알코올 대사 부산물인...
술 마시면 탈모 온다?…논문들 분석해보니 "연관성 떨어져" 2024-12-08 06:03:01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모발의 성장을 억제해 모발이 서서히 얇아지고 빠지는 질환이다.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보통 유전적 영향이 크지만, 흡연이나 식단,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도 잠재적 원인으로 꼽혀 왔는데, 음주도 알코올 대사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두피 면역을 방해할...
바디텍메드 진단기기·키트, 유럽 CE-IVDR 인증 완료 2024-12-03 10:23:22
포함됐다. 진단키트는 호르몬 47종, 감염성질환 25종 등을 포함한 142종류의 제품에 대해 인증을 완료했다. CE-IVDR은 유럽연합(EU)뿐 아니라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등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4개국과 튀르키예 등에도 적용된다. 이외 호주, 캐나다, 일본 등에서도 CE-IVDR과 유사한 인증체계를...
美 생물보안법, K-제약·바이오에 ‘기회’ 될까[비즈니스 포커스] 2024-11-25 10:08:00
생물체의 세포나 호르몬을 원료로 배양, 정제하는 섬세하고 까다로운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라이프사이언스솔루션즈(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Singapore), 씨그마알드리치코리아(머크 관계사), 써모피셔사이언티픽솔루션스 등으로부터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다....
강남세브란스 "유방암 HER2 저발현, 음성보다 재발 위험 높아" 2024-11-21 15:53:23
유방암 환자에게 많은 인간 표피성장인자 수용체(HER)2 발현에 따라 재발 위험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HER2가 많이 발현되지 않은 환자들도 음성 환자보다 재발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안성귀·국윤원 유방외과 교수와 이새별 서울아산병원 유방외과 교수팀이 2013~2020년 두...
한국 노보 노디스크, 세브란스병원과 임상시험 협력 MOU 2024-11-12 10:24:18
분야인 당뇨, 비만, 혈우병, 성장호르몬과 더불어 새로운 만성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글로벌 임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세브란스병원과 한국 노보 노디스크 제약은 이를 통해 글로벌 임상 단계에서 국내 만성질환 환자의 참여 기회가 확대되고, 혁신 신약 개발 과정에 국내 연구자가 중추적인 역할을 해...
한독, 美 바이오텍과 '10조 항암제' 도전 2024-11-11 17:32:09
됐다. 2015년에는 제넥신과 공동 개발한 지속형 성장호르몬을 중국 타스젠(현 아이맵)에 283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중국에서 임상 3상을 마치고 출시를 준비 중이다. 2021년 CMG제약과 개발한 표적항암제를 싱가포르 AUM바이오사이언스에 1934억원에 기술이전하는 성과도 냈다. 한독은 엔비포스텍,...
[분석+]비만약 '위고비', MASH 3상 성공…시장성 입증은 숙제 2024-11-04 06:10:02
효과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베타(THR-β)에 작용하는 레즈디프라는 하루 한번 먹는 약이다. 주사제보다 환자 치료 편의성이 높다. 약값면에선 위고비가 낫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에서 레즈디프라의 연간 약값은 4만7400달러(약 6500만원)다. 위고비는 1만6000달러 정도로 알려졌다. GLP-1 계열 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