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위기의 농산물도 네이버와 만나면 완판 2021-08-15 17:20:00
활동을 연계했다. 스마트스토어, 쇼핑라이브, 윈도, 판 등 산하 서비스를 통해 중소상공인을 지원한다. 마케팅과 상담 전문 인력을 두기 힘든 중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인공지능(AI)이 이용자 취향을 파악해 상품을 추천하는 ‘AiTEMS’,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 정보를 제공하는 ‘비즈 어드바이저’ 등의...
네이버·이마트 혈맹 첫 작품은 '맛집 밀키트' 2021-07-19 17:23:40
19일 밝혔다. 이마트는 네이버 푸드윈도에 입점한 지역 명물 먹거리를 밀키트로 상품화할 계획이다. 네이버 푸드윈도에서는 전국 각지의 맛집·명물 음식이 소규모로 판매되고 있다. 이를 밀키트로 만들어 대량 생산하고 이마트·네이버 채널을 통해 판매하면 지역 소상공인은 판매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 이마트도 이를...
이해진·정용진 협업 본격화…네이버 입점 맛집 밀키트, 이마트서 판다 2021-07-19 12:14:32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마트는 네이버와 함께 네이버 푸드윈도에 입점한 지역 맛집 대표 메뉴 밀키트를 별도 브랜드 상품으로 개발하는 '지역명물 챌린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프로젝트는 네이버쇼핑 푸드윈도의 '지역명물' 코너에 입점한 2000여 개 상품 중 경쟁력 있는 소상공인(SME...
네이버·이마트, 전국 맛집 대표메뉴를 브랜드 상품화한다 2021-07-19 09:34:55
진행한다고 밝혔다. 네이버 쇼핑 푸드윈도의 '지역명물' 코너에 입점한 2천여개 밀키트 상품 중 일부를 선별해 '인생맛집' 브랜드 상품으로 별도 출시하는 것이 골자다. 이용자 리뷰, 매출, 제품 차별성 등을 토대로 선별하고, 새로 나온 상품은 이마트 온·오프라인 매장과 네이버에서 판매한다. 이를...
카톡으로 생필품 정기배송…네이버에선 원하는 콘텐츠 月구독 2021-06-21 15:21:40
콘텐츠를 플랫폼에 적용한다. 네이버 쇼핑 및 페이에 적용된 기술을 활용해 쉽게 판매·정산하고, 구독자 대상 프로모션도 진행할 수 있다. 안정적 수익 창출에 도움해외 IT 기업들은 이미 구독 서비스를 다양하게 도입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워드, 엑셀 등이 포함된 업무용 소프트웨어 ‘MS오피스’와 ‘윈도’ 등을...
주류가 된 '홈술族', 갈색·녹색뿐이던 술병 색까지 바꾸다 2021-05-20 17:47:34
줄었다. 온라인으로 판매되는 전통주는 윈도 쇼핑이 가능하다. 취향을 중시하는 트렌드와 맞는 홈술 시장은 코로나 시대가 끝나도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홈술이 뜬다고 해서 외식 시장의 미래가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전문가의 큐레이팅을 통해 맞춤형 술을 추천해주는 매장엔 사람들이 몰린다. 이 시대에 전문성이 얼...
서울 강남역 인근 강남대로변에 하이엔드 오피스텔 '루카831' 나온다 2021-04-22 15:30:59
할 수 있는 2.7m 길이의 공간(윈도시트)을 넣는다. 스타일러, 세탁기, 건조기를 한 번에 놓을 수 있는 드레스룸 공간을 별도로 둔다. 지하 1층에는 24시간 대기 중인 호텔식 인포 데스크를 운영해 발레파킹과 무인 택배함 등 입주민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지원한다. 1~2층에는 프리미엄 상업시설을 조성해 편의성을 높일...
[디지털 이코노미] 플랫폼 비즈니스 성공하려면 멀티호밍을 통제해야죠 2021-04-12 09:01:44
언제나 네트워크 효과가 있었다. 윈도와 오피스 프로그램을 만든 마이크로소프트, SNS 분야의 페이스북, 온라인 경매의 이베이, 마이크로블로그의 트위터, 숙박공유의 에어비앤비, 온라인 쇼핑의 알리바바 모두 마찬가지다. 네트워크 효과와 플랫폼의 위력플랫폼 비즈니스에서는 특정 플랫폼의 이용자가 늘거나 앱 또는...
[이승우의 IT 인사이드] LG전자는 끝까지 '반전'을 꿈꿨을까 2021-01-25 16:59:41
나우누리가 아니라 네이버와 다음이었다. 쇼핑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시장이 바뀌면서 옥션, 지마켓 등이 시장을 주도했지만 모바일 시대에는 쿠팡, 마켓컬리 등 또 다른 기업들이 떠올랐다. LG전자의 고뇌, 선택, 그 결말은지난 10여 년 동안 나온 혁신적인 서비스의 원동력은 스마트폰이었다. 다른 산업과 마찬...
[특파원 칼럼] 한국서도 IBM 같은 기업 많이 나와야 2020-12-25 17:55:17
커져한국 소비자들이 직구를 많이 하는 모바일 쇼핑의 대명사 아마존도 지난해 기준 쇼핑 관련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50.6%에 그쳤다. 나머지 절반가량은 웹서비스 등 기업들을 상대로 한 분야에서 나온다. 웹서비스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기업에 인공지능(AI)을 통한 분석 등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작년 이 분야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