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국중부발전, 신재생 폐소재 재활용 촉진 자원 순환형 경제 구축 앞장 2024-12-26 15:46:06
△발전소 효율개선 및 연료전환, △국내외 동반성장형 온실가스감축사업 추진, △해양흡수원 조성, △CCU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개발 및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상용화 등을 통해 온실가스 1312만t을 감축했다. 이 뿐 아니라 무탄소 발전원 개발 및 청정수소 생산 거점 조성 등을 추진해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가...
SK가스, LNG·LPG 복합발전소 '울산GPS' 상업운전 개시 2024-12-26 10:21:33
가스복합발전소다. SK가스는 기존 LPG 중심 사업구조에서 LNG 및 발전사업으로 신사업을 넓히고 있다. 울산GPS 발전 용량은 1.2GW로 원자력 발전소 1기와 맞먹는 수준이며, 연간 전력 생산량은 28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연간 90만∼100만t 규모 LNG를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로부터 공급받아 발전에...
SK가스, LNG·LPG 복합발전소 '울산GPS' 상업운전 개시 2024-12-26 09:05:02
발전용량은 1.2GW로 원자력 발전소 1기와 맞먹는 수준이다. 연간 생산 전력량은 28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연간 90~100만톤 규모의 LNG를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로부터 공급받아 활용할 SK가스 LNG 사업의 최대 수요처다. 회사측은 국내 LNG 발전소 중 최신·최고 효율의 가스터빈을 설치해 발전효율이...
SK가스, LNG·LPG 복합발전소 '울산GPS' 상업운전 개시 2024-12-26 08:24:51
울산에 건설한 세계 최초 기가와트(GW)급 LNG·LPG 겸용 가스복합발전소다. 발전 용량은 1.2GW로 원자력 발전소 1기와 맞먹는 수준이며, 연간 전력 생산량은 28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연간 90만∼100만t 규모 LNG를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로부터 공급받아 발전에 활용할 예정이다. LNG를 주 연료로 쓰...
건설 넘어 에너지패권 정조준…현대·삼성·DL '400조 SMR' 출격 2024-12-25 18:10:35
19일 미국 미시간주 팰리세이드 원자력발전소에서 차로 5분을 달리자 소형모듈원전(SMR) 건설 준비 현장이 한눈에 들어왔다. “이렇게 작은 땅에서 원자로를 운영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이곳에서는 토양 견본 채취와 지하수 측정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다. 잡초가 무성한 현장을 누비는 직원의 표정은 밝았다....
두산에너빌. 남양주열병합발전소에 기자재 공급…610억원 규모 2024-12-24 11:19:55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따르면 2036년까지 폐쇄 예정인 석탄발전소 28기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으로 전환되고, 2037∼2038년 설계수명이 도래하는 석탄발전소는 양수, 수소 발전 등 무탄소 전원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후쿠시마 14년 지났지만…야생 버섯 세슘 기준치 초과 '충격' 2024-12-22 14:23:54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약 14년이 지났지만 동일본 지역에서 채취된 야생 버섯의 방사성 물질 오염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도쿄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시민단체는 지난 9월 이후 인터넷 물품거래중개업체 메르카리 등에서 구입한 이와테와 후쿠시마현 등 동일본산 야생 버...
동일본대지진 14년 지났지만…'방사능 오염' 여전 2024-12-22 13:40:36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약 14년이 지났지만, 동일본 지역에서 채취된 야생 버섯의 방사성 물질 오염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현지 시민단체가 지난 9월 이후 인터넷 물품거래중개업체 메르카리 등에서 구입한 이와테와 후쿠시마현 등 동일본산 야생...
후쿠시마 14년 지났지만…동일본산 야생 버섯 28% 세슘 기준초과 2024-12-22 13:19:54
인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약 14년이 지났지만, 동일본 지역에서 채취된 야생 버섯의 방사성 물질 오염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시민단체가 지난 9월 이후 인터넷 물품거래중개업체 메르카리 등에서 구입한 이와테와 후쿠시마현 등 동일본산 야생 버섯 100건을 조사한 결과 28건(28%)에서 세슘이...
한텍,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승인...화공기기·저장탱크 핵심 기술 보유 2024-12-20 15:33:35
탱크사업부는 삼척 수소화합물 혼소 발전소 인프라 설비 공사에 암모니아 탱크를 제작하는 등 이미 대규모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석탄 화력발전소가 혼소 발전으로 대체되는 정책에 따라 신규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용 후 핵연료 저장용기(CASK) 제작 및 원전 해체 사업 추진도 향후 성장을 함께 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