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건뉴스가 검색 되었습니다.

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의문의려 (倚門倚閭) 2022-08-15 10:00:05

    ▶한자풀이 倚 : 기댈 의 門 : 문 문 倚 : 기댈 의 閭 : 이문 려'문에 기대어 기다린다'는 뜻으로 자식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 - 《전국책(戰國策)》 춘추시대 왕손가(王孫賈)는 열다섯에 제(齊)나라 민왕을 모시는 신하가 되었다. 왕손가의 어머니는 그가 입조(入朝)해 집에 늦게 돌아올 때면 문 앞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삼마태수 (三馬太守) 2022-07-25 10:00:27

    ▶한자풀이 三 : 석 삼 馬 : 말 마 太 : 클 태 守 : 지킬 수 세 마리의 말만 타고 오는 수령 재물을 탐하지 않는 청백리를 이름 -조선시대 송흠(宋欽)의 고사 송흠(宋欽)은 조선 성종 때 외교문서를 담당한 승문원에서 일하다 연산군의 폭정을 비판해 관직에서 쫓겨났다. 중종반정으로 복직해 홍문관 박사 등의 관직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張三李四 (장삼이사) 2022-07-18 10:00:26

    ▶한자풀이 張 : 베풀 장 三 : 석 삼 李 : 성씨 이 四 : 넉 사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 이름과 신분이 분명치 않은 평범한 사람 - 《항언록(恒言錄)》 장삼이사(張三李四)는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이란 뜻으로 이름이나 신분이 분명하지 못한, 평범한 사람을 이른다. 청나라 시대의 속어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糟糠之妻 (조강지처) 2022-07-11 10:01:37

    ▶한자풀이 糟 : 지게미 조 糠 : 겨 강 之 : 갈 지 妻 : 아내 처 지게미와 쌀겨를 함께 먹어온 아내 가난을 같이 견뎌낸 본부인을 이름 - 《후한서(後漢書)》 송홍(宋弘)은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를 섬겨 대사공(大司空)에까지 올랐다. 그는 성품이 온후하고 강직했다. 어느 날 광무제가 미망인이 된 누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反哺報恩 (반포보은) 2022-07-04 10:00:02

    ▶한자풀이 反 : 돌이킬 반 哺 : 머금을 포 報 : 갚을 보 恩 : 은혜 은 먹이를 돌려드려 은혜에 보답함 자식의 깊은 효심을 비유하는 말 - 조선시대 가객 박효관(朴孝寬)의 시조 까마귀 새끼는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줌으로써 키워준 은혜에 보답한다고 한다. 조선시대 가객(歌客) 박효관(朴孝寬)은 이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無愧我心 (무괴아심) 2022-06-27 10:03:34

    ▶한자풀이 無 : 없을 무 愧 : 부끄러워할 괴 我 : 나 아 心 : 마음 심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한다 남을 탓하기 전에 나를 돌아봄 - 《명나라 정치가 유기(劉基)》 나를 낮추고 상대를 높이는 겸양지심(謙讓之心)은 유가(儒家)의 큰 덕목이다. 맹자는 인간 본성에 네 가지 선한 씨앗이 있다고 했는데, 그중...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如鳥數飛 (여조삭비) 2022-06-20 10:00:21

    ▶한자풀이 如 : 같을 여 鳥 : 새 조 數 : 셀 삭 飛 : 날 비 새가 자주 하는 날갯짓과 같다 쉬지 않고 배우고 익힘을 비유 - 《논어(論語)》 배운 자가 부족함을 안다. 그러니 배운 자가 더 배운다. 세상은 아는 만큼만 보인다. 공자는 평생 배우고 익힘을 강조했다. 《논어》는 ‘배우고 익히면 기쁘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盤根錯節 (반근착절) 2022-06-13 10:00:38

    ▶한자풀이 盤 : 서릴 반 根 : 뿌리 근 錯 : 섞일 착 節 : 마디 절 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 복잡하게 얽혀 해결이 매우 어려움 - 《後漢書(후한서)》 후한(後漢)의 안제(安帝)는 열세 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어린 임금의 처지가 대개 그렇듯 그 또한 수렴청정하는 등(鄧)태후와 군권을 쥔 대장군 등즐(鄧)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破釜沈舟 (파부침주) 2022-06-06 10:00:20

    ▶한자풀이 破 : 깨뜨릴 파 釜: 솥 부 沈: 가라앉을 침 舟: 배 주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 죽을 각오로 싸우려는 의지를 비유 -《사기(史記)》 세우기는 어려워도 허망하게 무너지는 게 나라다. 중국 최초의 통일 국가 진(秦)이 그랬다. 급격히 추진된 통일정책과 대규모 토목공사로 동요하는 민심에 진시황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反求諸己 (반구제기) 2022-05-30 10:00:08

    ▶한자풀이 反: 돌이킬 반 求: 구할 구 諸: 모두 제 己: 몸 기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고침 - 《맹자(孟子)》 맹자(孟子)의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담대한 기상이다. 비굴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하는 떳떳함이다. 《맹자》 공손추편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