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앰퍼샌드원, 아시아·북미 순회 첫 투어 성료…"자신감 생겼다" 2025-03-20 10:36:35
17일 미국 마이애미를 시작으로 올랜도, 샬럿, 워싱턴 D.C., 뉴욕, 보스턴, 콜럼버스, 디트로이트, 루이빌, 내슈빌, 시카고, 밀워키, 미니애폴리스, 디모인, 오마하, 캔자스시티, 샌안토니오, 피닉스, 로스앤젤레스까지 총 19개 도시에서 진행됐다. 앰퍼샌드원은 '온 앤드 온(On And On)', '브로큰 하트(Broken...
이디야마저 올린다…배달수수료 인하에도 '이중가격' 확산 2025-03-18 13:38:24
메뉴 가격을 올렸다. 맘스터치는 최근 48개 가맹점이 이중가격제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매장별로 인상 폭은 다르지만 배달 메뉴 가격이 평균 15%가량 올랐다. 다만 맘스터치 본사는 배달 메뉴 가격이 오르면 매출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가맹점에 자제해줄 것을 권고하고 있다. 현행 가맹거래법상 가맹본부는 가맹점의 개별...
백종원, '빽다방' 플라스틱 논란에 또 사과…"신입 실수" 2025-03-18 08:45:20
메뉴를 즉시 환불 처리했다"며 "또 해당 점포에 시정요구서를 발송하고 매뉴얼 준수를 위한 전 직원 재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이와 같은 민원이 재발하지 않도록 점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최근 더본코리아는 통조림 햄 가격과 돼지고기 함량 논란을 시작으로 연일 잡음이 나오고 있다....
"여보, 올때 치킨 좀"...배달 메뉴 가격 '줄인상' 2025-03-18 06:48:26
메뉴 가격을 올렸다. 맘스터치는 최근 48개 가맹점이 이중가격제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매장별로 인상 폭은 다른데 배달 메뉴 가격이 평균 15%가량 올랐다. 맘스터치 본사는 매출 감소를 우려해 배달 메뉴 가격 인상 자제를 가맹점에 권고하고 있다. 회사는 가맹거래법상 가맹본부가 가맹점의 개별 가격 정책을 규제할 수...
배달앱 차등수수료 도입 후에도 '이중가격' 확산 2025-03-18 06:15:00
도입하지 않았지만, 일부 점주가 배달 메뉴 가격을 올렸다. 버거·치킨 브랜드 맘스터치는 최근 48개 가맹점이 이중가격제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매장별로 인상 폭은 다르지만 배달 메뉴 가격이 평균 15%가량 올랐다. 다만 맘스터치 본사는 배달 메뉴 가격이 오르면 매출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가맹점에 자제를 권고하고...
'백종원' 또 논란 터졌다…이번엔 '빽다방'에 무슨 일이 2025-03-17 21:38:51
담긴 메뉴를 전자레인지에 그대로 돌려 제공해 논란이 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빽다방에서 구매한 소시지 빵이 찌그러진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제공됐다는 소비자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빵을 데워달라고 요청했더니 직원이 플라스틱 용기째 전자레인지에 돌려 찌그러진 상태로...
현대카드, 라인페이와 대만 결제 서비스 시작 2025-03-17 10:08:09
현대카드, 라인페이와 대만 결제 서비스 시작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현대카드는 글로벌 결제 사업자인 라인페이와 함께 현대카드 앱을 통한 대만 결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대만을 방문하는 현대카드 회원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다른 절차를 거치지 않고 현대카드 앱을 통해 간편하게...
12개 한 팩에 1만5000원…'금값' 된 달걀에 밀수 급증했다 2025-03-17 06:44:57
비롯해 일부 식당에선 달걀이 포함된 메뉴에 추가 요금을 청구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 확산한 조류 인플루엔자가 달걀값 상승의 주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소비자들이 달걀을 사재기하면서 가격 인상과 품귀 현상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달걀 값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하게 나서고 ...
금값된 달걀 여파 '에그플레이션'에 美접경지서 달걀 밀수 급증 2025-03-17 00:08:25
비롯해 일부 식당에선 달걀이 포함된 메뉴에 추가 요금을 청구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 확산한 조류 인플루엔자가 달걀값 상승의 주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소비자들이 달걀을 사재기하면서 가격 인상과 품귀 현상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달걀값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하게 나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