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더덕·벌개미취 먹으면 코로나 저항력 높아진다" 2022-11-11 17:44:22
세포막 융합’을 막아 감염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세포로 들어올 땐 바이러스 외피막과 인체 세포막 사이 ‘융합’ 과정을 반드시 거친다. 연구팀은 아스터사포닌I와 란세마사이드A가 이 막 융합 과정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인체...
경상북도·안동시·포스텍·경북대, WHO 바이오 캠퍼스 유치 '총력' 2022-10-17 16:40:59
중심으로 세포막단백질연구소(사업비 458억원),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사업비 252억원)를 건립해 구조 기반 신약 연구 및 기업 공동 연구를 하고 있다. 또 안동대는 생명백신공학 전공을 전국 최초로 신설해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바이오백신 연구시설 및 개방형 바이오랩(사업비 67억원)을 구축하고 있다....
백신·헴프·제약·의료기기·화장품, 5대 바이오산업으로 키운다 2022-10-13 16:14:56
신규 국책 사업으로 추진하고 국제백신연구소 분원 활성화를 위한 공동 협력 체계를 갖춰 전 주기 백신 개발 및 지원 생태계 고도화에 나선다. 경상북도는 포항을 거점으로 신약 개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작년과 올해 준공된 포항지식산업센터, 세포막단백질연구소와 그린백신실증지원센터를 연계한 다양한 국가 공모 사...
KIST "헌팅턴병 뇌기능장애 유발 'FAK 단백질' 규명" 2022-08-28 12:00:05
연결지점) 형성에 필수적으로,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인지질 중 하나인 PIP2(phosphatidylinositol 4,5-biphosphate)가 필요하다. 연구팀이 형광분자센서와 실시간 형광이미징 연구법으로 살아있는 헌팅턴병 세포를 관찰한 결과 돌연변이 헌팅틴...
코로나 구조 규명에 결정적 역할 한 '극저온 전자현미경' 2022-08-23 15:35:08
100대 이상의 극저온 전자현미경 설비를 갖추고 단백질 구조 연구에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런 흐름에 따라 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기초과학연구원(IBS), 서울대, KAIST, 포스텍 세포막연구소 등에 해당 장비가 잇달아 설치되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에도 2023년 가동을 목표로 설치...
경북도,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 17일 동해안권 발전전략 발표 2022-08-17 08:43:19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극저온전자현미경, 세포막단백질연구소 등 준비된 인프라를 기반으로 첨단기술융합 신약 클러스터 조성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포항경주공항ㆍ울릉공항과 연계해 영일만항, 후포항, 강구항, 구룡포, 감포, 울릉까지 이어지는 환동해 관광네트워크도 구축하기로 했다. 도에 이어 동해안권 5개 ...
영화 '컨테이전'이 현실로? 이런 바이러스도 약점 있다 2022-07-23 15:41:54
필요한 단백질을 끌어모아 바이러스가 제 형태를 갖추게 했다. 연구팀은 기질 단백질에 '육군 원수'(field marshal)라는 별명을 붙였다. 기질 단백질은 세포막 안쪽 면에 격자(lattice) 모양을 형성하고 세포막을 바깥쪽으로 밀어냈다. 그렇게 해서 세포막이 '싹'(bud) 형태로 돌출하면 여러 가지 바이러스...
갈색 지방의 열 발생 시스템, 비만 치료 열쇠 될까 2022-07-11 18:27:43
이 운반체는 세포막에 존재하면서 이노신을 세포 내로 옮기는 단백질이다. 이 운반체가 활성화해 세포 밖의 이노신 농도가 낮아지면 갈색 지방세포의 지방 연소를 촉진하는 효과도 사라졌다. 다행히 바로 쓸 만한 약이 이미 나와 있다. 원래 혈액 응고 이상을 치료하는 용도로 개발된 이 약은 이노신 운반체를 억제하기도...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 2022-07-04 18:25:18
에너지부 산하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 연구소'(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과학자들도 참여했다. 4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체질량 지수(BMI)가 높고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비감염자보다 코로나19에 더...
인간 속눈썹 크기 박테리아 발견…"에베레스트 키 인간 만난 격" 2022-06-24 11:29:54
얻었다. 연구팀은 T. 마그니피카가 세포막에 다양한 구획을 갖고있으며 이런 구획들이 덩치를 키우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일부 구획은 질산염 등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하는 연료공장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으며, 인간 세포의 핵처럼 보이는 구획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구획들이 키위같은 과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