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항우연, '인공위성 기반 재해 대응' 국제이사회 개최 2022-10-24 10:40:05
항우연은 2011년 가입해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이 촬영한 재난 지역 위성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9월 태풍 힌남노 발생 때는 차터를 통해 위성영상을 지원받기도 했다. 한국이 인터내셔널 차터 정기이사회를 개최하는 건 2014년에 이어 두 번째다. 항우연은 정기이사회 개최와 동시에 앞으로 6개월간 주관기관을...
박완주 "아리랑 위성에 일부 부품 결함…적기 교체 노력해야" 2022-10-23 07:00:03
아리랑 위성에 일부 부품 결함…적기 교체 노력해야" '후속 위성' 아리랑 6·7호, 대러 제재·코로나19 등으로 발사·개발 지연 아리랑 3·3A·5호 대체 부품 사용 중…"기능 수행에는 문제 없어"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로 다목적 실용위성(이하...
한국위성 러시아 발사 사실상 무산…정부, 대체발사 881억 추산(종합) 2022-09-28 17:42:26
대한 제재에 나서면서 우리나라가 국산 위성을 러시아 발사체를 활용해 쏘기 어렵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회에 아리랑 6호와 차세대 중형위성 2호 발사를 위한 새로운 예산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아리랑 6호에 467억 원, 차세대 중형위성 2호에 414억 원으로 총...
한국위성 러시아 발사 사실상 무산…정부, 대체발사 881억 추산 2022-09-28 16:44:02
대한 제재에 나서면서 우리나라가 국산 위성을 러시아 발사체를 활용해 쏘기 어렵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회에 아리랑 6호와 차세대 중형위성 2호 발사를 위한 새로운 예산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아리랑 6호에 467억 원, 차세대 중형위성 2호에 414억 원으로 총...
15년만에 '고화질 위성영상' 허용…75억달러 시장 문 열린다 2022-08-18 12:00:02
규제를 개선했다"고 말했다. 위성영상 해상도 규제는 4m에서 1.5m으로 완화된다. 종전까지는 지표에서 4m 떨어진 곳에서 찍은 수준의 사진만 사업 등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1.5m 위에서 찍은 수준까지 활용이 가능해진다. 위성영상 해상도 규제가 완화된 것은 지난 2007년 이후 15년만이다. 당시에는 아리랑...
'빅뱅 이후 우주 지도' 그릴 스피어x 망원경 시험 장비 개발 2022-08-17 01:00:04
궤도는 위성 궤도면 방향·주기가 지구 공전 방향·주기와 같은 궤도로, 이 궤도에선 태양과 이루는 각이 일정해 특정 지역을 늘 같은 시간에 볼 수 있다. 한반도 관측·정찰 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시리즈가 이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애리조나주립대,...
2031년엔 달 착륙선 쏜다 2022-08-05 17:20:52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우주 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이 차세대 발사체 초기 설계부터 참여할 계획이다. 다만 올해 발사 예정이었던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6호와 차세대중형위성 2호 등은 일정이 연기되고 있다. 둘 다 러시아 로켓에 실어 발사할 예정이었는데 우크라이나...
다누리 임무는 우주인터넷 실험·착륙 후보지 탐색 2022-08-05 11:51:30
최대 크기다. 아리랑과 천리안 등 지구궤도위성의 안테나 크기가 7∼13m 수준이다. 다만 김대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달탐사사업단장은 공동취재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여주 안테나는 처음 만든 것으로 교정작업이 필요하다"며 "다누리가 달에 간 이후에 여주 안테나를 메인 안테나로 사용할 것이며, 달에 가는...
우리별 1호부터 다누리까지…한국 우주개발 일지 2022-08-05 10:11:57
= 국내 최초 실용급 위성, 다목적 실용위성(아리랑)1호 발사 ▲ 2002년 11월 = 한국 최초 액체추진과학로켓(KSR-Ⅲ) 발사 ▲ 2003년 9월 = 과학기술위성 1호 발사 ▲ 2003년 10월 = 다목적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선 개발 ▲ 2006년 7월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발사 ▲ 2006년 12월 = 한국 최초 우주인 후보자 2명...
한국위성 러시아 발사체 이용여부 불확실…"9∼10월 결정" 2022-08-04 14:53:29
위성의 발사 일정이 불투명해져 정부가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1차관은 4일 서울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러시아 발사체를 활용하는 국내 위성의 발사 일정에 관한 질문을 받고 "(러시아와) 기존 계약은 진행 중이지만, 거기(러시아)만을 바라볼 수는 없어서 대책을 모색 중"이라고...